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중국 모략가 한비자 10
2016년 12월 13일 18시 49분  조회:5268  추천:0  작성자: 죽림
 

-한비자의 나라가 망하는 10가지 징조-

 

1. 법(法)을 소홀이 하고 음모와 계략에만 힘쓰며 
국내정치는 어지럽게 두면서
나라 밖 외세(外勢)만을 의지하다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2. 선비들이 논쟁만 즐기며 
상인들은 나라 밖에 재물을 쌓아두고 
대신들은 개인적인 이권만을 취택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3. 군주가 누각이나 연못을 좋아하여

대형 토목공사를 일으켜 국고를 탕진(蕩盡)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4. 간연(間然)하는 자의

벼슬이 높고 낮은 것에 근거하여 의견(意見)을 듣고 
여러 사람 말을 견주어 판단하지 않으며 
듣기 좋은 말만하는 사람 의견만을 받아들여 참고(參考)를 삼으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5. 군주가 고집이 센 성격으로

간언은 듣지 않고 승부에 집착하여

제 멋대로 자신이 좋아하는 일만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6. 다른 나라와의 동맹(同盟)만 믿고 
이웃 적을 가볍게 생각하여 행동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7. 나라 안의 인재(人才)는 쓰지 않고 
나라 밖에서 온 사람을 등용(登用)하여 
오랫동안 낮은 벼슬을 참고 봉사한 사람 위에 세우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8. 군주가 대범하여 뉘우침이 없고

나라가 혼란해도 자신은 재능(才能)이 많다고 여기며
나라 안 상황에는 어두우면서 이웃적국을 경계하지 않아

반역세력(反逆勢力)이 강성하여 
밖으로 적국(敵國)의 힘을 빌려 백성들은 착취하는데도 처벌하지 못하면

그 나라는 망할 것이다.

 

9. 세력가의 천거(薦居) 받은 사람은 등용되고, 
나라에 공을 세운 지사(志士)는 내 쫓아

국가에 대한 공헌(公憲)은 무시되어 
아는 사람만 등용되면

그 나라는 반드시 망할 것이다.

10. 나라의 창고는 텅 비어 빛 더미에 있는데 권세자의 창고는 가득차고

백성들은 가난한데 상공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서로 이득을 얻어 
반역(反逆)도가 득세하여 권력을 잡으면

그 나라는 반드시 망할 것이다.

 

한비자(기원전 약 280~233년 전국시대말) 5000년 중국을 이끌어온

50인의 모략가 중 한 명.

 

한비자는 전국시대 한왕(韓王) 안(安)의 서자로 출생했다.

그의 어머니는 신분이 낮은 출신이었기 때문에

그가 비록 왕족이었지만 왕실에서 대우받지 못하는 불운한 처지였다.

 

이 같은 불행한 소년기를 가졌기에 일찍부터 학문연구에 눈을 돌렸다.

그가 태어난 한나라는 전국7웅(秦, 楚, 燕, 齊, 韓, 魏, 趙) 중의 하나로

가장 문화수준이 낮은 소국이었다.

 

한비(韓非:한비자의 본명)는 당대의 석학인 순자에게 배우기 위해

제나라의 수도 임치로 그를 찾아갔다.

순자는 조나라 출신으로 이곳에 와서 학자의 우두머리인 제주에 초빙되어 있었다.

 

한비는 순자에게서 학문을 배우는 동안 후일 진나라의 재상이 된 이사는 물론,

이곳에서 유가, 도가, 명가, 법가, 묵가 등

여러 학파의 학문을 두루 흡수, 비판하면서 부국강병의 설을 체계화했다.

 

그의 학설을 현실정치에 적용하려면 국왕의 인정을 받아야 하는데,

그는 말재주가 없어 자신의 뛰어난 문장에 의존할 수 밖에 없었다.

 

그의 문장을 모은 저서 [한비자]는 55편이다.

 

그의 문장을 사마천의 [사기]에 의하면

이 한비자의 저서 중 [고분]과 [오두]를 우연히 진시황이 보게 되어

"이 책이야말로 내가 기다리던 것이다.

내가 이 사람을 만날 수만 있다면 죽어도 한이 없다"고 감탄했다 한다.

 

이때 이사가 진시황에게 "한비를 얻고 싶으면 한나라를 공격하라,

그러면 반드시 한비를 사신으로 보내올 것이다"고 건의하자

예상대로 한나라는 한비를 사신으로 보내 화친을 빌었다.

