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1월 2025 >>
   1234
567891011
12131415161718
19202122232425
26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쉼터] - 불교경전을 알아보다...
2016년 11월 01일 21시 24분  조회:6208  추천:0  작성자: 죽림
 

경전의 종류

 

 

불교 경전의 분류

 

 

 

내용의 구분

경 전 의 종 류

초기 경전

숫타니파타, 법구경, 자설경, 여시어경, 장로(니)게경

선생경, 기세인본경, 대반열반경

인연 ․ 설화 경전

본생경, 불본행집경, 출요경, 인과경, 비유경,

현우경, 백유경, 육도집경

삼매 ․ 수행 경전

안반수의경, 수행도지경, 반주삼매경, 관불삼매경,

금강삼매경, 능가경, 해심밀경

반야 경전

반야심경, 금강경, 팔천송반야경, 문수반야경,

대품반야경,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

방등 경전

대집경, 대보적경, 대방등여래장경, 유마경, 승만경,

원각경, 능엄경

법화 ․ 화엄 경전

법화경, 대승열반경, 십지경, 화엄경

밀교 경전

대일경, 금강정경, 유희야경, 천수경

계율 경전

우바새계경, 범망경, 보살영락본업경, 보살지지경

신앙 ․ 찬탄 경전

정토삼부경, 미륵삼부경, 지장보살본원경, 약사여래본원경,

비화경, 금광명경, 인왕반야경

교계(敎誡) 경전

유교경, 사십이장경, 부모은중경

 

 

한글팔만대장경 목록
01. 장아함경 
02. 중아함경 1 - 3 
05. 잡아함경 1 - 3 
08. 별역잡아함경 
09. 증일아함경 1 - 2 
11. 대루탄경 (외) 
12. 불반니원경 (외) 
13. 아라한구덕경 
14. 비화경(외) 
15. 불본행집경 1 - 2 
17. 찬집백연경 
18. 현우경(외) 
19. 출요경(외) 
20. 법구경(외) 
21. 대반야경 1 - 20 
41. 법화경 
42. 화엄경(60권본) 1 - 3 
45. 화엄경(80권본) 1 - 3 
48. 화엄경(40권본) 
49. 열반경 1 - 2 
51. 대방등대집경 1 - 2 
53. 대애경(외) 
54. 아차말보살경(외) 
55. 대집회정법경(외) 
56. 현겁경(외) 
57. 유마경(외) 
58. 입능가경(외) 
59. 정법염처경 1 - 3 
62. 사분율 1 - 3 
65. 선견율비바사 
66. 구사론 1 - 2 
68. 중론백론 
69. 현양성교론(외) 
70. 대승기신론소별기 
71. 부휴당집(외) 
72. 선문염송 1 - 5 
77. 조당집 1 - 2 
79. 전등록 1 - 3 
82. 무용당집(외) 
83. 백곡집, 월저당집 
84. 법원주림 1 - 5 
89. 경율이상 1 - 2 
91. 본생경(쟈아타카) 1 - 5 
96. 대보적경 1 - 5 
101. 대지도론 1 - 5 
106. 종경렵비담팔건도론 
176. 아비달마발지론 
177. 아비담심론 
178. 아비달마순정이론 1 - 4 
182. 아비담비바사론 1 - 3 
185. 사리불아비담론 1 - 2 
187.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189. 근본설일체유부니타야목득가 
190. 근본설바답율섭 
191. 마하승지율 1 - 2 
193. 성유식론 
194. 대방광십륜경 
197. 해탈도론

 

 

 

 

 

 

 

 

제목   

   불교경전의 종류 
 

 

목차
1) 대장경의 결집
2) 대승경전의 결집
3) 대장경의 조직
4) 참경과 거짓경
5) 입문적인 경전
6) 한국의 불경
7) 율전부
8) 범종파적 소의경전
9) 정토삼부경
10) 호국삼부경
11) 미륵경전
12) 선의 소의경전
13) 한국통불교의 소의경전
14) 일반적인 신앙경전
15) 대장경해설 전반
16) 한글팔만대장경 목록
17) 경전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대장경이란 말은 불교성전 일체의 총칭이란 뜻으로 일체경이라고도하고, 부처님의 말씀을 모은 경과 불제자들이 지켜야할 수향덕목을 모은 율(律)과 마명, 용수, 천친 같은 보살 논사들이 논리적으로 체계화한 교리를 모은 논의 3장이란 뜻으로 3장경. 장경이라고도 한다. 

대장경의 원본은 sanskrit로 기록된 범어본과 파리어로 기록된 파리어본이 두 가지로 구분된다. 산스크리트어는 인도 고대의 표준문장어였다. 이것을 번역하여 범어라고 하는데 그 뜻을 하늘 나라말, "하나님의 말"이란 뜻이며 완성이란 의미를 지닌다. BC. 6C경부터 문자가 있었다고 하고 B.C 3C경에 문법학자 <바니니>에 의해 범어가 완성되었다고 한다. 범어는 인도 고대 사회에 있어서 지식계급, 지도계급에서 사용하던 어문이었다. 

이에 대한 일반 서민계급, 노예계급, 교육, 지식부재의 사회에서 사용하던 속어를 prikrt(르라크리트)라 했는데 그 말은 자연생이란 뜻으로 소승불전의 원어인 파리어를 가리킨다. 

산스크리트어 장경은 원본으로 하여 번역한 대장경에는 한역장경, 서장장경이고 또 한역과 서역장을 원본으로 하여 번역한 대장경에는 몽고장경, 만국장경, 일본장경과 우리나라의 팔만대장경등이 있다. 그 가운데 산스크리트어의 범본장경은 그 대부분이 한역된 한자경전으로 전해오고 있을뿐 많은 양의 원본 반 이상이 망실되어 찾아 볼 수 없게 되었다. 

