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미국 현대시인 - 월리스 스티븐스
2016년 11월 06일 22시 56분  조회:4244  추천:0  작성자: 죽림

[ 2016년 11월 07일 09시 08분 ]

 

 

중국 문창(文昌) 발사기지에서...



The snow man 

Wallace Stevens: 1879-1955 


One must have a mind of winter 
To regard the frost and the boughs 
Of the pine-trees crusted with snow; 

And have been cold a long time 
To behold the junipers shagged with ice, 
The spruces rough in the distant glitter 

Of the January sun; and not to think 
Of any misery in the sound of the wind, 
In the sound of a few leaves, 

Which is the sound of the land 
Full of the same wind 
That is blowing in the same bare place 

For the listener, who listens in the snow, 
And, nothing himself, beholds 
Nothing that is not there and the nothing that is. (CP, 9-10) 


눈사람 

월리스 스티븐스 (Wallace Stevens: 1879-1955) 
영한대역 손근호 

사람은 겨울의 마음을 가져야 한다 
눈으로 입어 표피처럼 된 소나무 가지와 
서리를 보기 위해서는 

그리고 오랫동안 추위에 있어 왔다 
얼음 덮혀 가지 늘어진 로뎀나무와 
아득히 반짝이는 
가문비나무 보기 위해서. 

그리고 
1월의 햇빛 속에 바람의 소리에, 
부대끼는 얼마 남지 않은 잎들의 소리에 
비참함을 잊기 위해서는 

땅의 소리에 비잔함 
늘상 똑같은 바람 전부를 
늘상 같은 발가벗은 듯한 장소에서 불고있는 바람을.. 



설원에서 듣고 있는 그 청취자에겐, 
그 자신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그곳에 있지 않는 것과 같이 존재하는 없음으로 
자리 하고 있다. 


월리스 스티븐스의 The snow man[눈사람] 감상 

월리스 스티븐스는 미국의 모더니즘시에 대표적인 시인이다. . 그의 시는 이미지의 결합이 회화적이며, 그는 이미지즘(imagism) 물리적(physicality) 기법을 잘 적용 시켰다. 그는 이 세상을 혼란 confusion, 혼돈 chaos, 소동 turmoil 등으로 이루어진 논리없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그는 시인의 역할은 시적 상상력poetic imagination, 시를 통해 인간을 이런 혼란한 세상에서 끌고 나와 상상력, 즉 Supreme fiction(최상의 허구)의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라 보았다. 즉, 지도 제작자가 우리를 위해 세상을 그려 어디가 어딘지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한것과 같이, 시인의 역할을 혼란한 세계에서 우리의 영이 어디에 있고 삶의 의미는 어디에 있는지를 정리해서 알려주는 것이라고 본 것이다. 그의 작품중에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위의 작-The snow man- 은 인간의 무위론을 관조적으로, 어느 황량한 곳에 누군가 만들어 놓은 눈사람에 대하여 시인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인내심을 말해 주며 그 속에서 인간에 애잔한 희망을 부르고 있다. 
겨울은 사람에겐 무섭고 황량한 계절일 수도 있고. 어떤 사람에겐 자기성찰을 위한 계절일 수도 있다. 눈사람이 비록 봄이 오면, 녹을 지언정 그 추운 겨울날에도 황량한 바람의 소리를 듣고 그리고 그 눈사람이 누군가에 의해 만들어지기전부터 그리고 존재하는 나뭇가지의 서리에 성서러움을 시인은 노래 하고 있다. 그 춥고 매서운 바람에서도 굴하지 않고 서서 유지 하고 있는 눈사람을 설명하는 시인 월리스 스티븐스의 마음은 희망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것이 인간존재론에 관한 은유가 잘된 시이기도 하며, 일생활에 가장 간단한 소재, 그냥 지나칠 수 있는 광경. 한 겨울에 눈사람을 보고, 인간의 고뇌와 번뇌를 대입 시킨 시인의 힘이 대단 하다 하겠다. 
또한 이 시에서 월리스 스티븐스의 시세계 상상력의 전통적인 기능을 충분이 이미져리화 했다. 익숙한 것을 낯선 것을 익숙한 심상의 풀이로 나타내었다. 지나쳐 볼 수 있는 눈사람의 제재를 만드는데 있다. 그는 그래서 위대한 사상가이며 위대한 시인이며, 정신이 위대할수록 위대한 시인이라고 칭해 지고 있다. 그의 대표작인 이 눈사람은 읽는 이로 하여금 "영감"(inspiration)과 상상력의 차이를 논하게 만든다, 본질적으로 영감이 우연적인 것이라면 상상력은 끊임없는 정신의 작용으로써, 상상력을 고취시키는 경이로운 이성에 의해 자신의 작업을 하듯이, 시인은 그래서 눈사람을 바로 정신의 노력인 상상력으로 자신의 과제를 행하는 사람과 같게 은유를 해놓은 것이다. 또한 이 시는 심연의 초월성이 뛰어난 작품이다.[설원에서 듣고 있는 그 청쥐자에겐,/그 자신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그곳에 있지 않는 것과 같이/존재하는 없음으로/자리 하고 있다.]라고 하여 절대적인 고독이 존재의 불확실성이라 표현 하여 오히려 눈사람의 절대적인 존재의 초월성을, 영원무궁무진이라는 반전법으로 
마무리 하고 있다. -시인 손근호- 