 

이때 한비는 진시황을 움직여 위험에 빠진 한나라를 구할 기회를 보고 있었다.

한편 이사는 진시왕이 한비를 중용할 것을 두려워하여 왕에게 모함했으나,

진시황은 그의 인물됨을 아껴 투옥시키는 데 그쳤다.

 

그러나 옥에 갇힌 한비에게 이사는 독약을 보내 자살할 것을 강요하자,

한비는 그의 결백을 입증하기 위해 진시황을 만나볼 기회를 간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진시황이 자기의 잘못을 깨닫고

그에게 석방명령을 내렸을 때는 이미 그가 자살한 후였다.

 

이처럼 한비자는 전국시대 말기에 태어나

조국의 멸망을 바로 눈앞에 두고 죽어간 사상가로서,

중앙집권적 봉건 전제정치체제의 확립을 위해
"형명(刑名)"과 "법술(法術"이론을 
집대성한 자이다.

/(위키트리 참조)

 

 

5000년 중국을 이끌어온 50인의 모략가

한비자

법(法)은 드러내야 하고, 
술(術)은 드러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韓非子 ]
법 · 술 세를 함께 구사하라..

개인적인 원한을 공적인 일에
개입시키지 말라



한비자(기원전 약 280∼233년)의 이름은 한비이고 전국 말기 한() 출신이다. 원래는 한나라의 공자로 순자()에게 배운 중국 고대의 이름난 사상가이자 법가 학파를 대표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기원전 234년은 진왕 정(훗날의 진시황) 13년으로 진나라가 군사를 동원해 한나라를 공격해왔다. 이 해 진왕 정이 한을 공격한 것은 까닭이 있었다. 오랫동안 천하통일에 힘을 쏟아온 진은 6국을 제거할 결심을 하고 6국 중에 가장 약한 한나라를 우선 공격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또 한편, 진왕 정은 6국을 소멸시키는 자신의 숙원을 위해 인재를 적극적으로 긁어모으고 있었다. 그런 진왕 정이 언젠가 한비자의 저술인 『고분()』과 『오두()』를 읽고는 깜짝 놀라며 이 책을 쓴 사람은 틀림없이 기재일 것이며 자신의 통일대업에 필요한 사람이 바로 이런 사람이라고 했다. 그는 이사()에게 감탄을 연발하며 "이 사람을 한번 만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면 죽어도 여한이 없겠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사는 "이것은 한비자란 자가 쓴 것입니다"라고 말해주었다. 진왕 정은 한비자를 얻기 위해 한을 공격한 것이었다. 그러고는 한비자를 지명하며 진나라로 보내줄 것을 요구했고, 한왕은 진나라의 요구를 받아들여 한비자를 사신으로 보냈다.

저주받은 비서()를 남긴 말더듬이 한비자는 법가의 집대성자이자 통치술·제왕학의 창시자이기도 했다.
한비자와 이사는 사실 동문수학한 사이였다. 한비자는 말을 더듬고 말도 잘 꾸미지 못했다. 하지만 재주와 생각이 남다르고 글을 잘 썼다. 이사는 이런 한비자에 열등의식을 느끼며 자책했다. 『한비자』는 군왕들이 보라고 쓴 책이다. 한비자는 유가 학설에 반대하면서 군주의 권술()에 대해 대서특필하여 훗날 군주가 전제독재로 신하를 통제하는 데 이론과 방법을 제공했다.

한비자는 한나라가 갈수록 약해지는 모습을 보면서 매우 걱정이 되어 여러 차례 한왕에게 부국강병의 모략을 건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는 한왕이 씩씩하게 나라를 다스리지 못하는 것이 못내 가슴 아팠다. 또 권력을 가지고도 신하들을 제대로 통제 못하는 것이 안타까웠다. 재능 있는 인재를 기용하여 국가를 강성하게 만들지 못하는 것이 아쉬웠다. 하지만 한나라의 상황은 이와는 정반대로 허영과 사치에 빠져 나라를 위기로 몰고 갈 인물들을 등용하고 있었고, 이 자들의 지위가 나라에 공을 세운 공신들보다 더 높았다. 이에 울분을 품고 『고분』, 『오두』, 『내외저()』, 『설림()』, 『세난()』 등 십만여 자에 이르는 저작을 써서 역사상 득실의 변화를 종합했다.

