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의 건초더미에서 찾은 "바늘"
2016년 11월 28일 21시 04분  조회:4557  추천:0  작성자: 죽림
 
 
“제발 개구리처럼 앉지 마시고 여왕처럼 앉으세요” 

―데니즈 두허멜(1961∼ ) 

―필리핀 어느 대학의 여자 화장실 벽에 쓰인 낙서 
제멋에 살기를 잊지 말라, 멋 부리기를 잊지 말라. 
세상은 여드름투성이 소녀에게 보상하지 않는다. 
개구리처럼 앉지 말고 여왕처럼 앉아라. 
머리채에 광채를 내는 샴푸를 사라. 
머릿결이 직모라면 파마를 해라. 
제멋에 살기를 잊지 말라, 멋 부리기를 잊지 말라. 
숨결은 박하 향이 나도록 하고 이는 희고 깨끗이. 
손톱은 매니큐어 발라서 반짝이는 진주 열 개로. 
개구리처럼 앉지 말고 여왕처럼 앉아라. 
웃음 지어라. 특히 기분이 더러울 때. 
차를 운전하면서 급회전할 때에는 머리를 숙여라. 
제멋에 살기를 잊지 말라, 멋 부리기를 잊지 말라. 
욕망에 자신을 내맡기지 말고 날씬한 몸매를 유지해야
사교춤 출 때 치맛자락을 추켜올릴 수 있지. 
개구리처럼 앉지 말고 여왕처럼 앉아라. 
교수와 혼인하지 말고 학장하고 해라. 
왕하고 혼인하지 백작하고는 하지 마라. 
제멋에 살기를 잊지 말라, 멋 부리기를 잊지 말라. 
개구리처럼 앉지 말고 여왕처럼 앉아라.
 

‘주한 미국대사관 공보과’에서 한국어판으로 발행한 ‘2006 미국 올해의 가장 좋은 시’에서 옮겼다. 이 시선집의 편집자로 시를 선정한 빌리 콜린스(시인)가 쓴 서문 제목이 ‘시의 건초더미에서 찾은 75편의 바늘’이다. 해마다 거듭 탈락된 ‘건초더미’ 시인들의 불쾌감을 언급하며 그는 ‘제목은 기껏해야 마케팅 전략일 뿐’이라고, ‘그럭저럭 읽을 만한 시’라는 시집에 독자의 손이 선뜻 가겠느냐고 눙친다. 

 
여대생과 여왕처럼 변기와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 있을까. 새침한 여대생도 고고한 여왕님도 거기서 거기일 화장실에서 취할 자세가 떠오르면서 빙긋 웃게 되는 화장실 낙서. 그에 촉발된 요즘 젊은 여성의 살아가는 모습과 생각을 나열하며 언뜻 부추기는 모양새다. ‘멋 부리기’는 기본! 화장 안 해도 예쁜 나이라는 건 네 라이벌들이 지어낸 거짓말이다. 몸을 가꾸는 데 돈과 시간을 투자해라. 그렇게 해서 기껏 멋진 여인이 돼도 아무 남자나 만나면 ‘꽝’이니라! 최고의 남자를 만나라. 좌식변기에서는 여왕인들 개구리처럼 앉을 수밖에 없다는 걸 명심해라.  

결혼을 신분 상승의 발판으로 삼으려는 젊은 여인에게 결혼시장에서 상품 가치를 높일 지침을 이리 내려주시는 이는 아마 신붓감의 어머니이리. 젊은 여인들이여, 이런 삶에 완전 공감인가요? 여하간 ‘개구리처럼 앉지 말고 여왕처럼 앉’는 건 바람직한 자세.

황인숙 시인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50508/71128584/1#csidx3cf584284336d79b01dd36b4d51fd50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83 김파 / 최룡관 2015-03-27 1 4444
282 아방가르드/ 시론 2015-03-27 0 4288
281 심상운 시와 기호 2015-03-23 0 4326
280 문덕수 현대시론 2015-03-23 0 4986
279 강경애 문학비 2015-03-23 0 4263
278 김창걸 문학비 2015-03-23 0 4718
277 초현실주의와 앙드레 브르통 2015-03-21 0 5288
276 초현실주의 혁명 2015-03-21 0 4271
275 초현실주의 요약자료 2015-03-21 0 4660
274 첫수확 노래비 2015-03-18 0 4336
273 류연산 문학비 2015-03-18 0 5160
272 최룡관 시비 2015-03-18 0 4226
271 김문회, 리근영, 박화, 최룡관 시비 (화룡 선경대) 2015-03-18 0 4759
270 심련수 시비 2015-03-18 0 4342
269 김파 시비 2015-03-18 0 5021
268 정몽호 시비 2015-03-18 0 4374
267 김학철, 김사량 문학비 2015-03-18 0 5487
266 김학철 문학비 (도문 장안 룡가미원) 2015-03-18 0 4824
265 조룡남 시비 2015-03-18 0 4717
264 최문섭 시비 2015-03-18 0 4408
263 김례삼 시비 2015-03-18 0 4876
262 채택룡 시비 2015-03-18 0 4243
261 윤정석 시비 2015-03-18 0 4953
260 동시인 - 강려 2015-03-18 0 4536
259 정판룡 문학비 2015-03-18 0 4866
258 연변 문학비 순례 2015-03-18 0 4438
257 리태수 시비, 조룡남 시비 (룡정 일송정 내) 2015-03-17 0 5030
256 선구자의 노래은? 2015-03-17 0 4616
255 윤동주 시비 ㄴ 2015-03-17 0 4200
254 윤동주 <서시>의 새로운 해석 2015-03-17 0 5303
253 윤동주 시비 2015-03-17 0 4302
252 김성휘 시비 2015-03-17 0 4597
251 詩碑의 是非 2015-03-17 0 4237
250 리욱 시비 2015-03-17 0 4825
249 시평 절록/ 김관웅 2015-03-15 1 5316
248 "시지기 - 죽림"의 詩와 관련하여ㅡ(김관웅 평론) 2015-03-15 1 4856
247 시인 - 최룡국 2015-03-15 0 4668
246 시인 - 리련화 2015-03-15 0 4828
245 시조시인 - 최혜숙 2015-03-15 0 4759
244 시인 - 박룡철 2015-03-15 0 4405
‹처음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