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베이징문단소식 한토리
2016년 09월 30일 01시 29분  조회:5301  추천:0  작성자: 죽림

[ 2016년 10월 01일 08시 51분 ]

 

 

/// 천안문광장








중국소수민족문학창작 '준마상' 시상식 북경서
   2016-09-29 09:18:35
 
 
 
 
 
 

  (흑룡강신문=하얼빈) 피금련 특약기자=

27일, 중국작가협회와 국가민족사무위원회에서 공동주최한 제11회 전국소수민족문학창작 '준마상' 시상식이 북경 중국현대문학관에서 성대히 개최되였다.

 

  중국작가협회 주석 철응, 중국작가협회 당조서기이며 부주석인 전소천촌 등이 시상식에 참가하여 축사를 했다. 이밖에 중국작가협회 부주석 리빙, 중선전부 부부장 경준해, 국가민위 부주임 리창평, 중국작가협회 명예부주석 단증,중국소수민족작가학회 명예회장 마라친부(玛拉沁夫) 및 북경에서 중국작가협회 8기 10차 주석단 확대회의에 참가한 전체 회원들도 시상식에 참가했다.

  중국작가협회 주석 철은은 개막사에서 "소수민족문학은 우리 나라 사회주의문학의 중요한 구성부분으로서 중화민족의 문화발전을 추동하는데 적극적인 공헌을 하고 있다. 이번 수상작품들은 여러 민족 군중들의 현실과 리상, 분투와 생활에 깊이 뿌리 박고 민족전통의 영양분을 섭취하였기에 민족성이 짙고 세계성을 가지고 있다" 고 지적했다.

  이번 제11회 전국소수민족문학창작 '준마상' 평선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중국 경내에서 출판된 소수민족작가들의 작품에서 선발, 49명으로 구성된 평심위원회의 실명제 투표를 거쳐 최종 장편소설, 중단편소설, 시가, 산문 등 쟝르에서 각각 5편, 보고문학에서 4편, 그리고 3명의 번역상을 수상했는바 총 15개 민족의 27명 작가가 '준마상'을 획득했다. 24부 수상작품중 몽골문, 장문, 카자흐문, 조선문, 위글문 등 5가지 소수민족 모어 작품 7부가 포괄되였는데 이는 수상작품의 약 30%를 차지했다.

  조선족 작가 및 작품으로는 김관웅교수의 '력사의 강 두만강을 말하다'와 최룡관시인의 '최룡관 시선집'이 이번 '준마상' 영예를 받아안았다.

  1981년에 중국작가협회와 국가민족사무위원회에서 공동으로 설치한 중국소수민족문학창작 '준마상'은 소수민족문학창작을 고무격려하고 중국 다민족문학의 발전을 추동하는데 취지를 둔 문학상으로서 '모순문학상', '로신문학상', '전국우수아동문학상' 등과 함께 중국 당대의 국가급 최고의 4대 문학상으로 불리우며 4년에 한번씩 평한다.

 

 

소수민족문학창작 "준마상" 시상식 북경서,조선족 두명 수상

편집/기자: [ 최화 ] [ 길림신문 ] 발표시간: [ 2016-09-29 10:22:10 ]


수상후 기념사진을 남긴 최룡관(왼쪽 세번째사람),김관웅(왼쪽 네번째사람)

조선족 김관웅, 최룡관이 제11기 전국소수민족문학창작 "준마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아 조선족문단에 또 하나의 쾌거를 기록했다.

중국작가협회, 국가민족사무위원회의 공동주최로 27일 중국현대문학관에서 제11기전국소수민족문학창작“준마상”시상식이 개최되였다.

이번 평선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우리 나라 경내에서 출판된 소수민족작가들의 작품에서 선발했는데 응모작품은 력대를 초과한 총 309부였다.

최종 김관웅의 “두만강은 말한다” 등 5부의 산문, 최룡관의 “최룡관 시 선집” 등 5부의 시가, 리전봉의 “백호채”등 5부의 장편소설, 마금련의 “장하” 등 5부의 단편소설, 풍설송의 “방대증: 소실과 재현” 등 4부의 보고문학 도합 24부의 작품과 3명 번역자가 수상했다.

평심위원들은 《김관웅의 작품 <두만강은 말한다>는 사학과 문학을 겸비하면서 깊은 인문정서와 리성적인 정신을 표현하고있다》고 평했고 최룡관의 “최룡관 시 선집”은《조국, 고향, 인민에 대한 깊은 열애를 표달하며 천지인화(天地人和) 경지를 체현하면서 조선족시가의 특색을 나타냈다》고 평했다.

김관웅교수는《이 상은 나의 모어창작에 대한 격려이고 중국 조선족 작가 모어창작에 대한 표창이라고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히면서《중국 조선족과 기타 소수민족 모어창작이 계속 아름답게 피여나길 바란다》고 전했다.

