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作初心 - 시는 두겹으로 그림을 그려라
2016년 03월 09일 01시 23분  조회:5742  추천:0  작성자: 죽림
시를 쉽게 쓰는 요령 - 김영남


5. 시를 쉽게 잘 쓰려면 2중 구조에 눈을 떠라.


* 이중구조란 글자 그대로 두 가지 그림을 거느리는 구조를 말합니다.


예를 들자면 현실의 나와 의식 속의 나, 현재의 나와 과거ㆍ미래ㆍ 또는 추억 속의 나, 현실의 나와 거울 속의 나, 현실의 나와 그림 속의 나…등 이런 관계를 말합니다. 이런 관계의 시를 가장 선명하게 제일먼저 제시한 시인이 바로 <이상> 시인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이상 시인은 주로 거울을 매개체로 해서 현실의 나와 의식 속의 나를 잘 조응했었습니다. 사실 이중구조 이치만 잘 이해하고 소화한 사람이면 이런 유형의 시가 쓰기도 쉽고 참 재미있다라는 걸 금세 느낄 수 있을 겁니다.


남들은 난해하고 쓰기 어렵다고 하는데... 그 로직은 의외로 쉽지 않나 생각합니다. 현실의 나와 거울 속의 나와 대화를 계속 나누면서 온갖 장난과 행동을 다 해보는 겁니다.
"현실의 나와 거울 속의 나"로 예를 들면 < 내가 눈빛을 시퍼렇게 뽑으니까/ 거울 속의 녀석도 눈빛을 시퍼렇게 뽑는다./ 내가 쫓아가니까 그 녀석은 도망간다. 화장실로 숨는다/ 내가 다시 돌아서니깐 녀석은 다시 기어 나온다……>
이런 식으로 이야기와 행동을 이 둘에만 초점을 맞추어 전개해 나가면 시적 공간이 나와 거울 속의 나로 한정되기 때문에 그 이미지가 아주 선명하게 되고 이야기도 풀어나가기가 한결 쉽게 됩니다. 제 시집 '정동진역'에 실려있는 <도둑놈을 잡자>라는 시도 참고로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상상의 시작도 이런 데에서부터 시작하고, 고정관념을 벗어나 사고의 자유로움을 쉽게 느낄 수 있는 것도 바로 이런 데에부터 시작하지 않나 싶습니다. 기본적으로 이런 마인드를 갖고 이상, 김기림, 김수영, 오규원 등 이런 시인들의 시를 한번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시가 참 재미있다는 걸 금세 느낄 수 있을 겁니다.



* 소재의 이중구조


위에서 예를 든 이중구조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소재의 이중구조라는 것이 있는데 이걸 한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즉 어떤 오브제를 갖다놓고 그 소재와 나와의 관계 둘로 보고 시를 써 나가는 것입니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이때 시를 끌어내는 방식이 세 가지가 있지 않나 싶습니다.


첫째는 내가 아예 그 소재가 되어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고,
둘째는 거꾸로 그 소재가 나로 되어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고,
셋째는 그 소재와 내가 서로 마주보고서 떨어져 앉아 대화를 나누며 생각하는 방법입니다


<깡통>이라는 소재를 가지고 예를 한번 들어볼까요?


* 첫 번째 방법은 이렇습니다.
< 나는 엉덩이에 찌그러진 상호를 붙였지만/ 발로 차면 크게 소리를 지른다/ 밟으면 시커먼 침을 뱉을 수도 있고/ 잘 돌봐주면 난 그대 책상을 꾸미는 꽃병이 될 수도…>
이런 식으로 내가 깡통이 되어 깡통의 속성을 가지고 계속 생각하고 행동한 다음에 제목을 <깡통>으로 붙이는 경우입니다.
이때 유의할 점은 본문 내용에 절대 '깡통'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안 됩니다. '깡통'이란 말이 들어가면 깡통이란 단어를 보는 순간 내가 깡통이라는 환상이 갑자기 확 깨져버립니다. 이것만 잘 소화해도 현상문예 예선을 거뜬히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시가 감각적이 되지 않나 싶습니다.


*두 번째 방법은 거꾸로 깡통이 내가 되어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입니다.
< 이 깡통은 목소리가 크고/ 속에 든 것은 아무 것도 없고/ 하루종일 거리에서 빈둥거리며 놀고/ …그리하여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깡통/ 가끔 앞집 아저씨의 발에 채여/ 아프다고 소리치는 깡통……>
이렇게 깡통이 내가 되어 생각하고 행동한 다음에 제목을 <김영남>으로 붙이는 경우입니다. 이때는 또 반대로 '나의' 라는 말이나 '나'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절대 안 됩니다. 마찬가지로 이런 단어를 보는 순간 환상이 확 깨져버립니다.


