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노천명 - 사슴
2016년 05월 01일 18시 51분  조회:4780  추천:0  작성자: 죽림

 

사슴

 

노 천 명

 
모가지가 길어서 슬픈 짐승이여 

언제나 점잖은 편 말이 없구나 

관이 향기로운 너는 

무척 높은 족속이었나 보다 

물속의 제 그림자를 들여다보고 

잃었던 전설을 생각해내곤 

어찌할 수 없는 향수에 

슬픈 모가지를 하고 먼데 산을 쳐다본다 

<1938년>
▲ 일러스트=잠산

노천명(1911~1957) 시인은 어릴 때 홍역을 앓아 사경을 헤매다 다시 소생했는데 이 때문에 이름을 '천명(天命)'으로 바꾸었다. 하늘로부터 다시 받은 목숨으로 천수(天壽)를 누리라는 뜻으로 이름을 바꾸었으나 평생 독신으로 살다 1957년 타계했다. 노천명 시인은 고독의 차가운 차일을 친 시인이었다. 실제로도 고독벽이 있었다. 시 '자화상'에서 자신의 풍모를 "몹시 차 보여서 좀체로 가까이 하기 어려워한다"라고 썼고, "꼭 다문 입은 괴로움을 내뿜기보다 흔히는 혼자 삼켜버리는 서글픈 버릇이 있다"라고 썼다.

이 시는 한 마리의 사슴을 등장시켜 자신의 모습을 투영한다. 시인은 사슴의 몸통과 다리를 배제한 채, 자화상을 그리는 화가처럼 사슴의 목 윗부분을 그려낸다. 관(뿔)을 쓴 '높은 족속'으로 스스로를 도도하고도 고고하게 표현하지만, 2연에서는 물리칠 수 없는 마음의 통증을 보여준다. 마음의 통증은 어디에서 연유할까. 노천명은 많은 시편에서 어릴 때의 평온했던 시간으로 귀소하려는 욕구를 드러낸다. "절편 같은 반달이 싸리문 우에 돋고", "삼밭 울바주엔 호박꽃이 화안한 마을"로 시인의 마음은 자주 이끌린다. 그 시간들은 화해와 무(無)갈등과 동화적인 세계이다. 그런 세계를 동경하는 화자와 현실 사이의 괴리가 마음의 결손을 유발한다. 그 괴리의 거리와 슬픔의 크기를 시인은 가냘프고 긴 사슴의 목에 빗대어 말하고 있다.

삶은 고독과 갈등의 경전이다. 우리는 이 세상의 몸을 받을 때부터 고독의 의복을 입고 태어났다. 그러나 우리는 고독의 정면(正面)을 보고 싶어하지 않는다. 고독의 시간이라야 우리는 진정으로 우리를 만날 수 있고, 그때 참회와 기도가 생겨나게 되지만. 해서 모든 종교적인 시간은 고독의 시간이지만. 릴케의 표현처럼 "고독은 비와도 같은 것"이며, "(고독은) 서로 미워하는 사람들이 같은 잠자리에서 함께 잠을 이루어야 할 때"처럼 흔하게 찾아오는 것. 너무나 마음 쓸 데가 많아서 도무지 고독할 시간조차 없다고 말하지 말자. 이 시를 애송하는 시간에라도 우리는 우리의 근원적인 고독의 시간을 살자. 나의 자화상을 솔직하게 들여다보자. 고립감이 자기애로 나아가더라도. 설혹 자기애에 빠져 나르키소스처럼 한 송이의 수선화로 피어나더라도.

남빛 치마와 흰 저고리를 즐겨 입었다는 노천명 시인은 한국시사에서 시적 대상을 시적 화자와 겹쳐 놓음으로써 현대 서정시의 동일성 시학을 선보인 최초의 여성 시인이었다.[문태준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3 사르트르 2015-03-04 0 4629
122 도데와 <마지막 수업> 2015-03-04 0 5230
121 이율곡과 시 2015-03-04 0 4915
120 시인 - 조룡남 2015-03-04 0 7456
119 不狂不及 2015-03-04 0 4824
118 <<마지막 분대장>> - 김학철 2015-03-02 0 5086
117 남평 ㅡ 시인들을 낳은 땅 2015-03-02 0 4961
116 시인 - 고 리욱 2015-03-02 0 5592
115 룡정 ㅡ 우리 문학의 비옥한 풍토 2015-03-02 0 5761
114 소설가 - 고 김학철 2015-03-02 0 4948
113 시인 - 고 정몽호 2015-03-02 0 6113
112 강경애 - 두만강 례찬 2015-03-02 0 5566
111 동시인 - 고 김례삼 2015-03-02 0 5135
110 시인 - 고 김성휘 2015-03-02 0 5344
109 시인 - 리상각 2015-03-02 0 5142
108 시인 - 남영전 2015-03-02 0 4911
107 시인 - 김철 2015-03-02 0 5631
106 조기천과 <<백두산>> 2015-02-24 0 4845
105 하이퍼시 일가견 2015-02-24 0 4819
104 현대시 원리와 하이퍼시 2015-02-24 0 4797
103 hyper poetry 리해 2015-02-24 0 4588
102 하이퍼시와 비몽사몽 글쓰기 2015-02-24 0 4945
101 <산해경>은 난해시의 원조 2015-02-19 0 4966
100 시작 도우미 ㅅ 2015-02-19 0 5611
99 신경림 시평; 시 읽는 재미 2015-02-19 0 5095
98 시작 도우미 ㅂ 2015-02-19 0 4576
97 쉬운 시쓰기 어려움 2015-02-19 0 4512
96 시작 도우미 ㅁ 2015-02-19 0 4683
95 시작 도우미 ㄹ 2015-02-19 0 4413
94 시작 도우미 ㄷ 2015-02-19 0 4549
93 시쓰기 비법 2015-02-19 0 4768
92 시작 도우미 ㄴ 2015-02-19 1 5025
91 시작 도우미... 2015-02-19 0 4369
90 글에서의 기호학 2015-02-19 0 4489
89 글쓰기 0도 2015-02-19 0 4701
88 하이퍼시 도우미 4 2015-02-19 0 4703
87 심상운 시평 <우체부> 2015-02-19 0 4914
86 멍텅구리의 시학 2015-02-19 0 5113
85 현대시의 낯설게 하기 2015-02-19 1 5090
84 시와 생명 2015-02-19 0 4649
‹처음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