최룡관시인은《준마상은 작가들한테는 하늘의 별따기와 같은것이다. 이 상은 나한테 있어 가장 큰 영광이다》고 했다. “최룡관 시 선집”에는 총 120수의 시가 수록돼있고 그중 47%가 “하이퍼시”이다. “하이퍼시”로 유명한 최룡관시인은 이제 곧 “하이퍼시창작론”을 출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1981년 창설된 "준마상"은 "모순문학상", "로신문학상", "전국우수아동문학상" 등과 함께 국가급 4대 문학상중 하나로 매 4년에 한번씩 평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077 일본에서 일본인의 손으로 윤동주 시비를 세우려 하다... 2017-03-11 0 4451
1076 중국조선어사정위원회에서 새 "조선말규범집"을 만들다... 2017-03-11 0 3869
1075 매사냥이 유네스코 지정 세계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다... 2017-03-10 0 3761
1074 매로 까마귀떼를 쫓다... 2017-03-10 0 4368
1073 매한테서 어원유래가 된 "시치미 떼다"?!... 2017-03-10 0 3879
1072 매나 독수리로 사냥하며 즐기는것도 "스포츠"라니?!... 2017-03-09 0 7979
1071 야생매 포획할 때 비둘기로 유인하다... 2017-03-09 0 6041
1070 중국 길림성 길림시에 "매사냥문화축제"가 없다?... 있다!... 2017-03-09 0 6792
1069 우리 연변에서도 전통 매사냥문화를 복원해야... 울 할배도 응사(鷹師)였었는데... 2017-03-09 0 4151
1068 [쉼터] - 곰팡이, 의사, 정치가 그리고 꿈... 2017-03-06 0 5871
1067 [쉼터] - 실수(곰팡이)로 인해 만들어진 약 - 페니실린 2017-03-06 0 8034
1066 [이런저런] - 세계에서 제일 비싼 비둘기 2017-03-06 0 3752
1065 [쉼터] - 곰팡이의 진실과 오해 2017-03-06 0 7186
1064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연변에 "한옥마을"이 없다?... 있다!... 2017-03-04 0 3700
106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두 장애인 정말 위대한 사람!!! 2017-03-03 0 4484
1062 저항시인 윤동주도 축구선수였다... 2017-03-03 0 5686
1061 프랑스 실존주의 작가 알베르 카뮈는 축구선수였다... 2017-03-03 0 6155
1060 [이런저런] - 축구선수 심판에게 총을 쏘다... 2017-03-03 0 5113
1059 [쉼터] - 축구판 심판 = 주심 + "제4부심" 2017-03-03 0 4074
1058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지구의 나이 46억살?!... 2017-03-03 0 3894
1057 [쉼터] - 우리 고향에서도 "감자축제"를 열어보자... 2017-03-02 0 3998
1056 [록색평화주의者]우리 고향에도 "차 없는 마을"이 있었으면... 2017-03-02 0 3759
1055 [쉼터]-결혼식용 감자와 장례식용 감자가 따로 없다?...있다!... 2017-03-02 0 4774
1054 [쉼터] - 축구스타와 "사인"받기 2017-03-02 0 3663
1053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야생동물 겨울나기가 잘 되기만을... 2017-03-01 0 4625
1052 [쉼터] - 봄꽃 꽃말 2017-02-28 0 6146
1051 죽림선생님, 안녕하심둥?... 2017-02-28 0 6528
1050 [쉼터] - 뒷간에서 "삼각함수의 법칙"을 발견하다... 2017-02-27 0 3459
1049 백두산호랑이 "드론" 사냥하다... 2017-02-24 0 3925
1048 [이것이 알고싶다] - "가짜 손"과 진짜 손?!... 2017-02-23 0 3563
1047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푸른 눈의 한국인"-호머 헐버트 2017-02-22 0 8009
1046 [이런저런] - 세상에?... 몇억조분에 일 정도일가???... 2017-02-22 0 4849
1045 [이것이 알고싶다] - 최초의 신문은?... 2017-02-22 0 5124
1044 한국인보다 한글을 더 사랑한 미국인이 없었다?... 있었다!... 2017-02-22 0 5516
1043 [자료] - 최초 "한글 띄여쓰기"를 한 사람은 외국인?... 2017-02-22 0 5948
1042 [자료] - 우리 말과 글의 력사를 알아보다... 2017-02-22 0 3532
1041 96년 만의 귀향길에 백두산호랑이와 "기생충"과 함께였더면... 2017-02-21 0 3677
1040 [이것이 알고싶다] - 목화는 인류의 보배 2017-02-18 0 5268
1039 [록색문학평화주의者] - "목화씨"가 호랑이를 먹어버리다... 2017-02-18 0 4205
1038 세계 유명인들의 墓碑名 2017-02-18 0 4047
‹처음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