약력
 
월리스 스티븐스는 1879년 10월 2일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레딩이라는 곳에서 출생했다. 그는 하버드 대학교와 뉴욕 대학교 법대에서 수학했으며 1904년에 변호사 자격을 취득한 후 1916년 까지 뉴욕에서 변호사로 활동했다. 그리고 1916년부터 Stevens는 '하트포드 사고배상 보험회사'에 근무하기 시작하여 1934년에는 부사장으로 승진했으며 이후 은퇴할 때까지 그 보험회사에서 일했다. Stevens는 1910년을 전후해서 미국과 유럽에서 일종의 붐을 일으켰던 소위 소잡지운동(the little magazine movement)으로 인해 많이 발간되고 있었던 여러 소잡지들에 시를 발표하며 등장한 20세기초의 현대시인들 중의 한 사람이었다. 
그의 본격적인 창작활동은 1914년에 당시 유명한 소잡지 중의 하나였던 Poetry: A Magazine of Verse지 11월호에 시를 발표하면서부터였다. 그러나 그의 최초의 시집인 Harmonium이 출판된 것은 Stevens가 44세 되던 해인 1923년이었다. 이 시집은 1931년 수정·증보되어 다시 출판되긴 했지만, Stevens는 첫 시집을 낸 지 12년만인 1935년에야 두번째 시집인 Ideas of Order를 출판했다. 그러나 이어서1936년에는 Owl's Clover, 그리고 1937년에는 The Man with the Blue Guitar를 간행하는 저력을 보이기도 했다. 이후 Stevens는 1942년에 Parts of a World 와 유명한 Notes Toward a Supreme Fiction을, 1944년에는 Esthetique du Mal을, 1947년에는 Transport to Summer, Three Acadmic Pieces, 1948년에는 A Primitive Like an Orb, 1953년에는 Selected Poems, 1954년에는 The Collected Poems, 그리고 사후인 1957년에는 S.F. Morse가 편집한 Opus Posthumous를 출판했다. Stevens는 또 자신의 시론이 담긴 에세이집인 The Necessary Angel: Essays on Reality and Imagintion을 1951년에 출판했다. 그는 1950년에는 Bollingen Prize를, 그리고 1955년에는 Pulitzer Prize와 National Book Award를 수상했으며, 1955년에 76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63 볼세비키/ 정세봉(제목 클릭하기... 訪問文章 클릭해 보기...) 2024-07-13 0 1163
2162 프랑스 시인 - 기욤 아폴리네르 2021-01-27 0 4671
2161 미국 시인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2021-01-26 0 3176
2160 미국 시인 - 월러스 스티븐스 2021-01-26 0 3363
2159 미국 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21-01-26 0 3171
2158 미국 시인 - 엘리엇 2021-01-26 0 3616
2157 미국 시인 - 에즈라 파운드 2021-01-26 0 3361
2156 미국 시인 - 엘리자베스 비숍, 에이드리언 리치 2021-01-26 0 3402
2155 미국 시인 - 제임스 디키 2021-01-26 0 3063
2154 미국 시인 - 필립 레빈 2021-01-26 0 3195
2153 미국 시인 - 리처드 휴고 2021-01-26 0 2876
2152 미국 시인 - 시어도어 레트키 2021-01-26 0 3172
2151 미국 시인 - 존 베리먼 2021-01-26 0 3251
2150 미국 시인 - 앤 섹스턴 2021-01-26 0 3520
2149 미국 시인 - 실비아 플라스 2021-01-26 0 2915
2148 미국 시인 - 칼 샌드버그 2021-01-26 0 3413
2147 시적 개성 목소리의 적임자 - 글릭; 노벨문학상 문턱 넘다... 2020-10-09 0 3375
2146 고대 음유시인 - 호메로스 2020-03-09 0 4698
2145 프랑스 시인 - 폴 엘뤼아르 2020-03-01 0 4798
2144 한국 시인, 생명운동가 - 김지하 2020-01-23 0 4483
2143 한국 최초 시집... 2019-12-16 0 4715
2142 조선 후기 시인 - 김택영 2019-12-06 0 4580
2141 토속적, 향토적, 민족적 시인 - 백석 2019-11-18 0 6867
2140 한국 최초의 서사시 시인 - 김동환 2019-10-30 0 4357
2139 한국 순수시 시인 - 김영랑 2019-09-29 0 6507
2138 [시인과 시대] - 문둥이 시인 2019-08-07 0 5063
2137 일본 시인 - 미야자와겐지 2018-12-18 0 5240
2136 "쓰레기 아저씨" = "환경미화원 시인" 2018-11-15 0 4798
213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고추밭 2018-08-20 0 5108
2134 동시의 생명선은 어디에 있는가... 2018-07-09 2 4289
2133 인도 시인 - 나이두(윤동주 흠모한 시인) 2018-07-09 0 5072
2132 저항시인, 민족시인, "제2의 윤동주" - 심련수 2018-05-28 0 5964
2131 페르시아 시인 - 잘랄 앗 딘 알 루미 2018-05-04 0 6241
2130 이탈리아 시인 - 에우제니오 몬탈레 2018-04-26 0 6261
2129 프랑스 시인 - 보들레르 2018-04-19 0 7538
2128 윤동주가 숭배했던 시인 백석 2018-04-05 0 6213
2127 일본 동요시인 巨星 - 가네코 미스즈 2018-03-31 0 6098
2126 영국 시인 - 월리엄 블레이크 2018-03-22 0 4028
2125 오스트리아 시인 - 잉게보르크 바하만 2018-03-06 0 5153
2124 미국 시인 - 아치볼드 매클리시 2018-02-22 0 5737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