이 범본불전에 의지하는 불교국은 대승권으로서 중국, 서장, 몽고, 한국, 일본 등의 인도 북방지대에 속하므로 북방불교라고도 한다. 파리어계의 장경은 주로 스리랑카, 버어마, 태국 등의 남방으로 전해졌으므로 이것을 남방불교라고 한다. 남방불교는 불멸후 300년 경에 인도천하는 처음으로 통일한 아쇼카왕(B.C 2C)이 8만 4천탑을 세우고 제3차 결집등 많은 불사를 이룩하고 희랍의 국가에 까지 전도승을 파견할 때 세일론(스리랑카), 버마등지에는 수나가, 율다라, 마혜다, 스마나 등이 맡아서 포교하도록 했는바, 그 뒤 이 지역에는 파리어계의 장경이 전해졌던 것이다. 

1. 대장경의 결집(아함, 남방)

세존께서 세상에 계실 때에는 모든 것을 부처님에 의해 직접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부처님 멸도후에는 불제자들이 각각 기억하고 있는 부처님의 설법을 정리해서 성문화 할 필요를 느꼈다. 부처님의 유교가 흩어지지 않게 해야하고 그 유법에 따라 교전을 확립해야 되겠기 때문이다. 

그래서 불제자들이 모여서 부처님께 들은 법문을 외워내어 교법을 완성하고 성전을 편찬하는 결집회의가 열리게 되었다. 그런데 이렇게 모여서 불법을 결집하는 큰 일을 한 번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무려 4회 내지 5,6회 네 차례 걸쳐서야 완성되기에 이르렀다. 

[제1결집](5백결집, 왕사성 결집) 
부처님의 상수제자이신 마하가섭존자가 회의를 소집하여 5백인의 대아라한(유능한 비구)들이 왕사성의 교외에 있는 칠엽굴에서 아난존자는 경을 외워내고 우팔리존자는 율을 외워내어 대중이 검토결정해서 교단의 이름으로 편집결정했다. 이것을 혹은 5백결집, 왕사성결집, 상좌부결집이라고도한다. 여기에 굴내결집, 굴외결집 두가지 결집설이 있는데 이것은 뒤에 상좌부가 된다. 

[제2결집](7백결집) 
석존멸후 100년경에 계율에 대한 이견이 생겨서 비사리성에 모여 장로야사를 중심으로 율장을 보완 편찬하였는바 이때 열가지 그릇된 법을 주장했다. 이로인해 두 부파로 갈라지게 되었다(대중부와 상좌부). 

[제3결집](천인결집) 
블멸후 200년(혹은 300년)경에 아육왕이 호법하여 목건련제수존자를 상좌로 파탈리푸트라에 일천비구가 모여서 삼장을 확정하다. 이때는 아육왕이 불교의 신자이므로 외도들이 의식이 궁핍해지자 불제자의 차림을 하고 혼란을 일으키는 등의 사건이 일어나므로 이런일에 대처하려는 것이 직접적인 동기가 되기도 하였다. 

[제4결집] 
불멸후 400년경(혹은 불멸 600년경, AD.2C) 카니시카왕의 호법아래 협존자와 세우보살을 법주로 하여 가습미라성에 500비구가 모여 삼장의 주석을 붇이는 제4결집을 했다. 그것이 바로 대비바사론 이라고 하는데 남방불교에서는 이것을 의문시 한다. 

2. 대승경전의 결집
대승불교의 출현은 곧 대승경전의 출현과 때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대승경전 가운데 제일먼저 출현한 것이 반야경계의 경전으로 밝혀졌으며 대체로 불멸후 삼백년이후 4,5백년경에 출현한 것으로 추정되고 그 뒤에 이어서 방등부의 경전들, 그리고 불멸후 6백년경에 법화부가 화엄부의 경전은 불멸후 7백년경에 차례로 출현했다고 한다. 그리고 그 경들이 출현내지 유행되기 시작한 곳은 간다라, 카슈미르 지방 곧 대월지국이었다. 

3. 대장경의 조직
부처님일대를 다섯시기로 나누어 분석하는 법을 오시교라한다. 여기에 천태의 5시교, 화엄의 5시교, 열반종의 5시교 등의 구별이 있다. 
천태오시교 - 화엄시, 녹원시(아함), 방등시, 반야시, 법화.열반시 
열반오시교 - 삼승별교, 삼승통교, 억양교, 동귀교, 상주교 
화엄오시교 - 인천교(아함), 반야유마, 법화경, 열반경, 화엄경 

4. 참경과 거짓경
경에는 부처님이 실제로 말씀하신 직경과 뒷사람이 거짓으로 조작해서 만들어진 위경(僞經)과 그것 저것이 확실치 않아서 부처님의 진설로 볼수 없지만 교리적 내용으로 보아 어긋나는 정도가 심하지 않은 의경(疑經)이 있다. 

5. 입문적인 경전
1) 천수경(관음신앙) 
불교의 진리에 입문하는 첫걸음은 대개 신앙의 문을 통과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데 그 때에 필요한 경전이 바로 이 천수경이다.  천수경은 약칭으로 부르는 경명(經名)이고 갖춘 이름으로는 천수천안 관세음보살 광대원만 무애대비심다라니경이라고 한다. 이 경은 본래 당나라 가범달마에 의해 번역된 역본이 유통되고 있으며 생략하여 천수경 또는 천수 다라니경 이라고도 하며 송나라 사명존자에 의해 널리 유포되어 그 효험이 많은 것으로 전한다.  현재의 천수경은 7가지 경전이 합쳐진 것이다. 

