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作初心 - 시는 20행이하로...
2016년 03월 09일 01시 20분  조회:7039  추천:1  작성자: 죽림
시를 쉽게 쓰는 요령 - 김영남

4. 시의 길이는 20행 정도가 적당하다


초보자 시절에 시의 퇴고와 관련하여 자주 고민하는 것이 연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 시의 길이는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입니다. 여기에는 내용에 따라 전개하는 형식에 따라 각각 다르겠지만 행갈이를 정상적으로 한다고 할 때 시의 길이는 대체적으로 20행 정도를 목표로 하고, 시의 연은 의미가 달라지는 부분에서 연을 구분하는 게 가장 바람직하지 않나 싶습니
다.


우리가 시를 읽을 때 통상적으로 20행이 넘어 시가 길어지면 우선 시각적으로도 질리게 되고,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그 시를 읽고 싶은 마음이 싹 달아나게 됩니다. 시가 길어질 땐 길어지는 특별한 사유가 있어야 합니다. 우선 그 시가 아주 재미있다든지, 아니면 호흡이 길어도 독자들이 지루함을 못 느끼도록 하는 특별한 기교와 내용이 있든지 해야 합니다. 이젠 독자들도 영악해서 별로 의미 없고 특별한 내용도 없으면서 작자만의 생각으로 길게 쓴 시는 두 번 다시 읽지 않는다는 걸 알아야 합니다.


시가 문학의 어느 분야보다도 언어의 함축성과 경제성을 추구하는 예술이라는 걸 생각하면 금세 이해가 가리라 여깁니다. 그러나 요즘 시 잡지에 발표되는 시들을 보면 필자가 말하는 내용과 너무나 다르다는 걸 느낄 겁니다. 좋은 시란 적당한 길이에 음악성과 함축성을 겸비하고 이미지가 선명한 시가 좋은 시입니다. 하여, 초보자 시절에는 상상은 끝없이 해놓고 나중에 작품을 다듬어 퇴고할 때 이 정도의 길이로 지향하는 게 바람직할 겁니다.


연을 나눌 때에는 대체적으로 의미가 달라질 때 나누게 됩니다. 그러니까 상상의 내용이 건너 뛸 때. 변칙도 있습니다만 초보자 시절에는 여하튼 기본에 충실하는 게 발전이 빠릅니다. 그리고 1, 2, 3 등으로 구분하는 것은 내용이 거의 연작시 수준이거나, 연을 구분하기에는 보폭이 너무 클 때 통상 사용하는 것으로 초보자 시절에는 가능한 한 사용하지 않는 게 바람직합니다.
 
=======================================================================================

288. 이별노래 / 정호승

















이별노래

정 호 승

떠나는 그대
조그만 더 늦게 떠나준다면
그대 떠난 뒤에도 내 그대를
사랑하기에 아직 늦지 않으리

그대 떠나는 곳
내 먼저 떠나가서
나는 그대 뒷모습에 깔리는
노을이 되리니

옷깃을 여미고 어둠 속에서
사람의 집들이 어두워지면
내 그대 위해 노래하는
별이 되리니

떠나는 그대
조금만 더 늦게 떠나준다면
그대 떠난 뒤에도 내 그대를
사랑하기에 아직 늦지 않으리


정호승 시집 <서울의 예수> 중에서






이별노래

작시 : 정호승
작곡 : 최종혁
노래 : 이동원
떠나는 그대
조금만 더 늦게 떠나준다면
그대 떠난 뒤에도 내 그대를
사랑하기에 아직 늦지 않으리.

그대 떠나는 곳
내 먼저 떠나가서
나는, 그대 뒷 모습에 깔리는
노을이 되리니.

옷깃을 여미고 어둠 속에서
사람의 집들이 어두워지면
내, 그대 위해 노래하는
별이 되리니.

