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미국 흑인 혼혈 녀성계관시인 - 나타샤 트레세웨이
2016년 12월 03일 18시 19분  조회:5427  추천:0  작성자: 죽림
 

         흑인 혼혈 여성시인 나타샤 트레세웨이, 미국 19대 계관시인으로 선임돼

 

  미국 의회도서관의 제임스 빌링턴 관장은 미국 19대 계관시인으로 미국의 오랜 인종주의적 유산과 모친과 연관된 비극적인 추억을 곱씹는 작품으로 유명한 나타샤 트레세웨이(Natasha Trethewey)를 선임했다고 7일 발표했다. 올해 46세인 트레세웨이는 어틀랜타 에모리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지금까지 3권의 시집을 펴냈고 이중 2006년에 출간한 세 번째 시집 ‘Native Guard'(흑인 경비병)으로 2007년 시부문 퓰리처상을 수상했다.

  트레세웨이의 계관시인 선임은 로버트 펜 워렌 이래 남부 출신 시인으로 처음인데다, 1993년 리타 도브 이래 흑인 시인으로도 20년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그는 첫 시집도 30대 중반인 2000년에 펴냈고 가을께에야 네 번째 시집을 출간할 예정이어서 미국 시단에서나 주목을 받을 뿐, 일반에게 널리 알려진 시인은 아니다. 더구나 현 계관시인 W. S. 머윈과 전임자인 필립 레빈이 모두 80대의 노장시인인데 비해 트레세웨이가 40대란 점 때문에도 그의 선임을 의외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이 많다. 

  그의 첫 번째 시집 ‘Domestic Work'(가사노동)은 제목 그대로 온갖 허드렛일에 시달리는 흑인 식모와 온종일 빨래만 하는 여성, 공장 여공의 고통과 슬픔을 노래한다. 이 시집에 수록된 한 작품의 첫머리는 이렇게 시작된다. “낯모르는 여인 여덟명의 눈동자가 사진속에서 나를 뚫어질 듯 응시하며 자신을 기억해달라고 외친다....” 2002년에 펴낸 두 번째 시집 ’Bellocq's Ophelia'(벨로크의 오펠리아)는 사진작가 E. J. 벨로크가 20세기초 뉴올리언스에서 촬영한 흑인혼혈 창녀들의 모습을 보고 그중 한 창녀를 상상의 세계로 끌어들여 시적 영감을 불어넣은 것이다. 트레세웨이에게 퓰리처상을 안겨준 세 번째 시집 ‘Native Guard'(흑인 경비병)은 노예 출신으로 구성된 북군 흑인연대가 남군 포로수용소에서 경비병으로 활동했으나 포로들만 기릴 뿐, 경비병인 흑인들의 노고는 외면하는 남부 지역의 남북전쟁 관련 현충 활동을 지탄한다.

  트레세웨이는 흑백 결혼을 금지한 미시시피주에서 1966년 흑인 어머니와 캐나다 국적의 백인 아버지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러나 트레세웨이가 어릴 때 부모는 이혼하고 어머니가 재혼했지만 가정 폭력에 시달리다가 다시 이혼했다. 트레세웨이에게 깊은 상처를 안겨준 비극은 그가 대학에 다니던 19세때 일어났다. 어머니가 이혼한 두 번째 남편에게 살해당했던 것이다. 이 충격과 슬픔은 그의 시집에 스며든채 도처에서 깊은 회한을 소리없이 쏟아내고 있다.

  2009년 4월말 우리나라를 방문하기도 했던 트레세웨이는 자신의 계관시인 선임이 의외라는듯, “그저 얼떨떨할 뿐”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보통 차기 계관시인은 8월초에 선정되어 발표되는데 올해는 두달이나 앞당긴 6월초에 공표되었다. 트레세웨이는 오는 9월부터 시낭송회 등 여러 가지 관행적인 행사를 주관하면서 내년 늦여름까지 계관시인으로 활동하게 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83 詩의 세계속에는 지상과 천상이 한 울타리에 있다... 2016-10-20 0 4322
1682 詩란 삶이 이승사자를 찾아가는 과정속의 울음이다... 2016-10-20 0 4094
1681 "말똥가리" 스웨덴 시인 -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2016-10-20 0 4896
1680 폴란드 녀류시인 - 비수아바 심보르스카 2016-10-20 0 5071
1679 고대 그리스 녀류시인 ㅡ 사포 2016-10-20 0 5120
1678 고대 그리스 맹인 음유시인 - 호메로스 2016-10-20 0 5678
1677 神들은 문학과 취미의 부문에 속하다... 2016-10-20 0 5121
1676 최초로 음악가가 "노벨문학상"을 걸머쥐다... 2016-10-19 0 5446
1675 <밥> 시모음 2016-10-19 0 3932
1674 詩를 쓸 때 꼭 지켜야 할것들아... 2016-10-19 0 4274
1673 詩란 백지위에서 나를 찾아가는 려행이다... 2016-10-18 0 4260
1672 락서도 문학적 가치를 획득할 때... 2016-10-17 0 4720
1671 詩란 낡아가는 돌문을 천만년 들부쉬는 작업이다... 2016-10-17 0 4555
1670 모든 문학예술은 련속성안에 있다... 2016-10-17 0 4356
1669 죽음은 려행이며 려행은 곧 죽음인것이다... 2016-10-17 0 4227
1668 시인으로서 살것인가 아니면 살인자로서 살것인가... 2016-10-16 0 4825
1667 한춘시인이여! 하늘나라에서 편히 쉬소서... 2016-10-16 0 4269
1666 마지막 단어라는것은 없다... 2016-10-16 0 3983
1665 무질서는 세계를 만들어낸다... 2016-10-16 0 4006
1664 동시 창작론 / 유경환 2016-10-16 0 4316
1663 동시 창작론 / 신현득 2016-10-16 0 4535
1662 미국 최후의 음유시인 - 월트 휘트먼 2016-10-16 0 6125
1661 모더니즘 대표적 영국 시인 - T.S.엘리엇 2016-10-16 0 7192
1660 詩란 언어비틀기가 오로지 아니다... 2016-10-16 0 5074
1659 詩는 태초부터 노래말, "활자감옥"속에 갇힌 문학 도망치기 2016-10-16 0 4259
1658 솔솔 동시향기 흩날리는 동시인 ㅡ 강려 2016-10-14 0 3783
1657 중국조선족 제2세대 대표적 시인 - 리상각 2016-10-14 0 4478
1656 詩에게 말을 걸어보다... 2016-10-14 0 4087
1655 음유시인 전통의 뛰여난 후계자 ㅡ 노벨문학상 주인 되다... 2016-10-14 0 5151
1654 詩란 막다른 골목에서의 정신과의 싸움이다... 2016-10-14 0 4230
1653 詩란 꽃씨앗을 도둑질하는것이다... 2016-10-14 0 4068
1652 난해한 말장난의 詩가 "최고의 현대시"인가?!... 2016-10-14 0 4094
1651 숟가락 시모음 2016-10-12 0 4276
1650 시인들이 이야기하는 詩모음 2016-10-12 0 4418
1649 명태 시모음 2016-10-12 0 6419
1648 어머니 시모음 2016-10-12 1 5608
1647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 2016-10-12 0 4357
1646 영남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들은 많아도 詩를 쓰는 놈은 딱 하나 영남 뿐! 2016-10-12 0 3791
1645 중국 조선족 시단의 기화이석 - 한춘시론 2016-10-12 0 3812
1644 詩의 독해(讀解)는 천파장 만파장이다... 2016-10-12 0 3900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