한왕은 당초 한비자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으나 진나라의 공격을 받아 상황이 급하게 돌아가자 비로소 한비자를 진나라에 사신으로 보내 항복을 자청하게 했다. 진은 한비자를 억류시킨 다음 단숨에 한나라를 공격하여 한왕 안()을 포로로 잡고 한나라를 멸망시켰다.

법·술·세를 함께 구사하라

이는 한비자가 제창한 치국의 길이었다. 한비자가 말하는 '법'은 상앙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술'은 신불해()에 근원을 두고 있다. 한비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어떤 사람이 "신불해와 공손앙(상앙) 두 사람의
견해 중 어느 쪽이 나라에 더 필요합니까?"라고
물었다. 이에 대한 대답은 이렇다. 
"그것은 우열을 가릴 수 없는 문제다. 
사람은 열흘 이상 먹지 않으면 죽고, 
아주 추운 날씨에 옷을 입지 않으면 얼어 죽는다. 
그런데 옷과 음식 중 어느 것이 사람에게
더 긴요하냐고 묻는다면, 둘 중 어느 하나라도
없어서는 안 된다고 대답할 것이다. 
두 가지 모두 사람이 사는 데 꼭 있어야 할 
것들이기 때문이다."

[ 한비자』 「정법」]

그는 국가에서 '법'과 '술'은 사람에게 있어서 옷이나 음식과 같은 것으로 하나라도 없어서는 안 된다고 본 것이다. 그는 "법이란 먼저 관부에서 공포하여, 지키면 상을 받고 명령을 어기면 처벌받아 상과 벌이 분명하게 시행된다는 사실을 백성들이 마음으로 믿게 하는 것이다"라고 말한다. 이는 '법'이란 백성들이 반드시 따라야 할 조령() 같은 것으로, 이 조령은 각종 상벌 조건을 상세하면서도 구체적으로 규정하여 군주에 복종하면 상을 받고 저항하면 벌을 받도록 한다.

'술'에 대해서 한비자는 "지금 신불해는 '술'을 공손앙은 '법'을 제창하고 있다. '술'이란 재능에 따라 관직을 주되 그 관직에 따른 직책을 맡긴 다음 생사여탈의 권한을 가지고 신하들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이는 군주가 장악해야 마땅하다"라고 말한다. 이는 군주가 관직 임명과 일처리에 대한 검사, 공을 세운 자에게는 상을 주고 잘못을 한 자에게는 벌을 주는 일, 신하들을 심사하는 일 등에 대한 권력을 장악하는 것을 가리킨다. 통치에서 '법'과 '술'이 갖는 중요성은 "군주에게 '술'이 없으면 바보처럼 멍청하게 윗자리를 차지하는 꼴이 되고, 신하에게 '법'이 없으면 밑에서 난리를 피우게 된다. 따라서 이 두 가지는 하나라도 없어서는 안 되는 제왕이 천하를 다스리는 도구"인 것이다.

영리하고 지혜로운 군주가 '법'과 '술'을 장악하여 운용하는 종합적 원칙은 "절기에 맞추어 농사를 지어 재물을 얻게 하고, 세금 제도를 정비하여 빈부를 고르게 하고, 형벌을 엄격하게 하여 간사한 악행을 끊는다. 백성들이 땀을 흘려 일해서 부를 쌓고, 직무를 잘 처리하여 귀한 지위에 오르고, 죄를 지으면 벌을 받고 공적을 세워 상을 받게 하고 군주의 인자한 은혜만을 바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제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도다(「육반」)"라고 지적한다.