2) 반야심경(공사상) 
반야심경은 교리적 철학적 입문서이지만 이 경속에 실려있는 교리적 내용으로 봐서는 반드시 입문서적이라 할 수 없다.  260자밖에 되지 않은 가장 짧은 경문 가운데 대소승.제경의 취지로 간결하게 담뿍담고 있을뿐 아니라 조석예불을 비롯한 대소의식에는 물론 식사시에까지 이 심경은 지송되고 있어서 초 종파적으로 소의하는 경중의 경이기 때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 유포되고 있는 것은 당나라 현장삼장의 번역이며 일본이나 중국등지에서도 이 현장본을 지송한다. 

6. 한국의 불경
● 사미의 교과 
1) 초발심자경문 
불문에 출가했어도 아직 성년이 되지 못한 어린이는 마음과 몸이 연약하므로 고된 비구의 수행을 다 따라 할 수 없다. 그래서 계율도 아주 기초적인 10계만을 지키게 하고 하기 힘든 난행과 고행은 하지 않아도 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예습적인 수도기간의 납자들을 불교에서는 남자는 사미, 여자는 사미니라 이름한다. 성년이 되었더라도 늦게 출가하여 아직 구족계를 받지 못했으면 역시 사미다. 사미는 주로 출가수행 생활에 심신이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계율을 익히는 일에만 전념해야 한다. 따라서 사미가 처음 배우는 교과들도 모두 간단한 계와 언행, 어른 앞에서 하는 몸가짐. 식사하고 잠자는 일 등에 관한 교육 그리고 발심, 경책 등을 돈독히 하는 글들인데 우리나라에서느 그 첫째번 교과가 바로 이 초발심 자경문이다.  초발심자경문은 고려 보조국사의 계초심학입문과 신라 원효대사의 발심수행장, 그리고 고려말(혹은 신라말) 야운비구의 자경문을 한권의 책으로 엮어 이름한 것이다. 

2) 치문경훈 
<치문>이란 검은 옷을 입은 승려의 세계란 뜻이니, 치자의 본래의 뜻은 <검다><검은빛>이 있는데, 변하여 승려를 뜻하는 자의로 발전하게 된 것이다. 불문의 대명사로 <치문>이란 말을 쓰게 된 것은 불교의 도입과 거의 같은 시기가 아닌가 여겨진다.  일반적으로 치문하면 불문을 가르키는 것으로 쓰이며 <치문경훈>이란 책명은 [불문에 들어온 사람들을 경계하고 훈계한다] {승려가 삼가고 지켜야할 길]이란 뜻이 된다.  이 치문경훈은 본래 고승대덕이 제자나 후대인을 훈계하고 동료와 자신의 수행을 독려 경책한 훈계. 좌우명. 서장 등을 집대성하여 초학사미로 하여금 익히게 했던 것이다.  조선초에 사미과 교재로 채용된 것이라 전해진다. 

3) 사미율의 
사미율의라 함은 <사미>가 지켜야 할 10계와 의식 크고 작은 행동거지를 일컫는다. 사미는 범어 srama nneraka의 음역을 줄인 말이니 번역하면 악을 쉬고 자비를 실천한다. 장차 비구가 되기 위해 부지런히 닦고 책려한다는 내용이다. 사미가 지켜야 할 열가지 계목에 대한 해설과 의식. 예불. 위의 등에 대한 규범을 실고 있는바 세수하고 잠자는 일, 밥 먹고 대소변하는 일에 이르기까지 일거일동에 대한 자세한 규범들로 짜여져 있다. 

● 사집과 교과 
4) 서장(서장) 
서장은 대혜서장이라고도 하며 대혜종고(1088 - 1163, 송나라)선사의 편지를 모은 책을 이름한다. <대혜서>는 42인의 편지글 62통으로 엮어져 있으며, 그 주된 취지는 삿된 지견을 깨트리고 정법의 눈을 열어 주려는 것이다. 이 서장이 어느때에 우리나라에서 판각되었느냐 하면 고려말기 부터이다. 

5) 도서 
선원제전집도서를 줄여서 도서라고 부르는데 중국 화엄종 제5조이며 초기에 크게 융성했던 하택종의 제5조이기도 한 규봉종밀선사(780 - 841)의 저술이다.  1500년 전후에 우리나라에 전래된 듯하다.  도서의 핵심은 선과 교의 본 뜻은 둘이 아니라는데 있다. 

6) 선요 
선에 대한 요의를 설명했다는 뜻이며 고봉원묘(1238 - 1295)화상의 저서이니 고봉은 달마로부터 제 18대, 임제종의 개조인 임제의 17대법사이다. 간화선법이 한참 유행할때의 대선장이다. 

7) 절요 
절요한 법집별행록 절요병입사기의 약칭이니, 지눌 보조국사의 저술이다. 그 내용은 법에는 변하지 않는 불변이 본체계와 인연에 따라 나타나는 가변적인 작용의 두가지 뜻이 있고 사람에게는 두가지 문이 있으니 본체계의 진리를 단번에 증득하여 깨닫는 돈오와 그 뒤에 점차 닦아서 보임이 수행을 더함으로 단계를 거쳐 깨달음을 얻는 점오의 문이있다. 

