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시문학소사전] - 상징주의란?
2016년 11월 01일 23시 13분  조회:5466  추천:0  작성자: 죽림

 

[ 2016년 11월 02일 07시 30분 ]

 

 

유명 사진작가 Jordan Matter의 모델로 된 반라체의 모습...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프랑스를 중심으로 일어난 상징파()의 예술운동과 그 경향.

일반적으로 상징파는 고답파의 객관주의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났고, 분석에 의하여 포착할 수 없는 주관적 정서()의 시적 정착()을 목표로 했다고 한다. 

그러나 A.티보데는 고답파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롱사르로부터 위고에 이르기까지 프랑스시 전반에 대해서 상징파는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켰다고 풀이하였다. 티보데가 말하는 상징파의 새로운 바람이란 다음의 세 가지 점이다. 
① 자유시: 그 시작은 민중적인 노래의 형태를 필요에 따라 채용한 랭보의 《지옥의 계절》이다. 이에 대해 의식적 ·계통적으로 자유시를 발전시킨 것은 G.캉이었다. 이후 프랑스의 시인은 정형()을 채용하는 자와 자유시 형태를 쓰는 자의 두 갈래로 나누어졌다.
② 순수시(): “음악에서 그 부()를 빼앗는다”라는 말라르메의 말로 요약되는 순수시의 개념은 상징파에서 비롯된다(이 경우의 음악은 주로 바그너의 음악이다). 시 속에서 산문적 요소를 배제하고 순수하게 시적인 것을 찾으려는 의식적 노력은 바그너의 영향 아래 말라르메에서 시작되어 발레리에서 완성되었다. ③ 문학적 혁신과 발전의 개념: 상징파는 처음으로 젊은 세대에게 전세대()의 문학개념을 부정하는 권리와 의무를 인정했다. 전위(: 아방가르드)의 개념이 탄생한 이후 문학은 ‘전통적 문학’과 ‘전위문학’으로 나누어졌고 유파()의 수도 늘었으며, 선언()이 유행하게 되었다.

이상이 티보데가 말하는 상징파의 특징인데 이 경우, 순수한 문학사적 의미에서 상징파는 1890년에 전성기에 달했고 1902년에 종지부를 찍은, 대략 15년간에 걸친 일군()의 시인들의 활동을 지칭한다. 즉,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시인들이다. G.캉, J.라포르그, A.사맹, F.잠, E.뒤자르댕 등을 들 수 있다. 외국인으로서 여기에 호응한 사람은 벨기에의 조르지 로당바크, E.베르아렝 등이다. 앙리 드 레니에, 장 모레아스는 일시적인 상징파 동지였으며, 그런 의미에서의 상징파 비평가는 레미 드 구르몽이었다. 티보데는 말라르메, 베를렌, 랭보, 코르 비에르, 로트레아몽을 상징파의 선구자로 보았으며 발레리를 그 후계자로 보았다.

만일 이 해석이 옳다면 상징파는 선구자와 후계자에 필적할 만한 대시인()이 없다는 결과가 된다. 그러므로 말라르메를 비롯하여 티보데가 말하는, 선구자를 포함한 상징주의적 시인들이 활약한 15년간이라는 운동기간을 떠나, 좀더 넓게 상징주의를 문제삼을 필요가 있다. 즉, 보들레르를 선구자로 말라르메, 베를렌, 랭보에 의하여 전개되었으며 발레리, 잠, 클로델에게 계승되어 마침내 완성된 시적() 세계와 그 이론을 생각하게 된다. 보들레르는 하나의 시적 혁명()을 일으켰다 하겠다.
첫째로 그 의식적 방법에서, 이윽고 이것은 말라르메를 탄생시켜야 했다. 
둘째로 원죄의식()에서 베를렌을 탄생시켰다. 
셋째로 그 감수성()과 대응()의 이론에서, 이것은 마침내 랭보를 탄생시켰다. 또한 말라르메와 발레리, 베를렌과 잠, 랭보와 클로델의 밀접한 관계를 증명하기는 어렵지 않다.

이렇게 하여 결정되는 상징주의적 세계의 분석에 샤를 뒤보스, 자크리비엘, 에른스트 로베르트 쿠르티우스 등의 비평가가 따랐다. A.지드도 여기에 넣을 수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상징파 시인들의 세계와 밀접하게 교류한 M.프루스트도 이 세계에 속한다 할 수 있다. 

프랑스 이외의 나라에서는 독일의 S.게오르게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또 M.릴케도 다소간 상징파의 영향을 받아들인 것은 분명하다. 영어()를 사용하는 시인에게서는 독일의 시인처럼 확실한 영향은 찾아볼 수 없으나 A.시몬즈는 프랑스 상징주의의 뛰어난 이해자였다.

서양미술에서의 상징주의는 19세기 후반 인상주의의 실증적 표현에 대한 대립 및 저항이라는 형태로 나타났다. 즉 형상화할 수 없는 초자연적인 세계, 내면(), 관념 등을 상징 ·우의() ·표징 등의 수법으로 이미지를 통해 전달하려 하였다. 1891년 비평가 A.오리에는 회화에 대해 처음 상징주의라는 말을 썼고 P.고갱 등을 상징파로 보았다. 나비파()의 M.드니도 상징파로 자처했으며 그들은 생() ·사() ·불안 ·사랑 ·성() ·꿈 ·환상 등을 주제로 삼았다. 그러나 고갱은 자신의 그림이 상징주의적인 것은 주제 때문이 아니며 화면의 형태와 색체의 음악적인 배치 때문이라고 하였다. 19세기 상징주의는 주제적 ·문학적 측면과 서로 대립된 순수조형적 구성이라는 관념에서 이해해야 하며, 이것이 ‘세기말()’ ‘아르 누보’와 복합되면서 널리 파급되었다. 