떠나는 그대
조금만 더 늦게 떠나준다면
그대 떠난 뒤에도 내 그대를
사랑하기에 아직 늦지 않으리






--------------------------------------------------------------------------

289. 우리가 어느 별에서 / 정호승











우리가 어느 별에서

정 호 승

우리가 어느 별에서 만났기에
이토록 서로 그리워하느냐
우리가 어느 별에서 그리워하였기에
이토록 서로 사랑하고 있느냐

사랑이 가난한 사람들이
등불을 들고 거리에 나가
풀은 시들고 꽃은 지는데

우리가 어느 별에서 헤어졌기에
이토록 서로 별빛마다 빛나느냐
우리가 어느 별에서 잠들었기에
이토록 새벽을 흔들어 깨우느냐

해 뜨기 전에
가장 추워하는 그대를 위하여
저문 바닷가에 홀로
사람의 모닥불을 피우는 그대를 위하여

나는 오늘밤 어느 별에서
떠나기 위하여 머물고 있느냐
어느 별의 새벽길을 걷기 위하여
마음의 칼날 아래 떨고 있느냐


정호승 시집 <서울의 예수> 중에서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243 중국조선족시인 정몽호 篇 2024-08-29 0 646
2242 중국조선족시인 황장석 篇 2024-08-29 0 608
2241 중국조선족시인 김태갑 篇 2024-08-29 0 631
2240 중국조선족시인 김동호 篇 2024-08-29 0 484
2239 중국조선족시인 홍군식 篇 2024-08-29 0 439
2238 중국조선족시인 김춘산 篇 2024-08-29 0 467
2237 중국조선족시인 전광훈 篇 2024-08-29 0 693
2236 중국조선족시인 김진룡 篇 2024-08-29 0 611
2235 중국조선족시인 허룡구 篇 2024-08-29 0 521
2234 중국조선족시인 전춘매 篇 2024-08-29 0 561
2233 중국조선족시인 박설매 篇 2024-08-29 0 583
2232 중국조선족시인 박화 篇 2024-08-29 0 436
2231 중국조선족시인 설인 篇 2024-08-29 0 455
2230 중국조선족시인 리욱 篇 2024-08-29 0 400
2229 중국조선족시인 한영남 篇 2024-08-29 0 426
2228 중국조선족시인 심명주 篇 2024-08-29 0 540
2227 중국조선족시인 전병칠 篇 2024-08-29 0 497
2226 중국조선족시인 박문파 篇 2024-08-29 0 597
2225 중국조선족시인 김인덕 篇 2024-08-29 0 519
2224 중국조선족시인 송미자 篇 2024-08-29 0 548
2223 중국조선족시인 리순옥 篇 2024-08-29 0 463
2222 중국조선족시인 리춘렬 篇 2024-08-29 0 587
2221 중국조선족시인 김현순 篇 2024-08-29 0 648
2220 중국조선족시인 리임원 篇 2024-08-29 0 343
2219 중국조선족시인 리성비 篇 2024-08-29 0 575
2218 중국조선족시인 주성화 篇 2024-08-29 0 527
2217 중국조선족시인 주룡 篇 2024-08-29 0 506
2216 중국조선족시인 전경업 篇 2024-08-29 0 486
2215 중국조선족시인 리상학 篇 2024-08-29 0 503
2214 중국조선족시인 리호원 篇 2024-08-29 0 649
2213 중국조선족시인 허흥식 篇 2024-08-29 0 542
2212 중국조선족시인 김문회 篇 2024-08-29 0 699
2211 중국조선족시인 리근영 篇 2024-08-29 0 465
2210 중국조선족시인 현규동 篇 2024-08-29 0 512
2209 중국조선족시인 김준 篇 2024-08-29 0 451
2208 중국조선족시인 김영능 篇 2024-08-29 0 575
2207 중국조선족시인 김동진 篇 2024-08-29 0 624
2206 중국조선족시인 김응준 篇 2024-08-29 0 504
2205 중국조선족 우화시인 허두남 篇 2024-08-29 0 711
2204 중국조선족시인 박문희 篇 2024-08-29 0 743
‹처음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