● 사교과 교과 
8) 능엄경 
능엄경은 약칭이고 구체적인 경명은 대불정여래밀인 수증요의 제보살 만행수능엄경 또는 대불정수능엄경이라고도한다. 경의 뜻을 간추리면 무한하게 크고 무상최극의 절대한 깨달음을 성휘하신 부처님이 되기 위해 닦는 보살들의 완전무결하고 견고무비한 6도만행의 수행법을 말씀하심 경이란 뜻이 된다. 

9) 대승기신론 
대승기신론이란 여러 대승경전의 진리를 통론적으로 체계적으로 논리를 세워 밝힌 글이란 뜻이다. 저자는 중인도 마가다국 출신의 마명보살(100년경)이다. 대승불교사상을 체계화하고 최초로 크게 선양하였다. 

10) 원각경 
원각경은 줄인 이름이며 자세히는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이라 한다. 대승의 최후구경인 원돈(圓頓=원만하고 단번에 최후의 진리를 깨닫는 것)의 진리를 말씀하고 그 깨달는 법과 수행하는 법을 기록한 경이다.  어느때 여래가 <신통대광장>이란 삼매에 드시어 모든 것이 하나인 不二의 경지에서 10만의 대보살과 함께 계시었는데, 문수.보현.보안.미륵 등 12보살과 더불어 문답하신 내용으로 되어 있다. 

11) 금강경 
금강경의 구체적 이름은 금강반야바라밀경이고 금강반야경이라고도 한다. 금강과 같이 단단하고 밝은 완전한 반야의 空智로 열반을 성취하고 보살행을 하여 불타가 된다는 뜻의 이름이다. 

● 대교과 교과 
12) 화엄경 
화엄경은 약칭이며 원래 명칭은 대방광불화엄경이다. 번역된 화엄경중 현존하는 것은 80권(당, 실차난타, 신역), 60권(진, 불타발타라) , 40권(반야삼장)이 있다.  이 경의 요지는 대승보살도 사상을 구체적으로 보인것인데 불타가 처음 성도한 것으로 부터 부사의한 불타의 과덕과 그 경계를 가장 장엄하게 문학적으로 찬술했고 그것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52위의 보살계통이 있음을 교리적으로 보였다. 그리고 선재동자가 문수보살을 만나 대승보리심을 일으킨뒤 52명의 선지식(부처님의 지혜와 덕을 갖춘이)을 찾아 무궁무진한 불법을 묻고 보살도를 닦아 마침내 부사의 해탈경계를 성취하는 입법계품으로 끝맺는다. 

● 수의과 교과 
13) 법화경 
현재 유행하는 경본은 구마라습(407)삼장이 번역한 7권 28품으로 된 묘법연화경이다. <묘법연화경>은 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오신 뜻을 밝히는데 그 요지가 있다. 일체중생이 다 갖추고 있는 불지견을 열어 주어서 해탈케하는 일대사인연이 바로 그것이다. 

14) 경덕전등록 
경덕전등록은 생략하여 전등록이라고도 하는바, 부처님의 법을 이어 받아서 불법을 길이 후세에 빛낸 법통을 기록한 저서라 하겠다. 전등이란 바로 <진리의 등불을 전한 기록>이란 뜻이고 경덕은 중국 송나라 연호이다. 

15) 선문염송 
선문염송이란 선문에서 들어보이고 게송을 읊어서 현묘한 진리를 일깨워 준다는 뜻이다. 저자는 진감국사 혜심(고려, 1178 -1234)이다. 화두에 대한 설명과 주석으로 되어있다.

7. 율전부
1) 범망경 
범망경은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줄인 이름이고 갖춘 이름은 범망경 노사나불설 보살심지계품제십이라한다.  보살이 지녀야 할 마음의 자세, 실천덕목 곧 대승계율을 담고 있어 대승의 모든 종파에서 소의 율전으로 되어 왔다. 이 범망경의 대승계는 재가, 출가를 막론하고 두루 통용되는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 

2) 사분율 
사분율이란 출가한 비구가 불법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계율에 관해 자세히 기록한 60권의 율전을 일컫는다. 곧 비구의 250계와 비구니 348계를 말하는데 이를 소승율장이라하고 보살계는 대승율장이라 하며 또 대승율장은 중생의 마음이나 불보살의 마음의 근본핵심인 心地자리를 동일한 것이며 이 심지를 계발하여 잘 지키면 누구나 성불할 수 있다는 근원적인 원리에 의해 베풀어진 것이므로 이 계라하고 성도즉시 한꺼번에 말씀하셨다하여 돈계라 하지만 소승계는 허물을 범하는 자가 생기면 그때 그때 마련된 계이므로 점계라하고 낱낱의 행위를 구체적으로 말했다하여 구족계라 한다. 

8. 범종파적 소의 경전
1) 유마경 
유마경의 갖춘이름은 유마힐소설경이나 13권으로 구마라습삼장이 번역했다(405).  정명경, 불가사의해탈경이라고도 하는데 유마힐 거사가 설한 경이란 뜻이고 불가사의하여 가희 생각이나 언설로는 헤아려 볼수 없는 해탈경계의 진리를 설한 경이란 뜻이다. 

2) 대반열반경 
대반열반경은 부처님의 돌아가심에 대한 경이란 뜻인데 그러나 단순한 부처님의 돌아가심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생사왕래가 끊어진 절대무위 경지에 돌아감을 뜻하는 열반이다. 여기에 대승의 열반경과 소승의 열반경이 있다. 

