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러시아계 미국 시인 - 조지프 브로드스키
2016년 11월 22일 21시 53분  조회:4470  추천:0  작성자: 죽림
   

조지프 브로드스키

 
 
조지프 브로드스키 (1988)
조지프 브로드스키(Joseph Brodsky, 1940년 5월 24일 ~ 1996년 1월 28일)는 러시아계 미국인 시인이자 에세이 작가이다. 원래 이름은 이오시프 알렉산드로비치 브로드스키(러시아어: Ио́сиф Алекса́ндрович Бро́дский)이다. 1987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1972년 6월 4일에 소비에트 연방에서 추방되어 1977년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출생일
1940. 5. 24, 소련 레닌그라드(지금의 상트페테르부르크)∼
사망일 1996. 1. 28, 미국 뉴욕 뉴욕시티
국적 소련/미국
요약 러시아 태생의 시인.
본명은 Iosip Aleksandrovich Brodsky.

목차

1987년 중요한 서정적 비가들로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15세에 학교를 그만두고 그때부터 여러 가지 직업을 전전하면서 시를 쓰기 시작했다.
레닌그라드 문단에서 명성을 얻기 시작했으나 독립적 성향과 꾸준하지 않은 작품활동으로 소비에트 당국으로부터 '사회주의의 기생충'이라는 비난을 받았고 1964년 5년간의 중노동을 선고받았다. 그러나 비중 있는 작가들이 이 판결에 이의를 제기한 덕택에 1965년 사면받았다. 1972년 소련에서 미국으로 망명한 후 계속 그곳에서 살았고 1977년 미국시민권을 얻었다. 1972∼80년에는 중간중간 미시간대학교와 앤아버대학교의 거주시인으로 있었고 그밖의 다른 학교에서도 객원교수로 활동했다.
그의 시는 개인적 주제들을 담고 있으며 삶과 죽음, 존재의 의미 같은 보편적 관심사를 강렬하고 사색적인 필치로 다루고 있다. 러시아어로 쓰인 초기작품 가운데는 〈운문과 시 Stikhotvoreniya i poemy〉(1965)·〈황야의 정거장 Ostanovka v pustyne〉(1970)이 대표적이다. 이들 작품을 포함한 다른 작품들이 조지 L. 클라인에 의해 영역되어 〈시선집 Selected Poems〉(1973)으로 나왔는데, 특히 유명한 〈존 던을 위한 비가 Elegy for John Donne〉도 실려 있다.
러시아어와 영어로 쓰인 중요한 작품으로 시선집 〈연설의 일부 A Part of Speech〉(1980)·〈20세기의 역사 History of the Twentieth Century〉(1986)·〈우라니아에게 To Urania〉(1988)와 산문모음집인 〈1보다도 작은 Less than One〉(1986)·〈슬픔과 이성에 대해 On Grief and Reason〉(1995)를 꼽을 수 있다. 이탈리아의 도시 베네치아와 자신의 인연을 조용하면서도 치밀한 문체로 다룬 산문인 〈Fondamenta degli Incurabili〉(1991) 역시 빼놓을 수 없는 그의 수작 가운데 하나이다.===///

러시아 사테 페케르부르크에서 태어나 15세 때 학교교육을 중단하고
독학으로 철학, 종교사, 폴란드어, 영어 등을 공부한 능력자이시자
1956년 헝가리 사태 이후론 반체저 성향으로 인해 강제노동수용소에 수감되었다가
이후 강제추방되어 미국의 대학에서 교수로 근무하며
 

1987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어마무시한 경력을 자랑하는 시인이십니다... ^^
 
1 January 1965

The Wise Men will unlearn your name.
Above your head no star will flame.
One weary sound will be the same—
the hoarse roar of the gale.
The shadows fall from your tired eyes
as your lone bedside candle dies,
for here the calendar breeds nights
till stores of candles fail.

What prompts this melancholy key?
A long familiar melody.
It sounds again. So let it be.
Let it sound from this night.
Let it sound in my hour of death—
as gratefulness of eyes and lips
for that which sometimes makes us lift
our gaze to the far sky.

You glare in silence at the wall.
Your stocking gapes: no gifts at all.
It's clear that you are now too old
to trust in good Saint Nick;
that it's too late for miracles.
—But suddenly, lifting your eyes
to heaven's light, you realize:
your life is a sheer gift.



Constancy

Constancy is an evolution of one’s living quarters into
a thought: a continuation of a parallelogram or a rectangle
by means—as Clausewitz would have put it—
of the voice and, ultimately, the gray matter.
Ah, shrunken to the size of a brain-cell parlor
with a lampshade, an armoire in the “Slavic
Glory” fashion, four studded chairs, a sofa,
a bed, a bedside table with
little medicine bottles left there standing like
a kremlin or, better yet, manhattan.
To die, to abandon a family, to go away for good,
to change hemispheres, to let new ovals
be painted into the square—the more
volubly will the gray cell insist
on its actual measurements, demanding
daily sacrifice from the new locale,
from the furniture, from the silhouette in a yellow
dress; in the end—from your very self.
A spider revels in shading especially the fifth corner.
Evolution is not a species’
adjustment to a new environment but one’s memories’
triumph over reality, the ichthyosaurus pining
for the amoeba, the slack vertebrae of a train
thundering in the darkness, past
the mussel shells, tightly shut for the night, with their
spineless, soggy, pearl-shrouding contents.
 
