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는 물과 거울과 달과 꽃과 더불어...
2016년 03월 28일 00시 24분  조회:5253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의 요소는
체격體格,
성조聲調,
흥상興象,
풍신風神이다




호응린胡應麟의 <시작대요詩作大要>

詩作大要不過二端體格聲調興象風神而已시작대요불과이단체격성조흥상풍신이이: 시를 짓는 큰 요소는 두 가지에 지나지 않는데, 체격體格과 성조聲調(각 음절의 높이高低), 흥상興象(이미지)과 풍신風神(풍채風采)일 따름이니라.
體格聲調有則可循체격성조유칙가순: 체격과 성조에는 쫓을 수 있는 규칙이 있으나
興象風神無方可集흥상풍신무방가집: 흥상과 풍신에는 잡아 놓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故作者但求體正格高聲雄調鬯고작자단구체정격고성웅조창: 그러므로 작자는 다만 체격이 바르고 격조는 높고, 소리는 웅장하고 가락은 매끄럽기만을 구하였다.
積習之久矜持盡化形迹俱融적습지구긍지진화형적구융): 연습의 쌓임이 오래되면 세심한 주의력이 녹아들고 외형의 흔적이 두루 융합될 것이다.
興象風神自爾超邁흥상풍신자이초매: 흥상과 시의 정신은 이렇게 하는 데서 높아질 것이다.
譬諸鏡花水月비저경화수월: 이를 거울에 비친 꽃과 물에 비친 달에 비유하면
體格聲調水與鏡也체격성조수여경야: 체격과 성조는 물과 거울이요
興象風神月與花也흥상풍신월여화야: 흥상과 풍신은 달과 꽃이다.
必水澄鏡朗然後花月宛然필수징경랑연후화월완연: 반드시 물이 맑고 거울이 밝은 뒤에야 꽃과 달이 완연히 드러난다.
詎容昏鑑濁流求覩二者거용혼감탁류구도이자: 어찌 어두운 거울과 탁한 물의 흐름에서 두 가지를 구할 수 있겠는가?
故法所當先而悟不容强也고법소당선이오불용강야: 그러므로 법이란 마땅히 앞세워야 할 요소이나 깨달음은 억지로 할 수 없는 것이다.

시인이자 문예비평가인 호응린胡應麟(1551~1602)은 명나라 금화부金華府 난계蘭溪 사람으로 자는 원서元瑞 또는 명서明瑞이고, 호는 소실산인少室山人 또는 석양생石羊生, 부용봉객芙蓉峰客 등이다.
15살 때 여러 작가들의 소설을 모아『백가이원百家異苑』을 편찬했다.
만력萬曆 4년(1576) 향리에서 천거되고, 거인擧人이 되었지만, 진사시에서 세 번 낙방했다.
산중에 집을 짓고 수만 권의 장서를 구매하여 두루 암기하면서 박학을 과시했다.
유불도儒彿道에 모두 능통했다.
일찍이 시를 지어 왕세정王世貞을 찾았다가 그의 칭송을 들었다.
저서로『소실산방필총少室山房筆叢』과『시수詩藪』,『유고類稿』,『갑을잉언甲乙剩言』,『단연신록丹鉛新錄』,『예림학산藝林學山』 등이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43 누구룰 위하여 종은 울리나... 2016-05-19 0 4427
1442 {자료}- 김철 시인 / 김응준 시인 2016-05-18 0 7567
1441 시문학 부흥의 묘약은 어디?... 2016-05-18 0 4490
1440 이승의 버스가 씨근거리고... 새가 된 꽃이라며... 2016-05-18 0 4930
1439 [한밤중 詩와 함께]- 배꼽 2016-05-18 0 4348
1438 詩論을 알면 시쓰기 힘들다... 2016-05-17 0 4592
1437 55년만에 발굴된 민족시인 - 심련수 / ... 2016-05-16 0 5622
1436 詩人과 詩 그리고 갱신의 길 / ... 2016-05-16 0 4895
1435 詩의 언어는 과학적 언어가 아니다 2016-05-16 0 4844
1434 순화된 언어속에서 건져 올리는 낯설기라야 가치 있다 2016-05-16 0 4491
1433 [초저녘 詩 읊다]- 초승달 카페 // 송몽규를 다시 떠올리다 2016-05-16 0 4971
1432 詩의 언어는 음악적이여야... 2016-05-16 0 4815
1431 그 새벽, 시인이 서 있는 곳은,ㅡ 2016-05-16 0 5100
1430 동심이라는 이름의 마법 2016-05-16 0 5197
1429 비긋는 아침, 당신의 고해소는 어디?... 2016-05-16 0 4337
1428 교훈조의 詩는 좋은 詩가 아니다 2016-05-15 0 5024
1427 잊혀진 시인 찾아서 - 설창수 시인 2016-05-14 0 5021
1426 잊혀진 시인 찾아서 - 김종한 시인 2016-05-14 0 5705
1425 동시인 김득만 "365밤 동요동시" 출간 2016-05-14 0 5101
1424 사랑의 방정식 2016-05-14 0 4880
1423 울음상점에서 만나다... 2016-05-13 0 4614
1422 시인의 몸에 몇개의 지문이 없다... 있다... 2016-05-13 0 4969
1421 시작의 첫 줄에 마음 써라... 2016-05-12 0 4555
1420 시의 이미지는 진화한다... 2016-05-12 0 5403
1419 [안개 푹 설레이는 아침 시 한컷]- 옛 엽서 2016-05-12 0 4749
1418 왁자지껄한 평화속에서 꽃 피우라... 2016-05-11 0 4255
1417 아이는 삶으로 뛰여든다... 2016-05-10 0 4558
1416 나무들은 때로 불꽃 입술로 말한다... 2016-05-10 0 4602
1415 살구나무에 몸을 비벼본다... 2016-05-10 0 4855
1414 하이쿠 = 17자 2016-05-10 0 4703
1413 구체시 = 구상시 2016-05-10 0 4977
1412 혁명시인 - 김남주 시모음 2016-05-07 1 5252
1411 민족시인- 김남주를 알아보기 2016-05-07 0 5758
1410 [한밤중 詩 읊다]- 우리 엄니 2016-05-07 0 5032
1409 눈(안眼)인가 눈(설雪)인가... 2016-05-07 0 4658
1408 {이것도 詩라고 하는데...} 5월이 시작되다... 2016-05-07 0 4490
1407 詩人은 언어의 마술사이다... 2016-05-06 0 4372
1406 詩人은 현대의 돈키호테이다... 2016-05-06 0 4795
1405 詩人은 쉽게 잠들지 못한다... 2016-05-06 0 7010
1404 詩人은 골목길을 좋아한다... 2016-05-06 0 5816
‹처음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