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보리피리 시인=파랑새 시인
2016년 07월 25일 23시 24분  조회:3923  추천:0  작성자: 죽림
 
육영수 여사가 한하운 시인에게 보낸 편지
한하운 시인의 ‘삶과 문학’ 제전에서 공개…
 
 
   

 

 

‘보리피리 시인’ 또는 ‘파랑새 시인’으로 불리는 한하운 시인(1919~1975)의 ‘삶과 문학’ 제전이 시인의 제2 고향인 인천에서 열렸다.


동 제전에서 육영수 여사가 한하운 시인에게 보낸 편지가 공개될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모은다.

 

 

보리피리 불며 / 봄 언덕 / 고향 그리워 / 피―ㄹ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 꽃 청산 / 어린 때 그리워 / 피―ㄹ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 인환의 거리 / 인간사 그리워 / 피―ㄹ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 방랑의 기산하(幾山河) / 눈물의 언덕을 지나 / 피―ㄹ닐니리. (‘보리피리’ 1955)

 


▲한하운 시인과 제2시집 〈보리피리〉. ⓒ 자료 사진

 

 

한하운 시인은 문둥병, 나병, 한센씨병으로 불리고 있는 천형(天刑) 같은 병고와 애환을 읊은 시로 한국문학사에 독특한 문학공간을 남기고 있는 인천 향토문화사의 대표적인 인물. 함경남도 출신으로 6.25때 월남해 인천에 정착, 나환자들과 동병상련의 벗으로 평생을 보내며 독특한 시문학의 경지를 이룩했다.

 

한하운 시인의 ‘삶과 문학’ 제전은 ‘파랑새 되어’라는 이름의 특별전으로 (재)인천문화재단(대표이사 심갑섭)이 마련했다. 


...인천아트플랫폼 공연장에서 소설가 김별아와 시인 이기인이 한하운 시인의 시 ‘보리피리’ ‘파랑새’ 등을 낭송하고 가수 안치환은 이를 노래로 들려주는 콘서트를 맡았다.

 

더불어 ...한하운 시인의 친필 유고와 사진, 편지글 등을 한데 모은 ‘한하운 자료전’이 ...


인천문화재단은 올해 한하운 시인의 업적을 조명하기 위한 첫번째 행사로 〈한하운 전집〉 발간을 기획, 11월 중에 출간(문학과지성사)을 앞두고 있으며 “시인 한하운의 작품세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기에 더욱 의미가 있다”고 취지를 밝히고 있다.


한하운 시인의 문학과 함께 그의 삶을 대변하는 나병과 관련하여 눈길을 모으는 육영수 여사의 편지는 ‘한하운 자료전’에 준비가 되어 있다. 
편지는 나환자 정착촌(십정농장)에 거주하는 한하운 시인에게 양지회 회장이기도 한 육영수 여사가 김종필 총리 부인 박영옥 여사와 함께 서명해 보낸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육영수 여사의 편지(1971.11.20). ⓒ 자료 사진

 

한하운 귀하

남달리 어려운 처지에서 그간의 시련을 극복하고 이제 자립의 경지에 이른 귀 정착장의 발전을 축하하며, 앞으로 더욱 보람찬 내 고장을 건설하기 위하여 애쓰고 있는 귀하와 그곳 십정농장의 주민 여러분의 노고를 높이 치하하는 바입니다.

 

그동안 우리 양지회에서는 유다른 사정하에 있는 전국 나정착장 주민들의 자활능력을 증대시켜 보고자 노력한 나머지 다소의 재원이 마련되었기에 그중에서도 아직 자립의 터전을 마련치 못한 동료 정착장의 양돈 사업을 전개키로 하면서 우선 전국 86개 정착촌에 영농서적 등을 갖춘 책을 한 상자씩 보내주기로 되었습니다.

 

비록 많은 책은 아니지만 귀 십정농장의 주민들에게 격려의 표시로 보내는 이 문고가 귀 정착장 주민 여러분에게 유익한 벗이 되기를 우리는 간곡히 바라고 있습니다.

 

이제 자립의 터전을 확보함으로써 후진 정착장 동료 여러분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실천으로써 보여주고 있는 여러분의 노고를 다시 한번 높이 치하하며 귀 십정농장이 더욱 모범되고 빛나는 고장이 되기를 간곡히 바라는 바입니다. 

 

귀하를 통하여 그 고장의 동료와 주민 여러분에게 우리들의 각별한 안부를 전하고자 하며, 여러분 가정에 항상 행복과 보람이 함께 하기를 바랍니다.

안녕히 계십시오.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3 사르트르 2015-03-04 0 4626
122 도데와 <마지막 수업> 2015-03-04 0 5229
121 이율곡과 시 2015-03-04 0 4915
120 시인 - 조룡남 2015-03-04 0 7454
119 不狂不及 2015-03-04 0 4819
118 <<마지막 분대장>> - 김학철 2015-03-02 0 5083
117 남평 ㅡ 시인들을 낳은 땅 2015-03-02 0 4957
116 시인 - 고 리욱 2015-03-02 0 5588
115 룡정 ㅡ 우리 문학의 비옥한 풍토 2015-03-02 0 5759
114 소설가 - 고 김학철 2015-03-02 0 4938
113 시인 - 고 정몽호 2015-03-02 0 6095
112 강경애 - 두만강 례찬 2015-03-02 0 5561
111 동시인 - 고 김례삼 2015-03-02 0 5065
110 시인 - 고 김성휘 2015-03-02 0 5321
109 시인 - 리상각 2015-03-02 0 5142
108 시인 - 남영전 2015-03-02 0 4907
107 시인 - 김철 2015-03-02 0 5623
106 조기천과 <<백두산>> 2015-02-24 0 4832
105 하이퍼시 일가견 2015-02-24 0 4752
104 현대시 원리와 하이퍼시 2015-02-24 0 4794
103 hyper poetry 리해 2015-02-24 0 4512
102 하이퍼시와 비몽사몽 글쓰기 2015-02-24 0 4942
101 <산해경>은 난해시의 원조 2015-02-19 0 4964
100 시작 도우미 ㅅ 2015-02-19 0 5610
99 신경림 시평; 시 읽는 재미 2015-02-19 0 5075
98 시작 도우미 ㅂ 2015-02-19 0 4576
97 쉬운 시쓰기 어려움 2015-02-19 0 4505
96 시작 도우미 ㅁ 2015-02-19 0 4680
95 시작 도우미 ㄹ 2015-02-19 0 4410
94 시작 도우미 ㄷ 2015-02-19 0 4548
93 시쓰기 비법 2015-02-19 0 4766
92 시작 도우미 ㄴ 2015-02-19 1 5024
91 시작 도우미... 2015-02-19 0 4363
90 글에서의 기호학 2015-02-19 0 4481
89 글쓰기 0도 2015-02-19 0 4696
88 하이퍼시 도우미 4 2015-02-19 0 4701
87 심상운 시평 <우체부> 2015-02-19 0 4896
86 멍텅구리의 시학 2015-02-19 0 5111
85 현대시의 낯설게 하기 2015-02-19 1 5082
84 시와 생명 2015-02-19 0 4648
‹처음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