참고로 그의 시는 번역본 구하기가 쉽지 않아 
영어 원문으로 공유합니다...ㅜㅜ
[출처] 조지프 브로드스키 Joseph Brodsky|\///===\///겨울 물고기 / 조지프 브로드스키


물고기는 겨울에도 산다.
물고기는 산소를 마신다.
물고기는 겨울에도 헤엄을 친다.
눈으로 얼음장을 헤치며
저기
더 깊은 곳
바다처럼 깊은 곳으로.
물고기들
물고기들
물고기들
물고기는 겨울에도 헤엄을 친다.
물고기는 떠오르고 싶어 한다.
물고기는 빛 없이도 헤엄을 친다.
겨울의
불안한 태양 밑에서.
물고기는 죽지 않으려고 헤엄을 친다.
영원히 같은
물고기의 방식으로.
물고기는 눈물을 흘리지 않는다.
빙괴 속에 머리를 기대고
차디찬 물속에서 얼어붙는다.
싸늘한 두 눈의
물고기들이.
물고기는
언제나 말이 없다.
그것은 그들이
말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고기에 대한 시도
물고기처럼
목구멍에 걸려 얼어붙는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43 멕시코 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7-02-20 0 5571
2042 레바논-미국적 시인 - 칼릴 지브란 2017-02-19 0 5262
2041 아랍 "망명시인" - 니자르 카바니 2017-02-19 0 5072
2040 러시아 시인 - 발라쇼브 에두아르드 2017-02-19 0 3391
2039 몽골 시인 - 롭상도르징 을찌터그스 2017-02-19 0 3597
2038 일본 시인 - 미야자와 겐지 2017-02-19 0 5608
2037 일본 시인 - 스즈키 히사오 2017-02-19 0 3795
2036 시인 김파 "흑색 태양" 대하서사소설 출판하다... 2017-02-18 0 4411
2035 폴란드 시인 - 즈비그니에프 헤르베르트 2017-02-14 0 3574
2034 폴란드 시인 - 심보르스카 2017-02-14 0 3479
2033 프랑스 초현실주의의 선구자 시인 - 시욤 아폴리네르 2017-02-14 0 5205
2032 영국 시인 - 윌리엄 골딩 2017-02-14 0 4098
2031 스웨덴 국민시인 - 토마스 트란스트 뢰메르 2017-02-14 0 3819
2030 명문 옥스퍼드大 "시 교수"속에 시지기-竹林 있다?...없다?... 2017-02-13 0 4278
2029 영국 시인 - 필립 라킨 2017-02-13 0 4493
2028 아일랜드 시인 - 셰이머스 히니 2017-02-12 0 5055
2027 아랍 시리아 "모더니스트 혁명" 시인 - 아도니스 2017-02-12 0 4150
2026 터키 인민의 시인 - 히크메트 2017-02-09 0 4079
2025 중국 최초 신시 문학가 - 沈尹(君)默 2017-02-05 0 3837
2024 중국 현대시인 - 北島 2017-02-05 0 4012
2023 중국 페미니스트 녀류시인 - 伊雷(孫桂珍) 2017-02-05 0 3975
2022 중국 현대 산문가 시인 - 朱自淸 2017-02-05 0 4105
2021 중국 시대별 대표적인 녀류시인들 2017-02-05 0 4165
2020 중국 당나라 녀류시인 - 薛濤(설도) 2017-02-05 0 3672
2019 중국 현대시단 시인 - 艾靑 2017-02-05 0 4275
2018 중국 현대시의 개척자 中 시인 - 徐志摩 2017-02-05 0 7297
2017 중국 현대의 시인 - 何其芳 2017-02-05 0 4135
2016 중국 현대시인 시작품선(1) 2017-02-05 0 4321
2015 영국 계관시인 - 앨프리드 테니슨 2017-02-05 0 4864
2014 고대 로마 서정 풍자시인 - 호라티우스 2017-02-05 0 5682
2013 영국 "석별의 정" 시인 - 로버트 번스 2017-02-02 0 4916
2012 일본 녀류시인 - 무라사키 시키부 2017-02-02 0 4183
2011 "불쌍한 시인", "저주받는 시인", "상인 탐험가 시인" 2017-02-02 0 4200
2010 중국 당나라 "시사(詩史)의 시인 - 두보 2017-02-02 0 4863
2009 "영문학의 아버지" 영국 시인 - 초서 2017-02-02 1 4814
2008 "시인 중의 시인" 독일 시인 - 프리드리히 휠덜린 2017-02-02 0 4992
2007 영국 랑만주의 시인 - 윌리엄 블레이크 2017-02-02 0 7335
2006 [자료] - 서정주, 국화 옆에서, "친일시?"... 2017-01-30 1 5335
2005 강릉출생 민족시인 심연수 유품 고향에 돌아오다... 2017-01-27 0 4016
2004 민족시인 심연수 그는 누구인가... 2017-01-27 0 4962
‹처음  이전 2 3 4 5 6 7 8 9 10 11 1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