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한국적 모더니즘 대변자 김수영 작품 공자에 젖줄 대다...
2016년 10월 31일 22시 22분  조회:4275  추천:0  작성자: 죽림
 
김수영(1921∼1968)은 한국적 모더니즘의 대변자로, 혹은 저항시인의 대명사로 불린다. 그런데 그의 작품세계가 공자에 젖줄을 대고 있단다. 동서 사상사를 횡단하는 이런 흥미로운 주장을 편 이는 서울대 철학과 김상환 교수다. 데카르트 철학의 권위자인 그는 신간 ‘공자의 생활난’(북코리아)에서 서로 배타적인 것처럼 보이는 모더니즘과 전통주의가 김수영에 이르면 서로 맞물려 있다고 말한다. 
 
몇몇 평론가들이 김수영의 대표시 ‘풀’을 논어의 한 구절과 연관시켜 해석한 바 있다. 저자는 이를 확장시켜 김수영과 논어의 연관성을 하나의 학문체계로 완성한다. 첫 작품에서 마지막 시에 이르기까지 싯귀 하나하나를 예로 들어 설득력 분석하고, 일관성 있게 풀어가는 솜씨가 놀랍다.

“동무여 이제 나는 바로 보마/ (…) 사물의 우매와 명석성을/ 그리고 나는 죽을 것이다.”

김수영의 첫 시 ‘공자의 생활난’(1945)이다. 이는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공자의 사상 속에 꿈틀대는 죽음충동이 분출하는 문장이라고 지적한다. 정약용이 전남 강진으로 유배를 떠나기 전에 한강을 건널 때 마음에 새긴 문장이기도 하다. 이 시에서 밝힌 대로 혼돈의 시류와 억압적 정국에 맞서려는 김수영의 ‘바로 보마’ 정신은 ‘격물치지(格物致知)’의 정신이다. 이는 명석 판명한 진리를 구하는 데카르트의 방법론적 시선이라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마지막으로 발표한 시 ‘풀’(1968) 역시 군자의 덕을 바람에 비유한 논어의 문장을 새로운 차원으로 해석했다. “군자의 덕은 바람과 같고, 소인의 덕은 풀과도 같다. 풀 위로 바람이 불면 풀은 반드시 눕게 마련이다.” 가혹한 형법주의에 이의를 제기하던 공자는 자신의 덕치주의를 바람과 풀의 관계를 끌어들여 이렇게 표현했다. 그러나 김수영의 시에서 풀은 바람의 구속력에서 해방되어 자발적인 운동의 주체로 거듭난다. 김수영은 “날이 흐리고 풀이 눕는다”며 일견 덕치 논리를 따르는 듯 하면서도 종국엔 “바람보다 늦게 누워도 바람보다 먼저 일어서게 된다”며 민초의 힘을 우위에 둔다. 

이 뿐 아니다. ‘더러운 향로’(1954)는 군자를 청동향로에 비유하는 유교전통과 이어져 있고, ‘나의 가족’(1954), ‘가옥찬가’(1959)는 유교적 가족 윤리에 대한 자긍심을 노래한다. ‘폭포’(1954)는 선비정신을 집약하는 직(直·곧음)과 연결된다. 저자의 말대로 김수영의 핏줄에는 면면히 선비정신이 흐르고 있었던 것이다. 우리 안의 서구 추종주의를 부끄럽게 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충분히 대중이 공감할 수 있는 주제인 만큼 보다 대중적인 글쓰기를 시도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손영옥 선임기자 
==============================



공자(孔子)의 생활난 / 김수영

 

 

꽃이 열매의 상부에 피었을 때

너는 줄넘기 장난을 한다

 

나는 발산한 형상을 구하였으나

그것은 작전 같은 것이기에 어려웁다

 

국수 - 이태리어로 마카로니라고

먹기 쉬운 것은 나의 반란성(叛亂性)일까

 

동무여 이제 나는 바로 보마

사물과 사물의 생리와

사물의 수량과 한도와

사물의 우매와 사물의 명석성을

 

그리고 나는 죽을 것이다

 

                       (1945)

 

가까이 할 수 없는 서적 / 김수영

 

 

가까이 할 수 없는 서적이 있다

이것은 먼 바다를 건너온

용이하게 찾아갈 수 없는 나라에서 온 것이다

주변 없는 사람이 만져서는 아니 될 책

만지면은 죽어버릴 듯 말 듯 되는 책

캘리포니아라는 곳에서 온 것만은

확실하지만 누가 지은 것인 줄도 모르는

제2차 대전 이후의

긴 긴 역사를 갖춘 것 같은

이 엄연한 책이

지금 바람 속에 휘날리고 있다

어린 동생들과의 잡담도 마치고

오늘도 어제와 같이 괴로운 잠을

이루울 준비를 해야 할 이 시간에

괴로움도 모르고

난 이 책을 멀리 보고 있다

그저 멀리 보고 있는 것이 타당한 것이므로

나는 괴롭다

오 - 그와 같이 이 서적은 있다

그 책장은 번쩍이고

연해 나는 괴로움으로 어찌할 수 없이

이를 깨물고 있네!