그는 또 "법은 드러내는 것이 낫고 술은 드러내지 않는 것이 낫다"라는 책략적 사상을 강조한다. 이 말의 뜻은 '법'은 널리 선전하여 집집마다 다 알게 해야 하고, '술'는 마음속에 꼭 감추어 드러내지 않으면서 백성을 통치하고 신하들을 통제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세()'란 지위의 높고 낮음을 가리킨다. 통치자는 말과 행동을 떠나 지위가 높으면 높을수록 영향력도 커진다. '세'를 탈 줄 알면 좋은 사람도 나쁜 자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유능한 자를 기용하면 천하를 다스릴 수 있지만, 못난 자를 기용하면 천하를 어지럽히게 된다. 통치자로서 현명한 군신은 자신의 권력으로 국가를 다스리지만, 간사한 군신은 권력으로 백성과 어진 사람을 해친다. 군왕이라면 권세를 잘 이용해야 한다. 이에 대해 한비자는 우화 한 가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조보(造父)가 밭을 갈고 있는데 
한 부자가 마차를 타고 길을 가고 있었다. 
그런데 갑자기 말이 놀라 더 이상 가려 하지 않았다. 아들이 마차에서 내려 앞쪽으로 말을 끌고 아버지는 뒤에서 마차를 밀었다. 
그래도 여의치 않자 밭을 갈고 있던 조보에게 
도움을 청했다. 
조보는 농기구를 챙긴 다음 마차 위로 뛰어올라
말을 모는 자리에 앉은 다음 고삐를 잡고 채찍을 
드니 말이 달리기 시작했다.


한비자는 이 고사를 이용하여 신하와 백성을 다루는 현명한 군주의 이치를 설명한다. 조보가 말을 다루는 기술이 없었더라면 있는 힘을 다해 마차를 미는 일을 도왔을 것이고, 그러면 말은 계속 버티고 마차는 움직이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조보가 마부 자리에 편히 앉은 것은 그에게 말을 다루는 기술이 있었기 때문이다. 한 나라의 군주에 있어서 국가는 수레에 비유할 수 있다. 그리고 군주의 '세(권력)'는 말에 비유할 수 있다. 나라를 다스리는 기술이 없다는 것은 말을 다루는 기술이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몸이 피로하면 국가는 환란을 면하기 어렵고, 몸을 편안한 곳에 두면 국가도 다스려져 부강해질 것이다.

한비자는 현명한 군주는 "관리들만 잘 감독할 뿐이지 백성들을 직접 다스리지 않는다. 나무줄기를 흔들면 나무 전체 잎사귀가 흔들리게 되고, 그물의 벼리를 당기면 힘들이지 않고 그물을 펼 수 있는 이치가 바로 이런 도리다(「외저설·우하」)"라고 말한다. 또 "이익이 있는 곳에 백성들이 몰리고, 명성을 얻을 수 있는 일에 선비들이 목숨을 건다(「외저설·좌상」)"고도 했다.

한비자는 군주가 나라와 백성을 통치하는 데는 효과적인 길이 있다고 주장한다. 즉 자신이 직접 백성을 다스릴 필요가 없고 각급 관리들을 통하여 다스린다는 것이다. 이는 마치 나무줄기를 흔드는 것과 같아, 나무 전체가 흔들리면 나뭇잎이 떨어진다. 연못 주변 나무에 둥지를 틀고 사는 새들도 놀라 하늘로 날아가고, 연못 속의 물고기들은 바닥으로 숨는다. 또 그물을 잘 던지는 사람은 그물의 벼리만을 쥐면 되지, 그 많은 그물코를 일일이 건드리는 것은 헛수고일 뿐이다. 따라서 관리는 나무줄기와 그물의 벼리에 비유할 수 있고, 군주는 이 관리들만 잘 다스리면 백성들을 잘 다스릴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또 불을 끄는 일에 비유할 수도 있다. 관리들에게 직접 물동이를 들고 가서 불을 끄게 하는 것은 개인의 작용을 발휘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관리들에게 채찍이나 지휘용 깃발을 들게 하여 만 명의 백성들을 지휘하면 빨리 불을 끌 수 있는 이치와 같다. 따라서 현명한 군주는 구체적이고 작은 일에는 매달리지 않는다.

한비자는 또 백성들을 너무 사납게 압박하지 말라고 주장한다. 그렇지 않으면 백성들의 반란을 자극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비자는 앞서 인용한 조보의 이야기를 다시 들고 있다.

말을 능수능란하게 다루는 조보는 제나라 왕을 위해 마차를 몰았다. 그는 말을 길들이기 위해 백 리 동안 말에게 물을 주지 않고 갈증을 나게 만들어 말을 길들였다. 그런 다음 제나라 왕에게 보고했다. 이에 제나라 왕은 화원에서 한번 시험해보라고 했다. 조보가 말을 몰고 화원으로 들어섰다. 그런데 말은 화원의 연못을 보자 갈증을 참지 못하고 바로 연못 속으로 뛰어들었다. 조보가 고삐를 당기며 통제하려 했지만 도저히 막을 수가 없었다. 조보는 말을 갈증나게 하는 방식으로 말을 길들였지만 물을 본 말은 참지 못했고 조보도 어쩔 수 없었다. 조보는 이 일을 가지고 군주를 깨우쳤다. 백성의 생존방식으로 백성들을 길들이려 해서는 되레 반발만 불러일으킨다는 점을 지적한 것이다.