9. 정토삼부경 
1) 아미타경 
아미타경. 불설아미타경이라고도 하고 줄여서 미타경. 호렴경. 소경이라고도 한다.  구마라습삼장이 번역한 아미타경1권이 널리 유통되고 있다.  상권에서는 아미타불의 인과와 그 48대원을, 하권에는 중생이 아미타불 정토에 태어나려면 염불. 제행의 두가지 방법이 있음을 설하고, 받게 되는 과보에 대해 설했습니다.  아미타불의 명호를 부르면 극락에 태어난다는 타력신앙을 설하고 있다. 

2) 무량수경 
대경, 쌍권경, 관무량수경이라고도 한다. 무량의경이란 무량수불의 과거보살 일때의 인행을 기록한 경이란 뜻이니 무량수불은 곧 수명이 한량없다는 아미타불을 가르킨다. 아미타불과 그 화신인 관음.세지의 두 보살, 극락정토의 장엄을 구체적인 마음의 대상으로 관하는 법을 설한, 타력신앙의 진실성을 밝힌 경입니다. 

3) 관무량수경 
관무량수불경, 무량수불경, 십육관경, 관경 등의 이름으로 불리운다.  열여섯가지 관법에 의하여 아미타불을 관하고 극락세계는 관념불이라 할 수 있는 관법이 있으므로 <관무량수경> 또는 <관경>이라고 한 것이다. 

10. 호국삼부경 
1) 법화경 
묘법연화경의 천태종의 주된 소의 경전일 뿐만 아니라 삼부경의 하나로써 나라의 안위와 번영을 위해 이 경을 수지독송하는 공덕이 무량하다고 했다. 

2) 인왕경 
인왕경은 약칭이고 불설인왕반야바라밀경 또는 인왕호국반야바라밀경이라고 한다. 이 경은 부처님께서 16국왕으로 하여금 그 나라를 보호하고 편안히 잘 다스리게 하기 위하여 반야바라밀을 수지하라고 말씀하신 경전이다. 

3) 금광명경 
부처님께서 기사굴산에서 신상보살을 위해 부처님 수명이 한량없음을 말씀하셨고 그리고 견로지신을 위한 찬탄하시는 게송과 4천왕, 대변천신, 공덕천 등을 위해 이경이 위대한 뜻을 가지고 있어서 여러 경의 왕이 될만하다는 말씀을 하셨다. 

11. 미륵경전
1) 미륵상생경 
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이라하며 미륵보살반열반경. 관미륵경. 하생경이라고도 한다. 미륵보살이 도솔천에 왕생한다는 내용. 

2) 미륵하생경 
이 다음세상에 미륵보살이 성불할 때에 도솔천에서 인간세상에 태아나시어 석가세존과 출가, 성도하시고 설법하시는 일을 기록한 경이란 뜻이며 관미륵보살하생경, 미륵성불경, 미륵당래하생경이라고도 한다. 

12. 선종의 소의 경전 
1) 능가경 
능가경의 갖춘이름은 입능가경이며 7권또는 10권에 이르는 방등부의 경전이다. 
이 경은 五法 三性 八識 二無我에 대한 진리를 갈파한 경으로 선종의 초조인 달마대사도 이 경이 선의 종지와 계합하는 것으로 보고 2조 혜가에게 이 경과 함께 법을 전했다고 하며 금강경과 함께 선종의 소의 경전으로 되기도 했다. 

2) 신심명 
신심명은 3조 승찬대사께서 중생이 본래 부처인 뜻을 전한 불조의 대도를 널리 유통시키기 위해 전술했다고 한다. <신심>이란 마음이 결정되어 의심치 않음을 말하며 마음 전체가 믿음뿐이어서 믿는 주체와 믿는내용의 대상이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님을 뜻한다. 또 명이라 함은 마음에 새기어 두는 좌우명이란 뜻이다. 그러므로 <신심명>이라 함은 믿음과 마음이 둘이아닌 신심불이의 절대의 지도를 뜻한다. 

3) 육조단경 
육조단경은 육조대사법보단경의 약칭이니 선종의 제6조 혜능대사의 설법, 어록을 그의 제자 전해 1권으로 편집한 것이 전해온다. 약하여 법보단경, 단경이라고도 하는데 여기에는 10문이 있다. 

4) 증도가 
증도가는 당나라 6조 혜능대사의 5대제자중의 한 사람으로 영가현각대사의 저술이다. 그래서 영가증도가 라고도 하는데 자기가 닦아서 증득한 마음 자리의 경지를 노래로 읊었다는 뜻이다. 이 책은 많은 선문학서 가운데 그 내용과 더불어 문장력이 절묘한 것으로 인정되어 고래로 많이 수지독송되었다.  

13. 한국통불교의 소의경전 
1) 십문화쟁론 
신라의 원효대사가 저술한 2권으로 된것. 

2) 금강삼매경론 
신라의 원효대사가 저술한 것. 

3) 법성게 
법성게는 진리의 요체를 간단한 게송으로 읊어서 표시했다는 뜻이니 신라의 화엄종 초조 의상대사(625 - 702)가 화엄의 요의를 210자의 글에 뽑아엮은 명문이다. 칠언절구로된 이 글은 우리나라 불교각종 의식에 빠짐없이 수지되어 왔으며 특히 제례의식에는 반야심경 다음으로 중요하게 여겨진다. 

4) 보조법어 
정혜결사문, 수심결, 진심직설, 법집별행록절요, 화엄론절요, 원돈성불론, 간화결의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고려시대 보조국사 지눌의 문집. 

5) 선가구감 
조선조 서산대사(1500 - 1604)의 저술이다. 이조 불교의 교과서가 되다시피하였고 중국, 일본에까지 알려진 명저로 평가되었다. 

