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이 계절의 詩 한숲 거닐다]- 사려니 숲길
2016년 04월 04일 06시 44분  조회:4842  추천:0  작성자: 죽림

길이 없으면 걸을 수 없어요. 다른 풍경으로 갈 수 없어요. 멈춤을 안정이라고 착각하고는 해요.

움직일 때 나타나는 것이 시간인데요. 시간을 위해 계속 만들어지는 것이 길일 텐데요.

걷지 않으면 길은 없어요. 걸을 때 길이라고 부르지요. 숲은 나무들의 우주죠. 사람이 숲으로 들어갔을 때, 사람의 다섯배 열배 큰 나무들은 제 품을 기꺼이 내주었죠. 그곳을 숲길이라고 부르죠. 나무들은 어미처럼 품어주나봐요. 마음이 건천이 되었을 때도 용암으로 끓어오를 때도 가고 싶은 길이니까요.

‘사려니’는 ‘신의 영역’이라는 뜻이라지요. 신성이 깃든 깊은 곳이라는 뜻이겠지요. 연약하고 힘없는 것들이 자신의 자리에서 조그맣고 짙은 향기의 종소리를 내게 도와주는 것, 신성은 그런 것이겠지요. 그러니 초록으로 개울로 회복시키고, 단풍과 폭설의 시간을 받아들이게 하겠지요. 우리가 ‘스스로 그러하다’는 시간이 내장된, 자연임을 다시 깨닫게 하겠지요.

사려니 숲길의 색과 향기, 소리와 서늘함까지 담아냈다면, 깊은 안을 알고 있는 것이지요. 거기까지 닿은 눈이겠지요. 길과 그 길을 걸은 사람이 닮게 되는 것은 당연하지요. 초록으로 돌아오라고 부르는 길이 있다면 우리는 마땅히 희망을 가져야 하지요.

/ 이원 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63 [안녕?- 아침 詩 한송이]- 미친 약속 2016-03-10 0 4332
1162 <노을> 시모음 2016-03-10 0 5184
1161 詩作初心 - 시의 제목 잘 선별하기 2016-03-10 0 5271
1160 詩作初心 - 시는 두겹으로 그림을 그려라 2016-03-09 0 5912
1159 詩作初心 - 시는 20행이하로... 2016-03-09 1 7128
1158 <개> 시모음 2016-03-08 0 4589
1157 [안녕?- 아침 詩 한송이]ㅡ 봄소동 2016-03-08 0 4179
1156 "나는 단어를 찾는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 2016-03-07 0 3927
1155 [동시야 놀자]- 지각 대장 싸움 대장 2016-03-07 0 4312
1154 [동시야 놀자]- 쫑마리 2016-03-07 0 3940
1153 [동시야 놀자]- 오줌싸개 지도 2016-03-07 0 4383
1152 [동시야 놀자]- 아름다운 국수 2016-03-07 0 4504
1151 [동시야 놀자]- 까만 밤 2016-03-07 1 4418
1150 [동시야 놀자]- 봉숭아 2016-03-07 0 4412
1149 [안녕?- 아침 詩 두송이]- 들깨를 터는 저녁 / 뜨개질 2016-03-07 0 4640
1148 {안녕? - 아침 詩 한송이} - 白石 詩 2016-03-06 0 5684
1147 詩作初心 - 좋은 시를 모방하되 자기 색갈 만들기 2016-03-06 0 8194
1146 詩에서 상상은 허구, 가공이다... 2016-03-04 0 5338
1145 {안녕?- 아침 詩 두송이} - 나무들의 목소리 2016-03-04 0 4659
1144 詩는 그 어디까지나 상상의 산물 2016-03-04 0 4851
1143 [아침 詩 두수] - 황지우 시 두수 2016-03-03 0 4763
1142 산문시가 산문이 아니다라 詩이다 2016-03-03 0 4924
1141 산문과 산문시의 차이 알아보기 2016-03-03 0 5069
1140 산문시와 산문을 구별해보자 2016-03-03 0 4601
1139 "시의 본질" 이라는 거울앞에 서보자 2016-03-03 0 4513
1138 독자가 없으면 詩는 존재할수 있다... 없다... 2016-03-03 0 4877
1137 밀핵시(密核詩)란? 2016-03-02 0 4893
1136 [아침 詩 한수] - 내가 뜯는 이 빵 2016-03-02 0 4386
1135 눈물보다 독한 술은 없다... 있다... 2016-03-02 0 4204
1134 詩의 천하루밤 2016-03-02 0 4388
1133 詩作初心 - 독자 없는 시대를 독자 있는 시대로... 2016-03-02 0 4672
1132 詩作初心 - 詩를 읽는다는것은... 2016-03-01 0 4657
1131 詩作初心 - 한편의 시를 탈고하기 위하여... 2016-03-01 0 5562
1130 [아침 詩 한수] - 어떤 평화 2016-02-29 0 4981
1129 詩作初心 - 좋은 詩 없다... 있다... 2016-02-26 0 4568
1128 詩作初心 - "詩의 본질"이라는 거울앞에서ㅡ 2016-02-26 0 4702
1127 [아침 詩 두수] - 늙은 꽃 / 기적 2016-02-26 0 4518
1126 [아침 詩 한수] - 가벼운 농담 2016-02-25 0 4570
1125 민족시인들을 찾아서... 2016-02-25 0 5207
1124 詩作初心 - 詩의 출발은 사춘기, 고정관념 벗어나기 2016-02-24 0 4778
‹처음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