가까이 할 수 없는 서적이여

가까이 할 수 없는 서적이여

 

                             (1947)

 

아메리카 타임 지(誌) / 김수영

 

 

흘러가는 물결처럼

지나인(支那人)의 의복

나는 또 하나의 해협을 찾았던 것이 어리석었다

 

기희와 유적(油適) 그리고 능금

올바로 정신을 가다듬으면서

나는 수없이 길을 걸어왔다

그리하여 응결한 물이 떨어진다

바위를 문다

 

와사(瓦斯)*의 정치가여

너는 활자처럼 고웁다

내가 옛날 아메리카에서 돌아오던 길

뱃전에 머리 대고 울던 것은 여인을 위해서가 아니다

 

오늘 또 활자를 본다

한없이 긴 활자의 연속을 보고

와사의 정치가들을 응시한다

 

*와사: 개스(gas)의 일본식 표기.  

                                        (1948)

 

 

이(蝨) / 김수영

 

도립(倒立)한 나의 아버지의

얼굴과 나여

 

나는 한번도 이(蝨)를

보지 못한 사람이다

 

어두운 옷 속에서만

이는 사람을 부르고

사람을 울린다

 

나는 한번도 아버지의

수염을 바로는 보지

못하였다

 

   신문을 펴라

 

이가 걸어나온다

행렬처럼

어제의 물처럼

걸어나온다

 

                    (1947)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83 중국 당나라 문사 - 류우석 2017-04-21 0 3764
2082 중국 당나라 시인 - 맹호연 2017-04-20 0 5262
2081 세계를 매혹시킨 불멸의 시인들 2017-04-20 0 3787
2080 아프리카 세네갈 시인 - 디오프 2017-04-20 0 4059
2079 독일 랑만주의 서정시인 - 아이헨도르프 2017-04-20 0 4806
2078 프랑스 시인 - 폴 클로델 2017-04-19 0 5698
2077 "당나귀 시인"을 사랑했던 시인들 2017-04-19 0 3536
2076 프랑스 시인 - 프랑시스 잠 2017-04-19 0 4570
2075 독일 시인 - 횔덜린 2017-04-19 0 6650
2074 헝가리 시인 - 브로샤이 2017-04-18 0 4037
2073 프랑스 시인 - 자끄 프레베르 2017-04-18 0 4294
2072 프랑스 초현실주의 시인 - 루이 아라공 2017-04-18 0 5612
2071 프랑스 시인 - 레미 드 구르몽 2017-04-18 0 5542
2070 영국 계관시인 - 테니슨 2017-04-18 0 4438
2069 프랑스 시인 - 로베르 데스노스 2017-04-11 0 4726
2068 프랑스 시인 - 브로샤이 2017-04-11 0 4038
2067 프랑스 시인 - 자크 프레베르 2017-04-11 0 5673
2066 윤동주가 사랑했던 시인들 2017-04-10 0 4029
2065 "내 귀는 소라껍질/ 바다소리를 그리워하네"... 2017-04-10 0 5384
2064 프랑스 시인 - 장 콕토 2017-04-10 0 5943
2063 프랑스 시인 - 생 종(존) 페르스 2017-04-10 0 4391
2062 미국 시인 가수 밥 딜런는 누구인가... 2017-04-03 0 4919
2061 노벨문학상 타고 침묵으로 일관하다... 2017-04-03 0 3901
2060 스페인 시인 - 히메네스 2017-04-02 0 4046
2059 스페인 시인 - 미겔 에르난데스 2017-04-02 0 4454
2058 동요 "반달"의 작곡가와 그리고 룡정 2017-04-02 0 3821
2057 영국 계관시인 - 벤 존슨 2017-03-30 0 3545
2056 영국 형이상학파 시인 - 존.던 2017-03-30 0 5980
2055 80세, 공부와 시쓰기가 인생 끝자락의 제일 큰 행복이라고... 2017-03-23 0 3578
2054 77세에 등단, 80세에 詩集 출간... 2017-03-20 0 3894
2053 80세에 첫 詩集... 2017-03-20 0 3700
2052 윤동주의 시는 이 땅의 모든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고있다... 2017-03-18 0 3693
2051 정병욱 큰 보람= "윤동주의 시를 간직했다가 세상에 알린 일" 2017-03-18 0 4737
2050 [고향문단소식]- 화룡 출신 최룡관시백 "하이퍼시창작론" 출간 2017-03-17 0 3408
2049 일본 민주주의 녀류시인 - 이바라키 노리코 2017-03-12 0 4993
2048 천재시인 李箱의 시작품 뮤지컬로 재탄생하다... 2017-03-04 0 3314
2047 프랑스 시인 - 페기 2017-03-01 0 4991
2046 일본 시인 - 혼다 히사시 2017-02-23 0 4145
2045 남아메리카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자 칠레 녀류시인 -미스트랄 2017-02-22 0 5812
2044 페루 시인 - 바예호 2017-02-22 0 4256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