* 세 번째 방법은 지면상 설명이 좀 길어질 것 같아 다음 기회로 미루고 첫 번째 방법에 충실한 시 한편을 소개하고 게시판 시 감상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첫 번째 방법만 잘 활용해도 눈에 확 나는 좋은 시를 금세 쓸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수박/ 윤문자


나는 성질이
둥글둥글하다는 소리를 자주 듣는다
허리가 없는 나는 그래도
줄무늬 비단 옷만 골라 입는다
마음속은 언제나 뜨겁고
붉은 속살은 달콤하지만
책임져 주지 않는 사람에게는
절대로 배꼽을 보여주지 않는다
목말라 하는 사람을 보면
가슴이 아파 견딜 수가 없다
겉모양하고는 다르게
관능적이다
나를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면
오장육부를 다 빼 주고도
살 속에 뼛속에 묻어 두었던
보석까지 내 놓는다
=============================================================================

290. 새벽편지 / 정호승












새벽편지

정 호 승

죽음보다 괴로운 것은
그리움이었다

사랑도 운명이라고
용기도 운명이라고

홀로 남아 있는
용기가 있어야 한다고

오늘도 내 가엾은 발자국 소리는
네 창가에 머물다 돌아가고

별들도 강물 위에
몸을 던졌다


정호승 시집 <새벽편지> 중에서
-----------------------------------------------------------------

291. 눈부처 / 정호승






눈부처

정 호 승

내 그대 그리운 눈부처* 되리
그대 눈동자 푸른 하늘가
잎새들 지고 산새들 잠든
그대 눈동자 들길 밖으로
내 그대 일평생 눈부처 되리
그대는 이 세상
그 누구도 곁에도 있지 못하고
오늘도 마음의 길을 걸으며 슬퍼하노니
그대 눈동자 어두운 골목
바람이 불고 저녁별 뜰 때
내 그대 일평생 눈부처 되리

* 눈부처 : 눈동자에 비치어 나타난 사람의 형상, 瞳人.

정호승 시집 <새벽편지> 중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83 중국 당나라 문사 - 류우석 2017-04-21 0 3690
2082 중국 당나라 시인 - 맹호연 2017-04-20 0 5059
2081 세계를 매혹시킨 불멸의 시인들 2017-04-20 0 3570
2080 아프리카 세네갈 시인 - 디오프 2017-04-20 0 3815
2079 독일 랑만주의 서정시인 - 아이헨도르프 2017-04-20 0 4698
2078 프랑스 시인 - 폴 클로델 2017-04-19 0 5569
2077 "당나귀 시인"을 사랑했던 시인들 2017-04-19 0 3427
2076 프랑스 시인 - 프랑시스 잠 2017-04-19 0 4404
2075 독일 시인 - 횔덜린 2017-04-19 0 6337
2074 헝가리 시인 - 브로샤이 2017-04-18 0 3932
2073 프랑스 시인 - 자끄 프레베르 2017-04-18 0 4179
2072 프랑스 초현실주의 시인 - 루이 아라공 2017-04-18 0 5401
2071 프랑스 시인 - 레미 드 구르몽 2017-04-18 0 5299
2070 영국 계관시인 - 테니슨 2017-04-18 0 4251
2069 프랑스 시인 - 로베르 데스노스 2017-04-11 0 4503
2068 프랑스 시인 - 브로샤이 2017-04-11 0 3935
2067 프랑스 시인 - 자크 프레베르 2017-04-11 0 5510
2066 윤동주가 사랑했던 시인들 2017-04-10 0 3820
2065 "내 귀는 소라껍질/ 바다소리를 그리워하네"... 2017-04-10 0 5273
2064 프랑스 시인 - 장 콕토 2017-04-10 0 5788
2063 프랑스 시인 - 생 종(존) 페르스 2017-04-10 0 4225
2062 미국 시인 가수 밥 딜런는 누구인가... 2017-04-03 0 4775
2061 노벨문학상 타고 침묵으로 일관하다... 2017-04-03 0 3552
2060 스페인 시인 - 히메네스 2017-04-02 0 3841
2059 스페인 시인 - 미겔 에르난데스 2017-04-02 0 4246
2058 동요 "반달"의 작곡가와 그리고 룡정 2017-04-02 0 3649
2057 영국 계관시인 - 벤 존슨 2017-03-30 0 3443
2056 영국 형이상학파 시인 - 존.던 2017-03-30 0 5810
2055 80세, 공부와 시쓰기가 인생 끝자락의 제일 큰 행복이라고... 2017-03-23 0 3346
2054 77세에 등단, 80세에 詩集 출간... 2017-03-20 0 3619
2053 80세에 첫 詩集... 2017-03-20 0 3574
2052 윤동주의 시는 이 땅의 모든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고있다... 2017-03-18 0 3622
2051 정병욱 큰 보람= "윤동주의 시를 간직했다가 세상에 알린 일" 2017-03-18 0 4647
2050 [고향문단소식]- 화룡 출신 최룡관시백 "하이퍼시창작론" 출간 2017-03-17 0 3276
2049 일본 민주주의 녀류시인 - 이바라키 노리코 2017-03-12 0 4584
2048 천재시인 李箱의 시작품 뮤지컬로 재탄생하다... 2017-03-04 0 3222
2047 프랑스 시인 - 페기 2017-03-01 0 4789
2046 일본 시인 - 혼다 히사시 2017-02-23 0 3854
2045 남아메리카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자 칠레 녀류시인 -미스트랄 2017-02-22 0 5681
2044 페루 시인 - 바예호 2017-02-22 0 4146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