상징주의의 명작으로는 고갱의 《우리는 어디서 왔다가 어디로 가는가?》(1897), G.클림트의 《물뱀》, F.호들러의 《밤》, E.뭉크의 《절규》 등이 있다. 이 밖에 P.퓌비 드 샤반, O.르동, 벨기에의 장미십자그룹, 러시아의 파란장미그룹, 영국의 라파엘전파()의 후기 작품들이 이에 속한다. 이런 경향은 1910년대까지 계속되다가 20세기 초 포비슴과 큐비즘의 출현으로 점차 자취를 감추었다. 

한국에서의 상징주의 문학은 김억(金) ·백대진()이 《태서문예신보(西)》 제6호와 제7호에 베를렌의 《거리에 내리는 비》, 예이츠의 《꿈》 등 상징파 시인의 작품을 게재하면서 처음으로 이 이론이 소개되었으며 잇따라 베를렌의 《작시론》 등을 비롯하여 일본 작가들의 작품이 《창조》 《백조》 《폐허》를 통해 번역, 게재되었다. 김억 ·황석우() ·박종화() ·박영희() 등의 작품에서는 비록 내면적 깊이는 얕지만 상징주의적 작풍이 짙게 풍기고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317 사투리 만만세 7 2016-02-07 0 4789
316 사투리 만만세 6 2016-02-07 0 5528
315 사투리 만만세 5 2016-02-06 0 4739
314 사투리 만만세 4 2016-02-06 0 5294
313 사투리 만만세 3 2016-02-06 0 5232
312 사투리 만만세 2 2016-02-06 0 5448
311 사투리 만만세 1 2016-02-06 0 4992
310 땡- 설 차례상 차리는 방법 2016-02-06 0 6305
309 근현대 詩版圖 2016-02-06 0 7813
308 땡~ 제8교시: 너도나도 일기를 써봅시다 2016-02-05 0 5131
307 호르룩! 축구경기 시작, 2분간 주저앉아 묵념... 2016-01-31 0 6479
306 땡!- 1966년도부터 "눈지압법" 실시한 중국 / 수필에 관하여 2016-01-22 0 6335
305 조선말 큰사전이 나오기까지... 우리 말 우리 글 아끼자... 2016-01-15 0 7339
304 쉼터 - 酒黨(주당) 10杰 2016-01-14 0 5643
303 쉼터 - 재밋는 별의별 축구 2016-01-06 1 5871
302 쉬여가는 페이지 - 월트컵 참가국들의 國歌 2016-01-01 0 6354
301 (자료) 중국조선족문학 최고의 노벨상 ㅡ 단군문학상 - 임자들 나타나다... 2015-12-29 0 7168
300 공부하기 싫어... 땡 !!! - 재미나는 글공부 2015-12-10 0 6498
299 땡! 땡!... 제2교시 - 재미있는 우리말 2015-12-09 0 5280
298 땡! ㅡ 제1교시 - <<바람>> 2015-12-09 0 6844
297 쉼시간 - 땡 땡 땡... 조선방언세계 2015-12-08 0 8057
296 쉼시간 - 땡 땡 땡... 통일되여야 할 우리 말들 2015-12-07 0 5258
295 쉼시간 - 땡 땡 땡...무게 17톤짜리 탱크로 학교 등교 2015-12-07 0 5682
294 각 나라별 = 감사합니다는?!... 2015-12-07 0 6717
293 띠? ... 2015-12-06 0 4697
292 쉬여가는 페이지 - "독일축구의 고향 = 라이프찌히" 2015-12-06 0 4977
291 쉬여가는 페이지 - 세계일주... 2015-12-06 0 5158
290 쉬여가는 페이지 = 축구경기 도중 지루한 경기라며 승부차기를 지시한 대통령 ... 2015-12-05 0 6838
289 (자료) 중국 연변작가협회 歷史沿革 / 단군문학상 2015-12-05 0 13129
288 우리 말 우리 글 즉, 훈민정음(訓民正音) 은 어떻게 만들어 졌을가? 2015-12-05 0 6682
287 죽기전에 꼭 읽어야 할 책 100 2015-12-04 0 5247
286 죽기전에 꼭 후회하는 10 2015-12-04 0 5441
285 죽기전에 꼭 해야 할 88 2015-12-04 0 5083
284 죽기전에 꼭 가봐야 할 한국 려행지 100 2015-12-04 0 5124
283 꼭 가봐야 할 유럽의 숨은 도시들 2015-12-04 0 5361
282 쉬여가는 페이지 - 흥미로운 축구이야기 ㄱ 2015-12-04 0 5148
281 다시 보는 시인 윤동주 년보 2015-12-02 0 4930
280 우리 조선말 잡지들 2015-11-26 0 5429
279 우리 조선말 신문들 2015-11-26 0 5377
278 백두산 알아보기 2015-11-26 0 6135
‹처음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