개인적 원한을 공적인 일에 개입시키지 말라

사람을 기용하는 '용인()' 기술은 군주 통치의 중요한 방면이다. 한비자는 이 방면에서도 많은 견해를 제기했다. 한비자의 통치모략에는 법가사상이 짙게 깔려 있다. 한비자는 통치자의 이익을 위해서 유능한 인재를 반드시 기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유능한 인재는 반드시 군주를 위해 활용되어야 한다. 그렇지 못하면 그 자를 제거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비자는 강태공의 예를 소개하고 있다.

강태공이 제()나라에 봉해졌다. 제나라에는 동해에 숨어사는 은사() 광율()과 화사() 형제가 있었다. 형제는 천자의 대신이 되는 것도 싫고, 제후와 사귀는 것도 싫고, 남의 도움 없이 그저 스스로 농사를 지어먹고 우물을 파서 마시고 싶다고 했다. 그들은 높은 명성도 좋은 자리도 군왕이 주는 녹봉도 싫다면서 자신들의 힘으로 살겠다고 했다. 그러자 강태공은 사람을 보내 이 두 형제를 죽여버렸다. 이 소식을 들은 주공() 단()은 그 두 사람은 모두 성현인데 왜 죽였냐고 물었다. 강태공은 이렇게 말했다.

"그자들이 군왕의 신하가 되지 않겠다면 그들을 기용하여 신하로 삼을 수 없습니다. 제후들과 교류도 않겠다고 했으니 그들을 사신으로 활용할 수도 없습니다. 자기들 손으로 농사를 짓고 우물을 파서 먹고 마시겠다고 하니 상벌도 그들에게는 소용없습니다. 그리고 큰 명망도 필요 없다고 했으니 지혜가 있다한들 써먹을 수 없습니다. 또 군주의 녹봉도 필요 없다고 했으니 유능하다한들 공을 세울 수도 없습니다. 관리도 싫고 국가를 다스리는 일에 참여도 않겠다고 합니다. 이는 군주에게 충성하지 않겠다는 것과 같습니다.

하물며 군주가 백성을 통치할 수 있는 것은 녹봉과 형벌 아닙니까? 이런 자들에게 네 가지 수단을 모두 동원해도 소용없다면 저의 법·술·세가 힘을 잃는 것이니 죽이지 않고 다른 방법이 있겠습니까?(「외저설·우」)"

강태공은 또 이런 말도 했다.

"말 같기도 하고 기린 같기도 한 천하 최고의 말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말은 다그쳐도 달리지 않고 멈추라고 해도 멈추지 않습니다. 왼쪽으로 가라 해도 말을 안 듣고 오른쪽으로 가라 해도 말을 안 듣습니다. 주인의 명령을 듣지 않는 말이라면 주인에게 필요한 공구가 될 수 없고 아무짝에 쓸모가 없습니다. 쓸모가 없을 뿐만 아니라, 명령을 듣지 않는 말의 표본이 되어 다른 말들도 그것을 본받을 가능성이 있으니 죽이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자신을 유능하다고 생각하는 자가 군주를 위해 소용이 없다면 말 안 듣는 천리마처럼 제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이런 인재를 현인이라 부를 수 없습니다. 통치자의 이익을 위해 일할 수 있는 인재라야 유능한 인재라 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한비자는 유능한 인재의 기준을 분명하게 정했다. 또 이런 인재들을 기용하고 추천하는 용인의 원칙도 제기했다. 그는 "안으로는 친척이라 해서 피하지 않고, 밖으로는 원수라 해서 피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법'과 '술'의 요구에 부합하고 재능이 있으며 군주에게 소용이 있다면, 사회적 지위가 아무리 낮아도, 또 친척이나 원수라도 추천할 수 있고 또 그렇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비자의 이런 '용인' 철학은 지금 보아도 진보적이라 할 수 있다. 그가 깊은 산속이나 동굴 속에 사는 사람일지라도, 감옥에 갇혀 있는 범죄자라도, 요리를 하거나 소를 치는 노예라도 현명한 군주는 그 지위의 비천함을 따지지 않고 오로지 그 재능에 근거하여 대담하게 추천하고 임용하여 법도를 밝히고 국가와 백성의 이익을 도모하여 자신의 몸과 지위를 존엄하게 만들라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한비자는 다음과 같은 예를 들고 있다.

