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강은교 - 우리가 물이 되어
2016년 05월 01일 19시 00분  조회:5081  추천:0  작성자: 죽림

 

우리가 물이 되어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가문 어느 집에선들 좋아하지 않으랴. 
우리가 키큰 나무와 함께 서서
우르르 우르르 비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흐르고 흘러서 저물녘엔 
저혼자 깊어지는 강물에 누워 
죽은 나무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아아, 아직 처녀(處女)인 
부끄러운 바다에 닿는다면. 
그러나 지금 우리는 
불로 만나려 한다. 
벌써 숯이 된 뼈 하나가 
세상의 불타는 것들을 쓰다듬고 있나니.
만리(萬里) 밖에서 기다리는 그대여 
저 불 지난 뒤에 
흐르는 물로 만나자. 
푸시시 푸시시 불꺼지는 소리로 말하면서
올 때는 인적(人跡) 그친
넓고 깨끗한 하늘로 오라. 

▲ 일러스트=잠산

물은 선하다. 물은 그 자체로 흐르는 모습이다. 흐르는 에너지이다. 물은 작은 샘에서 솟고, 뿌리에게 스미고, 하나의 의지로 뭉쳐 흐르고, 환희로 넘치고, 작별하듯 하늘로 증발하고, 우수가 되어 떨어져 내리고, 다시 신생의 생명으로 돌아와 이 세계를 흐른다.

우리가 태어나고 사귀고 웃고 슬프고 울고 아득히 사라질 때에도 물은 우리보다 먼저 이 세계에 왔으며 우리보다 먼저 사라졌으며 우리보다 먼저 다시 태어났으니, 유한한 우리에게 물은 한 번도 태어난 적이 없고 한 번도 사라진 적이 없다. 물은 불과 흙과 공기와 더불어 이 세계가 온존하는 한 온존할 것이다. 해서 물은 모든 탄생과 소멸을 완성하며, 그 자체로 소생하고 순환하는 생명이다.

이 시를 읽을 때면 '선한 물'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불이 어떤 부정과 대립이라면 물은 그마저도 끌어안는 어떤 관용. 물은 사랑. 자주 침묵하지만 한 번도 사랑을 잊은 적이 없는 마음 큰 이. 우리도 서로에게 물이 되어 서로의 목숨 속을 흐를 수 없을까. 우리는 그렇게 만날 수 없을까. 물과 같고 대지와도 같은 침묵의 큰 사랑일 수 없을까. 

강은교(62) 시인이 '사랑法'이라는 시에서 '떠나고 싶은 자/ 떠나게 하고/ 잠들고 싶은 자/ 잠들게 하고/ 그리고도 남는 시간은/ 침묵할 것// 또는 꽃에 대하여/ 또는 하늘에 대하여/ 또는 무덤에 대하여// 서둘지 말 것/ 침묵할 것.//(중략)// 가장 큰 하늘은 언제나/ 그대 등 뒤에 있다.'라고 노래했듯이.

강은교 시인은 1968년에 등단해 올해로 등단 40주년을 맞았다. 초기에 발표한 시들이 강한 허무 의식을 드러냈기 때문에 그녀를 '허무의 시인'이라고 부르기도 했지만, 그녀의 시는 민중적인 서정에도 가 닿고, 사소하고 하찮은 생명들을 끌어안기도 하는 등 아주 큰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나는 어느 해엔가 그녀가 시의 낭송과 울림을 통해 사람들의 마음 속 질병과 상처를 치료하는 '시 치료' 공연을 하는 것을 감명 깊게 본 적이 있다. 그때에도 지금에도 강은교 시인은 이 세계의 순례자로서 이 세계의 구원을 위해 생명수를 구해오는 바리데기의 현신이다.[문태준 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43 아버지를 좀 안아 드려야 할것같은 가을이다... 2016-10-12 0 4094
1642 굴레가 되고 싶지 않다... 2016-10-10 0 4497
1641 김수영 시인을 다시 떠올리면서... 2016-10-10 0 4945
1640 풀의 시인 김수영 非발표작 詩 공개되다... 2016-10-10 0 4662
1639 저항시인 이육사 미발표 詩 발굴되다... 2016-10-10 0 5106
1638 윤동주 미발표작 詩 발굴되다... 2016-10-10 0 3791
1637 "윤동주 미발표 詩 더 있다" 2016-10-10 0 4684
1636 詩란 사모곡(思母曲)이다... 2016-10-10 0 4151
1635 詩는 리태백과 두보와 같다...처..ㄹ... 썩... 2016-10-09 0 4308
1634 詩는 무지개의 빛갈과 같다... 아니 같다... 2016-10-09 0 4260
1633 현대시사상 가장 다양한 시형의 개척자 - 김수영 2016-10-06 0 4969
1632 詩란 무구(無垢)한 존재이며 무구한 국가이다... 2016-10-06 0 4684
1631 詩는 추상의 반죽 덩어리... 2016-10-06 0 4300
1630 詩는 시골이다... 2016-10-03 0 4094
1629 詩란 주사위 던지기와 같다... 2016-10-02 0 4161
1628 詩란 100년의 앞을 보는 망원경이다... 2016-10-01 0 4394
1627 詩는 가장 거대한 백일몽 2016-10-01 0 4467
1626 詩人은 존재하지 않는 詩의 마을의 촌장 2016-10-01 0 4653
1625 詩人은 오늘도 詩作을 위해 뻐꾹새처럼 울고지고... 2016-10-01 0 4768
1624 詩作에서 구어체 편지형식을 리용할수도 있다... 2016-10-01 0 4619
1623 詩人은 약초 캐는 감약초군이다... 2016-10-01 0 4837
1622 詩人는 언어란 감옥의 감옥장이다... 2016-10-01 0 4614
1621 詩人은 추상화와 결혼해야... 2016-10-01 0 4897
1620 詩란 섬과 섬을 잇어놓는 섶징검다리이다... 2016-10-01 0 4378
1619 詩란 돌과 물과 바람들의 침묵을 읽는것... 2016-10-01 0 4498
1618 詩란 사라진 시간을 찾아 떠나는 려행객이다... 2016-10-01 0 4879
1617 詩作란 황새의 외다리서기이다... 2016-10-01 0 5443
1616 詩란 한잔 2루피 찻집의 호롱불이다... 2016-10-01 0 4419
1615 詩란 사라진 길을 찾는 광란이다.... 2016-10-01 0 4922
1614 詩는 한해살이풀씨를 퍼뜨리듯 질퍽해야... 2016-10-01 0 4520
1613 나는 다른 시인이 될수 없다... 2016-10-01 0 5619
1612 詩는 국밥집 할매의 맛있는 롱담짓거리이다... 2016-10-01 0 4436
1611 詩란 심야를 지키는 민간인이다... 2016-10-01 0 4865
1610 詩는 한매의 아름다운 수묵화 2016-10-01 0 4951
1609 詩는 신비한 혼혈아이다... 2016-10-01 0 4913
1608 詩作에는 그 어떠한 격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2016-10-01 0 4589
1607 詩는 길위에서 길찾기... 2016-10-01 0 4738
1606 詩에는 정착역이란 없다... 2016-10-01 0 4731
1605 詩와 윤동주 <<서시>> 2016-10-01 0 4761
1604 詩는 리별의 노래 2016-10-01 0 4273
‹처음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