14. 일반적인 신앙경전
● 계율에 관한 경전 
1) 영락본업경 
요진의 축불렴삼장이 번역했으며 <보살영락본업경>이라고도 하며 약하며 <본업경>이라고도 한다. 42현성의 보살이 닦아나가야 할 단계적이고 필수적인 수행, 현재의 성현으로서 과위를 성취하는데는 아득한 과거세로부터 청정한 계율을 닦고 중생을 위해 6도만행을 닦는 원인적인 업행이 있다고 하여 <보살영업본업경>이라 한 것이다. 

2) 우바색계경 
북량의 담무참삼장이 번역했으며 일명 성생경이라고도 하는데, 전편 7권 28장으로 되어있다. 
대승율에 속하며 삼귀오계에 대해 말씀한 내용으로 세속에 있으면서 불법을 받드는 재가 남자가 지켜야 할 계율적인 교법을 말한다. 

● 효도에 관한 경 
1) 목련경 
대목견련경이라고도 하며 불설목련경이라고도 한다. 송나라때 법천삼장의 번역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아마도 우란분경을 원본으로 하여 다른 불제자의 효행을 대목련의 그것에 얹어서 엮은 경으로 보인다. 

2) 우란분경 
이 경은 목련존자의 소청에 의해 하안거 정진이 끝난 7월15일, 자자일에 대중승려에게 공양하여 일곱세상과 금세의 돌아가신 부모를 구제하는 내용이다. 백미의 음식과 과일을 갖추어 시방의 불보살과 대중승들에게 공양하므로 지옥에 떨어진 부모의 망령을 건저 낸다는 이 경의 뜻이 오늘날 행하는 우란분재, 우란분회의 뜻이되었다. 

3) 부모은중경 
부모의 은혜가 무겁고 깊은 뜻과 그 은혜를 갚고 죄를 소멸하는 법을 간곡히 말씀한 효도의 극치를 말씀한 경이라 하겠다. 

● 타력 신앙적인 경 
1) 약사여래 본원경 
수나라 달마굽다 삼장이 번역한 경전으로 줄여서 <약사경>이라고 한다. 약사여래가 동방에 불극정토를 건설하였는데 그 나라이름이 정유리국이라하며 12가지 대원을 성취하여 일체중생을 제도하는데 온갖병을 고쳐주고 마지막에는 생사의 근원이 되는 무명 그 마음의 근본병을 고쳐주어서 모두 다 성불하게 한다는 약사정토신앙의 경전이기도 하다. 

2) 지장경 
지장보살본원경이라고도 한다. 당나라 실차난타삼장 번역으로 2권이 있다. 부처님이 도리천에서 어머니를 위해 설법하신 내용인데 지장보살을 부르시어 지장보살이 백천방편으로 6도중생을 교화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 죄를 짓고 온갖 지옥고통받는 중생들을 평등하게 제도하게 제도하여 해탈케하려는 지장보살의 큰 서원을 말씀하신 내용이다. 

3) 팔상록 
팔상록이란 부처님의 8상을 기록했다는 뜻이다. 

● 일반적인 신앙경전 
1) 승만경 
승만경은 승만사자후 일승대방 편방광경의 줄인 이름이다. 송나라 구나빌타라삼장이 번역, 
부처님이 대승의 진리를 승만이라는 부인으로 하여금 설명하도록 한 경이다. 

2) 선생경 
선생동자가 바라문의 법을 따라 매일 아침 세수 목욕하고 6방을 향해 예경하는 것을 보시고 부처님께서 다음과 같이 설법하신 것이 이 경의 줄거리다. [조부모를 위해 동방을 보고 다섯가지로 예경하고, 스승을 위해 남방에 다섯가지로 예경하고, 아내와 가족을 위해 서방을 보고 예경하고, 부하를 위해 북방을 보고 예경하며 스님이나 도닦는 이를 위해 사방을 보고 다섯가지로 예경하면 죽어서 천상에 나게 되리라]고. 

3) 나선비구경 
나선비구경은 B.C 2세기경의 나선비구가 북인도로 정복한 희랍의 왕자 미란타를 불교에 귀의시키고 진여연기의 깊은 뜻을 담은 귀중한 경전이다. 

4) 법구경 
법구경의 법은 모든 경전을 의미하고 구는 경전에 있는 진리의 말씀을 의미한다. 
불교의 진리를 간단명료하고 평이하게 엮었고 금구명언으로 되어서 실제의 생활과 비교하여 쉽게 받아들이게 된 것이 특징이다. 

5) 사십이장경 
인도에서 중국으로 불전이 들어올 때 맨 처음 전해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후한의 가섭마등, 축법란 삼장이 함께 번역한 한권으로 된 단일본이다. 수행하여 증득하는 과위와 선악의 업보, 인명의 무상등 불교의 요지를 42장으로 나누어 편집한 출가자를 위한 교훈집이다. 

6) 현우경 
현우인연경이라고도 하며 범부와 성인의 인연비유의 행적을 재미있게 엮은 내용이다. 

7) 옥야경 
옥야는 기원정사를 세운 수달다 장자의 자부이름이다. 그 자부는 친정이 큰 부호로 권세가 높음만 믿고 시부모와 남편을 공경할 줄 몰랐다. 부처님은 장자의 청을 받고 신통과 설법으로 그를 교화하여 마침내 부처님께 귀의해서 계를 받았으며 그 뒤로 부덕을 잘 준수하여 모범적인 현모양처가 되었다는 설화가 실린 경이다. 

8) 대비경 
부처님께서 열반하실 즈음에 대범천왕과 제석천왕과 가섭,아난등에게 바른 신심, 바른 법을 전하도록 부촉하신 경이다. 