진(晉)의 중모현(中牟縣)에 현령 자리가 비어 있었다. 진 평공(平公)이 조무(趙武)에게 "중모는 진나라의 요충지이며, 한단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하는 곳이오. 과인은 우수한 관리를 보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누가 가장 적당하겠소?"라고 물었다. 조무는 형백의 아들이 적당하다고 대답했다. 평공은 깜짝 놀라면서 "형백이라면 그대와 원수처럼 지내는 집안이 아닌가?"라고 물었다. 이에 조무는 "군주를 위해 국사를 말하는 데 사적인 은혜나 원한 같은 감정이 끼어들 수는 없는 것입니다"라고 대답했다.

진 평공은 또 "중부(中府) 담당관으로는 누구를 임명하면 좋겠소?"라고 조무에게 자문을 구했다. 조무는 자기 아들을 추천했다.

이처럼 인재를 추천할 때는 원수나 아들이라고 피해서는 안 된다고 한다. 또 이런 예도 소개한다.

해호(解狐)가 조간자(趙簡子)에게 자기와 원수인 사람을 재상으로 추천했다. 재상에 추천된 그 사람은 이에 원한이 없어진 것이라 생각하여 사례를 하고자 해호의 집을 방문했다. 그런데 뜻밖에도 해호는 그를 맞으러 나오면서 활시위를 당겨 그를 향해 화살을 쏘았다. 그러면서 "당신을 추천한 것은 공적인 행동일 뿐이다. 당신이라면 맡은 바 임무를 잘 수행할 것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당신과의 원한은 사적인 일이기 때문에 원한이 있다고 왕께 당신을 추천하지 않을 수는 없었다. 그래서 개인의 원한이 공적인 일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비자는 진()에서 6국을 병합하는 계책을 건의했다. 먼저 원교근공으로 6국의 합종을 깨고 한·조·위를 멸망시킨 다음 다른 제후국을 멸망시킬 것을 제안했다. 그러나 진왕은 그를 믿지 않았다. 그러고는 얼마 뒤 그의 재능을 시기하고 질투한 이사가 진왕 앞에서 "한비자는 한의 공자입니다. 지금 대왕께서 6국을 멸하고 천하를 통일하려고 하시는데, 한비자는 결국은 한을 돕지 진을 돕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이 인지상정 아닙니까? 그런데 그를 기용도 하지 않으면서 오랫동안 머물게 한 다음 돌려보내는 것은 후환을 스스로 남기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다른 구실을 달아 법에 따라 그를 죽이는 것이 나을 것입니다"라고 모함했다.

진왕은 사법관에게 명령하여 한비자의 죄를 묻도록 했다. 이어 이사는 다시 사람을 보내 한비자에게 독약을 주면서 자살케 했다. 얼마 뒤 진왕은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면서 한비자를 사면하려 했으나 한비자는 벌써 옥중에서 죽은 뒤였다. 그러나 진왕은 법·술·세를 결합한 한비자의 정치모략을 모두 접수했고, 실질적인 정책으로 실행해 전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이로써 한비자의 학설이 후세에 남게 되었다.

사마천은 한비자를 두고 일을 단호하게 잘 처리했으며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이 명쾌했지만 그의 사상은 너무 가혹하고 각박하여 은덕이 부족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유세의 어려움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었던 한비자가 『세난』 편을 상세하게 저술했음에도 결국은 진에서 죽음을 당해 그 자신이 유세에 따른 재난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며 몹시 비탄해 했다.

인물소개 한비자

저주받은 '비기'를 남긴 말더듬이 한비자그는 인성의 약점과 욕망을 끔찍하리만큼 아프게 지적한 칼날같이 예리하고 얼음처럼 차가운 지성의 소유자였다그는 이 무서운 지성으로 법가 사상을 집대성했고그것은 통치술과 제왕학으로 표출되었다.

한비자영광과 비극을 한 몸에 지녔던 이 학자는 법가학파의 종합판이었다그의 중심 사상은 이런 것이었다군주는 막강한 권력을 지녀야 하며 인민들의 감사를 바랄 필요가 없다또한 인민의 원망에도 아랑곳할 필요가 없다그저 상벌이 엄격하고 분명하면 정부를 만능으로 만들 수 있다.

