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박용래 - 저녁눈
2016년 05월 01일 18시 54분  조회:4878  추천:0  작성자: 죽림

 

저녁눈

 

박용래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말집 호롱불 밑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조랑말 발굽 밑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여물 써는 소리에 붐비다 

늦은 저녁때 오는 눈발은 변두리 빈터만 다니며 붐비다.

 

▲ 일러스트 / 잠산

 

박용래(1925~1980) 시인은 과작의 시인이었다. 그는 우리말을 한 땀 한 땀 정성스럽게 기워 시를 써냈다. 그의 시는 가난한 것과 세상이 거들떠보지 않는 작고 하찮은 것들을 세필(細筆)로 세세하게 그려내고 돌보았다.

'저녁눈'을 읽으면 허름한 말집(추녀를 사방으로 삥 두른 집)에 앉아 '탁배기'를 한 잔 하고 있는 박용래 시인이 보이는 듯하다. 말집에는 마차꾼과 지게꾼이 흥성흥성하고, 먼 길을 터벅터벅 걸어온 나귀와 노새가 급한 숨을 내쉬느라 투루루 투레질을 하고, 누군가는 구유에 내놓을 여물을 써느라 작두질을 하고 있었을 것이다. 해는 떨어지고 추운 밤은 오는데 눈발은 삭풍에 내려앉을 곳을 찾지 못하고 있었을 것이다. 그는 호롱불 불빛을 받으며 떠도는 눈발을, 조랑말의 정처 없는 걸음처럼 난분분한 눈발을, 여물 써는 소리처럼 내리는 눈발을 바라보고 있었을 것이다.

그는 이 시에서 '붐비다'라고 써서 목탄화처럼 평면적인 풍경에 동선(動線)을 끌어넣는가 하면, 한 곳 한 곳 짚어가던 시선을 들어 올려 퀭한 빈터로 옮김으로써 시의 공간을 일순에 넓게 확장하는 재주를 선보이고 있다.

그는 물러나 앉아 늦은 저녁 눈발 내리는 그 풍경을 하나의 '공터'로 읽었을 것이다. 마차꾼과 지게꾼의 떠도는 삶과 내일이면 또 먼 길을 떠나야 하는 그네들의 노심초사와 나귀와 노새의 공복(空腹)을 읽었을 것이다.

박용래 시인은 술판에서 엉엉 잘 울던 마음 여린 시인이었다. 천진하게 잘 울어 '눈물의 시인'이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박용래 시인과 절친했던 소설가 이문구는 '박용래 약전(略傳)'이라는 글에서 박용래 시인의 잦은 눈물에 대해 이렇게 썼다. "모든 아름다운 것들은 언제나 그의 눈물을 불렀다. 갸륵한 것, 어여쁜 것, 소박한 것, 조촐한 것, 조용한 것, 알뜰한 것, 인간의 손을 안 탄 것, 문명의 때가 아니 묻은 것, 임자가 없는 것, 아무렇게나 버려진 것, 갓 태어난 것, 저절로 묵은 것…. 그는 누리의 온갖 생령(生靈)에서 천체의 흔적에 이르도록 사랑하지 않은 것이 없었으며, 사랑스러운 것들을 만날 적마다 눈시울을 붉히지 않은 때가 없었다."

박용래 시인이 생전에 살았던 대전시 오류동 17번지의 15호를 찾아가면 "감새/ 감꽃 속에 살아라"라고 노래했던 선한 그가 "윤회 끝/ 이제는 돌아와" 다시 살고 있을까.

[문태준 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83 미국 시인 - 빌리 콜린스 2016-11-28 0 4739
1882 詩는 언어로 남과 더불어 사는 정서를 절규하는것... 2016-11-28 0 4056
1881 시인, 시, 그리고 미술... 2016-11-27 0 4227
1880 시인, 시, 그리고 경제... 2016-11-27 0 3653
1879 시인의 미국 시인 - 에즈라 파운드 2016-11-27 1 5491
1878 현대시를 이끈 시대의 대변인 영국시인 - T.S. 엘리엇 2016-11-27 0 5389
1877 "부부 시인"의 비극과 또 하나의 그림자 2016-11-26 1 5689
1876 미국 시인 - 실비아 플라스 2016-11-26 0 5207
1875 독일 시인 - 롤프 디터 브링크만 2016-11-26 0 4185
1874 권총으로 자살한 구쏘련 시인 - 마야꼬프스끼 2016-11-26 0 4403
1873 20세기 러시아 최대 서정시인 - 안나 아흐마또바 2016-11-26 0 3717
1872 20세기 러시아 최대의 시인 - 오시쁘 만젤쉬땀 2016-11-26 1 3923
1871 상상하라, 당신의 심원한 일부와 함께 비상하라... 2016-11-26 0 3375
1870 세계문학상에서 가장 짧은 형태의 시 - "하이쿠" 2016-11-26 0 4217
1869 詩의 탄생 = 人의 출생 2016-11-26 0 3527
1868 실험적 詩는 아직도 어둠의 아방궁전에서 자라고 있다... 2016-11-26 0 4107
1867 詩가 무엇이길래 예전에도 지금도 실험에 또 실험이냐... 2016-11-26 0 4592
1866 詩는 독자들에게 읽는 즐거움을 주어야... 2016-11-26 0 3437
1865 詩를 더불어 사는 삶쪽에 력점을 두고 써라... 2016-11-26 0 3768
1864 詩人은 명확하고 힘있게 말하는 사람... 2016-11-26 0 3669
1863 詩를 발랄한 유머와 역설의 언어로 재미있게 읽히는 시로 써라... 2016-11-26 0 4038
1862 캐나다계 미국 시인 - 마크 스트랜드 2016-11-22 0 5267
1861 미국 시인 - 시어도어 로스케 2016-11-22 1 6516
1860 러시아계 미국 시인 - 조지프 브로드스키 2016-11-22 0 4642
1859 詩란 마음 비우기로 언어 세우기이다... 2016-11-22 0 3946
1858 자연속의 삶을 노래한 미국 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16-11-21 0 6677
1857 풍자시란 삶의 그라프를 조각하여 통쾌함을 나타내는 시... 2016-11-21 0 3847
1856 미국 재즈 시의 초기 혁신자 中 시인 - 랭스턴 휴스 2016-11-20 0 5201
1855 락서는 詩作의 始初에도 못미치는 망동... 2016-11-19 0 3632
1854 인기나 명성에 연연해하지 않고 자신의 색갈을 고집한 예술가 2016-11-18 0 5270
1853 카나다 음유시인 - 레너드 노먼 코언 2016-11-18 0 5209
1852 령혼 + 동료 = ...삶의 그라프 2016-11-18 0 3535
1851 김영건 / 박춘월 2016-11-18 0 3441
1850 詩作의 첫번째 비결은 껄끄러움을 느끼지 않게 쓰는것... 2016-11-18 0 3990
1849 詩作할때 "수사법" 자알 잘 리용할줄 알아야... 2016-11-16 1 4835
1848 詩人은 "꽃말"의 상징성을 발견할줄 알아야... 2016-11-15 0 3642
1847 진정한 "시혁명"은 거대한 사조의 동력이 안받침되여야... 2016-11-15 0 3566
1846 고 김정호 / 허동식 2016-11-15 0 3645
1845 윤청남 / 허동식 2016-11-15 0 3666
1844 詩를 제발 오독(誤讀)하지 말자... 2016-11-15 0 3853
‹처음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