9) 숫타니파아타 
길고 짧은 시로 된 경전이며 중간에 산문도 더러 섞여 있습니다. 총 5장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법구경]과 더불어 주옥 같은 말들이 담겨 있습니다. 

10) 자타카 
22권 547편의 본생담으로 된 경입니다. 자타카란 본래 특별한 형식과 내용을 갖춘 불교문학의 한 장르를 일컫는 말입니다. 석존이 탄생하기전의 전생이야기, 부처가 되기 전 보살로서 수행하던 모습 등 과거세에 쌓은 공덕의 인과로 부처가 된 이야기들이 실린 경입니다. 

11) 백유경 
총 98가지의 비유, 우화를 모은 경입니다. 비유나 우스운 이야기를 통해 바르게 살고, 불교의 기본적 교리를 이해하게 한 경입니다. 

12) 유교경 
석존께서 입멸에 즈음하여 제자들에게 마지막 설법을 하는 광경을 적은 경입니다. 

13) 관음경 
본래 독립된 경이었으나 후에 [법화경] 제 25품으로 흡수되었습니다. 관음 신앙의 가장 대표적인 경전으로서 관세음보살이 32신을 나타내어 중생의 재난을 구하고 소원을 이루게 한다는 내용입니다. 

14) 무량의경 
법화삼부경(무량의경, 법화경, 관보현경)중의 하나이며 법화경을 설하기 위한 서설이라고 할수 있는 경입니다. 따라서 내용도 법화경의 요점에 바탕을 두고 구성괴어 있습니다. 

15. 대장경 해설전반
1) 아함부 
아함경이라 함은 소승경의 모든 경을 총칭하는 말이다. 아함이란 팔리어 Agama로 표기하며 뜻은 전해내려온 부처님 말씀을 모아서 완성했다는 의미의 성전입니다. 
내용은 주로 사성제, 팔정도, 12연기 등 불교의 기본사상에 관한 가르침이 담겨 있습니다. 

아함경종류는 4종류가 있습니다. 
장아함 - 비교적 긴내용만을 추려서 엮은 경 
중아함 - 중간정도의 길이 경을 모아 엮은 경 
증일아함 - 법수에 따라 설한 경. 
잡아함 - 짧은 내용을 모아 엮은 경 

2) 본연부 
부처님이 아득한 과거세의 영겁다생으로 중생을 구제하고 자아의 완성을 위한 보살행을 한 일종의 고사, 전생설화 등을 말한다. 이에 관계되는 경들을 모아서 본연부라 이름하여 모은 경 분류법이다. 

3) 반야부 
대승불교 초기의 경전으로 공사사을 설한 경전으로 반야경과 금강경등이다. 

4) 법화, 열반부 

5) 화엄부

6) 보적부 
대보적경을 말한다. 보살이 수행하는 법과 장차 미래세에 부처가 되어 중생을 어떻게 제도하게 되리라는 예언을 받는 수기성불 등에 관한 경전을 말한다.

7) 대집부 
방등대집경이라 한다. 그 뜻을 대집부에 해당하는 모든 경을 다 모아서 한데 엮었다는 뜻이다. 

8) 밀교부 
대일경 - 당 선무외삼장이 번역했으며 구체적인 경명은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이라 한다. 전경이 7권으로 되어 있는데, 그 가운데 경의 본문은 6권이고 공양하는 순서와 방법에 대한 의식1권으로 나눌수 있다. 대일여래가 부사의한 위신력으로 스스로 증득한 법신 자체의 경지를 말씀하신 경전이다. 
금강정경 - 불공삼장의 역본이 유통되고 이음.  금강정일체여래진실섭대승대교왕경이 있다. 

9) 율부 
계율에 대한 불전을 모았다는 뜻이다. 

10) 논부 
논은 범어 아비달마의 번역이며, 경과 율의 대의를 편찬한 것으로 교리연구에 있어서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이해의 관문으로 일컬어 진다. 

 

 

 

 

[edit]

1 개요 

불경(佛經)이란 불교의 경전을 말한다. 어마어마하게 많으며 한가지 경전의 의미만 깨우치는 것도 참 오래 걸린다.

 

[edit]

2 역사 

석가모니는 자신의 가르침을 글로 남기지 않았고[1]제자들에게는 직접 말로서 가르침을 전했다[2]. 석가모니의 불멸 이후, 제자들은 석가모니의 가르침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전의 가르침과 언행을 모으기로 결심하고 석가모니의 직전제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언행을 '결집'한다. 이때 십대제자인 아난다와 우파리가 서로 기억한 것을 암송해 정리했다[3]. 그 이후로도 여러번 결집을 해 현재의 불경이 완성되었다. 불경들 중에서도 석가모니의 직접적인 언행을 기록한 경전을 아함경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후로도 오랜 시간동안 석가모니의 가르침은 문자화 되지 않고 스승에서 제자로 말로서 암송하는 형식으로 전달된 것으로 추측된다. 석가모니의 유훈으로 자신의 가르침을 글로 옮기지 말 것, 팔리어가 아닌 다른 언어로 번역하지 말 것 등을 제자에게 일렀다.

최초의 경전으로 인정받는(글자로 옮겨 적힌) 패엽경의 경우 그것이 만들어지게 된 이유를 생각하면 불제자가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얼마나 잘 지키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다.

 

[edit]

3 분류 

 

 

[edit]

3.1팔리어 경전

스리랑카에 전해지는 경전. 성립시기가 가장 오래 된 것으로 추측된다. 석가모니는 이 팔리어로 설법을 했다고 한다.