한비자가 죽은 뒤 그를 숭배하는 학자들이 그의 작품을 하나의 책으로 정리하여 한비자라는 이름을 붙였다한비자를 한 번만이라도 볼 수 있으면 죽어도 여한이 없다고 했던 진시황과 동문수학한 이사는 한비를 죽였지만 그의 사상은 고스란히 접수하여 날로 커져가는 그들의 제국을 통치하는 데 한껏 활용했다.

제왕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탄생시킨 한비자는 말 그대로 뜨거운 감자와 같은 존재였다이 때문에 숱한 오해와 공격의 표적이 되었지만 그만큼 솔직하고 적나라하게 제왕학과 정치사상을 제시한 인물은 지금까지 나타나지 않고 있다권력관계와 그를 둘러싼 투쟁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로서 인성()이란 문제를 제기했던 한비자는 존재 자체로 충격이었다그는 인간의 이기심을 섬세하고 날카롭게 간파한 다음 이를 제왕학(통치학)의 권술(이론으로 발전시켰다권력론-권술론-제왕학이 그에 이르러 하나로 결합되어 가장 실감나는 이론체계로 확립되었다그의 이론은 깨어 있는 시대의식을 바탕으로 당시 상황을 그대로 적용한 결과물이었다이 때문에 그는 비극적인 최후를 면키 어려웠다.

 ◆ 한비자 [韓非子()은 드러내야 하고()은 드러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 (5000년 중국을 이끌어온 50인의 모략가2005. 10. 20., 도서출판 들녘)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57 [쉼터]어느 녀류시인께 80억 아닌, 8전에라도 팔리고싶은... 2016-11-29 0 4910
756 [쉼터] - 아이들과 1달러와 그리고 미래... 2016-11-28 0 4517
755 [쉼터] - 거짓말 이야기 2016-11-27 0 5250
754 [쉼터] - 죽은 의사는 거짓말 한다?... 하지 않는다!... 2016-11-27 0 5063
753 [쉼터] - 거짓말 일기 2016-11-27 0 5073
752 [쉼터] - 작문학원 선생님께 보내는 "속담집" 2016-11-27 1 5201
751 [쉼터] - 동양 10대 미녀 알아보다... 2016-11-21 0 8136
750 [쉼터] - 세계의 10대 미녀 알아보다... 2016-11-21 0 5756
749 [쉼터] - 세계의 3대 미녀 영화배우 매력에 매료되다...(1,2편) 2016-11-21 0 9468
748 [쉼터] - 세기의 미녀 전반생, 후반생 모두 아름다워... 2016-11-20 0 5735
747 [쉼터] - 인생을 즐기며 사는 법 2016-11-20 0 6206
746 [쉼터] - 영국 명배우 - 오드리 헵번 "유언" 2016-11-20 1 8832
745 [쉼터] - 성공 노력 13 = 변화 정진 10 2016-11-20 0 3920
744 [쉼터] - 대화 소통 10 = 얽힘 해결 10 2016-11-20 0 4038
743 ... 2016-11-20 0 4154
742 ... 2016-11-20 0 3760
741 ... 2016-11-20 0 4288
740 ... 2016-11-20 0 4238
739 ... 2016-11-20 0 4021
738 ... 2016-11-20 0 4057
737 ... 2016-11-20 0 4513
736 ... 2016-11-20 0 3955
735 ... 2016-11-20 0 4159
734 ... 2016-11-20 0 4144
733 ... 2016-11-20 0 4606
732 ... 2016-11-20 0 3937
731 ... 2016-11-20 0 3847
730 ... 2016-11-20 0 3988
729 ... 2016-11-20 0 4187
728 ... 2016-11-20 0 3668
727 ... 2016-11-20 0 3702
726 ... 2016-11-20 0 3863
725 ... 2016-11-20 0 4015
724 ... 2016-11-20 0 4044
723 ... 2016-11-20 0 4716
722 ... 2016-11-20 0 4945
721 ... 2016-11-20 0 4262
720 유명인사들의 명언과 격언 모음 집 – 104 2016-11-20 0 5398
719 ... 2016-11-20 0 3750
718 ... 2016-11-20 0 3956
‹처음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