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 안녕?- 따끈따끈한 아침 詩 한잔]- 풍경
2016년 03월 14일 08시 07분  조회:3979  추천:0  작성자: 죽림

달력에 기억하고 싶은 생일을 써넣는 일로 한 해를 시작해요. 멀어진 사람, 몇 백 년 전 사람의 생일도 있어요.

양력이면 요일이 새삼스럽고 음력이면 날짜가 새삼스럽죠. 생일을 써넣어야 한 해의 달력이 도착했다는 느낌이 들어요.

뭐 생일이 별 거라고, 엄마가 잘하는 말이에요. 특히 본인 생일을 그리 말합니다. 그러면서 자식들 생일은 일찌감치부터 챙깁니다. 엄마 말대로 생일이 뭐 별 거라고…. 별 거는 아닌데 반짝반짝, 따끔따끔 마음이 생겨나는 날입니다. 당사자보다 축하해주는 사람이 환해지는 날이니, 생일인 사람이 자신의 생일을 선물해주는 날인지도 모르겠어요.

누구나 한 번 가는 길을 내가 어슬렁어슬렁 갈 수 있는 것은 싱그러운 거목 때문입니다. 멀리 가도 거목이 함께 있다는 것을 느낍니다. 언덕은 아름답습니다. 나도 환합니다. 천천히와 어슬렁은 잘 어울립니다. 거목들은 처음 생겨난 곳, 연한 그곳을 잊지 않습니다. 거목이 고목이 되지 않는 비결이기도 하겠지요.

세상에 나오지 않은 악기를 가진 아이와 손쥐고 가는 것은 누구일까요? 나일까요? 거목일까요? 언덕일까요? 아이 자신일까요? 어쩌면 거목과 나와 아이와 언덕은 서로가 있어 점점 더 길어지는 손을 갖게 되는 것은 아닐까요? 말개질 때까지 씻긴 언어라서 김종삼 시를 청교도적이라고 하지요. 김종삼 시는 말을 덧붙이기 어려워요. 다만 너무 조용하죠. 생일처럼요.

생일이라는 풍경. 들리지 않는 악기 소리를 듣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세상에 나오지 않은 아이를 만나러 온 사람들이 있습니다. 길이 만들어집니다. 모두가 숨죽였을 때 울음소리가 들려왔습니다. 다행이에요. 일 년에 한 번씩 생일이 돌아와서요. 당신의 처음 시간에 닿아볼 수 있어서요. 되돌아오는 시간이 점점 길어져도 괜찮아요. 당신이 있잖아요.

생일의 풍경. 어둠 속에서 케이크에 켜진 촛불을 막 끄려는 순간처럼 ‘너무 조용’해도 괜찮아요. 오늘은 당신의 생일입니다.

/ 이원 시인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23 詩작법 휘호호.. 2016-01-09 0 4168
922 詩작법 둥기당... 2016-01-09 0 5592
921 詩작법 닐리리... 2016-01-09 0 4812
920 詩작법 옹헤야... 2016-01-09 0 4337
919 詩작법 지화쟈... 2016-01-09 0 3727
918 詩작법 절씨구... 2016-01-09 0 3957
917 詩작법 얼씨구... 2016-01-09 0 4255
916 詩작법 찌찌찌... 2016-01-09 0 5080
915 좋은 詩를 쓰는 비법 2016-01-09 0 4292
914 詩는 언어에 옷을 입히는 행위 2016-01-09 0 4230
913 詩습작자들을 위한 提言 2016-01-09 0 3987
912 詩공부하지 않고서는 말할것 없다... 2016-01-09 1 4513
911 詩쓰기 그리기... 2016-01-09 0 3816
910 ...해답일뿐, 정답은 아닙니다... 2016-01-09 0 4167
909 詩작법 구구구... 2016-01-09 0 3724
908 詩人되기 힘들다, 詩쓰기는 더더욱 힘들다... 2016-01-09 0 4259
907 詩작법에서 詩를 많이 읽어라 2016-01-09 0 3891
906 만약 詩 한줄이라도 에너지가 있다면... 2016-01-09 0 3325
905 詩에 뭐라고 제목을 붙일가... 2016-01-09 0 4099
904 그러나, 누구나 좋은 詩를 쓰는것은 아니다... 2016-01-09 1 4257
903 현대詩史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다... 2016-01-09 0 4575
902 詩는 몇개의 징검돌로 건너가는 것... 2016-01-09 0 3867
901 詩에서 어떻게 표현할것인가 2016-01-09 0 4331
900 詩에서 새로운 화제 찾기 2016-01-09 0 3997
899 詩에서 어떤 어법으로 말할가 2016-01-09 0 3967
898 詩의 서정적줄거리 만들기 2016-01-09 0 4794
897 자아,- 씁시다... 詩자악!... 2016-01-09 0 4835
896 詩의 정의는 없다... 2016-01-09 0 4745
895 詩는 여러 문학쟝르 中 가장 핵심 쟝르 2016-01-09 0 4223
894 詩짓기에서 수사법 2016-01-09 0 4535
893 詩의 술잔속에는 바다가 출렁출렁... 2016-01-09 0 4427
892 우리 모두 詩와 함께 웃어 버립시다... 2016-01-09 0 3917
891 그녀만은 없었습니다... 2016-01-09 0 4115
890 아름다움이란 모든 것 몫, 몫, 몫... 2016-01-09 0 3915
889 뭇 벗님들의 하늘이 늘 함께 푸르기만을... 2016-01-09 0 4028
888 詩의 旅行을 떠나며... 2016-01-09 0 4059
887 詩적 발견, 그 새로운 눈 2016-01-09 0 4371
886 詩는 묘사로 시작해서 진술로 끝나다... 2016-01-09 0 4575
885 詩야,- 너 어디서 오느냐... 2016-01-08 0 5049
884 詩人을 만드는 9가지 비망록 2016-01-08 0 4869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