 

[edit]

3.2산스크리트어 경전

대승불교의 경전은 산스크리트어로 써진 것이 많다. 금강경, 법화경, 아함경 등 한국에서 널리 쓰이는 경전은 대부분 본래 산스크리트어 경전이다. 범어(梵語)라고도 한다.

 

[edit]

3.3한문 경전

한문으로 번역된 경전이다. 불경의 한문 번역은 동한대부터 개시되었는데, 초기의 번역가들은 주로 안세고와 같은 서역승들로서, 구술로 번역한 것을 제자들이 베껴적는 형태로 번역이 이루어졌다. 또한, 산스크리트어를 그대로 번역했다기 보단, 산스크리트어가 속화된 프라크리트나 팔리어, 심하게는 토하라어에 기초해 번역된 경우도 있어 번역의 질은 중구난방이다. 따라서, 초기의 번역에는 후대의 번역에 비해 내용이 대폭 생략되어 있거나, 음역이 다른 점이 상당히 많다.

불경 번역은 그 이후에도 꾸준히 이루어지다가, 북조의 서역승 구마라습이 엄격한 기준을 두고 불경을 번역하기 시작, 불경 번역의 수준이 상당히 높아졌다. 당대에 들어서면 현장이 인도에 다녀와 불경을 당시의 언어상황에 맞게 재번역함으로서 그 이후에는 현장역 불경이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대표적으로 반야심경은 현장역이다). 이를 기준으로 현장역을 신역, 그 이전의 번역을 구역이라고 칭한다.

주로 중국대한민국일본대만 등에서 쓰고 있으며, 각 지역마다 불경에 대한 대규모 편찬사업을 벌여 대규모의 불교경전 집성이 발간되었다. 가령 중국에서는 송대부터 대장경 발간이 몇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고, 한국에서는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이 유명하며, 일본에서는다이쇼 연간에 식민지 것이니 마음대로 쓸 수 있으므로 이 고려대장경을 저본으로 삼아 당시까지 존재하였던 한중일의 불교 문헌을 집대성하여 다이쇼신수대장경을 발간하여, 현재까지 존재하는 불경 총집 중 가장 완성도가 높은 것으로 남아있다.

 

[edit]

3.4티베트어 경전

티베트어로 번역된 경전이다. 티베트 불교는 인도와 직접적인 교류를 거치면서 발전했고, 티베트어는 오로지 불경을 번역하기 위해 재정비하는 과정[4]까지 거쳤으므로 티베트어 경전은 사료가치가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거기에 티베트 불교는 8세기 불교가 인도에서 소멸되기 직전의 불교가 유입되었기에 현재 한문/산스크리트 본에는 남아있지 않은 경전이 남아있다. 그 덕에 우리는신라 출신의 승려 원측의 논서 <해심밀경소>를 볼 수 있게되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티베트에서 주로 썼으며, 그외에 티베트 문화권과 가까원던 몽골이나 , 인도북부의 히말라야 인근의 나라에서도 티베트어 경전을 썼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57 [쉼터]어느 녀류시인께 80억 아닌, 8전에라도 팔리고싶은... 2016-11-29 0 4655
756 [쉼터] - 아이들과 1달러와 그리고 미래... 2016-11-28 0 4327
755 [쉼터] - 거짓말 이야기 2016-11-27 0 5106
754 [쉼터] - 죽은 의사는 거짓말 한다?... 하지 않는다!... 2016-11-27 0 4940
753 [쉼터] - 거짓말 일기 2016-11-27 0 4936
752 [쉼터] - 작문학원 선생님께 보내는 "속담집" 2016-11-27 1 5076
751 [쉼터] - 동양 10대 미녀 알아보다... 2016-11-21 0 7789
750 [쉼터] - 세계의 10대 미녀 알아보다... 2016-11-21 0 5591
749 [쉼터] - 세계의 3대 미녀 영화배우 매력에 매료되다...(1,2편) 2016-11-21 0 9077
748 [쉼터] - 세기의 미녀 전반생, 후반생 모두 아름다워... 2016-11-20 0 5481
747 [쉼터] - 인생을 즐기며 사는 법 2016-11-20 0 6033
746 [쉼터] - 영국 명배우 - 오드리 헵번 "유언" 2016-11-20 1 8342
745 [쉼터] - 성공 노력 13 = 변화 정진 10 2016-11-20 0 3817
744 [쉼터] - 대화 소통 10 = 얽힘 해결 10 2016-11-20 0 3896
743 ... 2016-11-20 0 4083
742 ... 2016-11-20 0 3682
741 ... 2016-11-20 0 4149
740 ... 2016-11-20 0 4135
739 ... 2016-11-20 0 3906
738 ... 2016-11-20 0 3976
737 ... 2016-11-20 0 4440
736 ... 2016-11-20 0 3840
735 ... 2016-11-20 0 4056
734 ... 2016-11-20 0 3954
733 ... 2016-11-20 0 4506
732 ... 2016-11-20 0 3882
731 ... 2016-11-20 0 3769
730 ... 2016-11-20 0 3791
729 ... 2016-11-20 0 4102
728 ... 2016-11-20 0 3546
727 ... 2016-11-20 0 3597
726 ... 2016-11-20 0 3655
725 ... 2016-11-20 0 3954
724 ... 2016-11-20 0 3936
723 ... 2016-11-20 0 4602
722 ... 2016-11-20 0 4837
721 ... 2016-11-20 0 4223
720 유명인사들의 명언과 격언 모음 집 – 104 2016-11-20 0 5251
719 ... 2016-11-20 0 3678
718 ... 2016-11-20 0 3890
‹처음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