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침묵할 때는 침묵하라...
2016년 03월 07일 22시 45분  조회:4873  추천:0  작성자: 죽림
   
 
 
   
 

침묵의 기술/
조제프 앙투안 투생 디누아르 지음/

말 참 많이 하는 시대다. TV를 틀어보자. 예능프로그램만 봐도 그렇다. 연애 예능, 육아 예능, 먹방 예능 등 예능 종류가 참 다양한 시대가 됐지만, 그 공통된 바탕은 ‘썰’(말씀을 뜻하는 한자어 說(설)에서 변화한 단어로 ‘이야기’라는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니까 말의 유희다.

청춘 남녀는 사랑을 표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말해야 하고, 부모가 아이에게 밥을 먹이고 놀아주고 목욕을 시켜줄 때 역시 끊임없이 말해야 하며, 음식을 먹으며 입 속 음식물을 부지런히 씹어 목구멍으로 넘기는 중에도 끊임없이 말해야 한다. 아예 가만히 앉아 말로만 채우는 토크쇼 형식 예능도 큰 인기를 얻고 있다. 뉴스에서도 전문가 여러 명을 앉혀 놓고 말로 논쟁을 붙이는 코너를 시도 때도 없이 내보내고 있다.

그 바탕에는 ‘말 권하는 사회’가 된 시대 분위기가 있지 않을까. 언제부터인가 ‘소통’은 진리인양 맹목적으로 떠받들려지고 있다. 무슨 일이든 일단 말을 걸고 또 말을 시켜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말 잘하는 사람이, 그래서 말을 잘 이끌어내는 사람이 곧 소통 잘하는 사람으로 각광 받는 것도 마찬가지 맥락에 있다. 소통 유행처럼 불고 있는 ‘공유’ 유행도 비슷한 현상을 만들고 있다. 내가 지닌 말과 글을 남에게 끊임없이 드러내 보여줘야 사회에 이익이 된다는 믿음이 우리를 떠버리, 설명충으로 만들고 있다.

그러나 분명 어떤 이들은 소통해야 한다는 강박에 괴로워한다. 주고받는 말이 넘치다 보니 온갖 설화(舌禍)와 필화(筆禍)도 터져 나온다. 그러면서 말은 오고 갔는데 결국 소통은 안 되는 ‘불통’이 소통 만능 시대의 그림자로 번지고 있다.

18세기 프랑스에 살았던 조제프 앙투안 투생 디누아르 신부는 이럴 줄 알았나 보다. 200여 년 전인 1771년 이 책 ‘침묵의 기술’을 펴내며 침묵을 강조하는 목소리를 냈다. 침묵을 실용주의적으로 해석하고 침묵을 하나의 수사학으로 끌어올려 평가한다.

다음은 저자가 제시하는 14가지 침묵의 원칙이다.

1. 침묵보다 나은 할 말이 있을 때에만 입을 연다.

2. 말을 해야 할 때가 있듯이 입을 다물어야 할 때가 따로 있다.

3. 입을 닫는 법을 먼저 배우지 않고서는 결코 말을 잘할 수 없다.

4. 말을 해야 할 때 입을 닫는 것은 나약하기 때문이다. 입을 닫아야 할 때 말을 하는 것은 경솔하고도 무례하기 때문이다.

5. 말을 하는 것보다 입을 닫는 것이 덜 위험하다.

6. 사람은 침묵 속에 거함으로써 스스로를 가장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침묵을 벗어나는 순간 자기 자신보다 남에게 의존하는 존재가 되고 만다.

7. 중요한 말일수록 후회할 가능성은 없는지 다시 한 번 되뇌어 보아야 한다.

8. 지켜야 할 비밀이 있을 때에는 아무리 입을 닫고 있어도 지나치지 않다.

9. 아는 것을 말하기보다는 모르는 것에 대해 입을 닫을 줄 아는 것이 더 큰 장점이다.

10. 침묵은 편협한 사람에게는 지혜를, 무지한 사람에게는 능력을 대신하기도 한다.

11. 말을 많이 하고픈 욕구에 휘둘려 정신 나간 사람으로 취급받느니, 침묵 속에 머물러 별 재주 없는 사람으로 보이는 편이 낫다.

12. 용감한 사람의 본성은 과묵함과 행동에 있다. 양식 있는 사람은 항상 말을 적게 하되 상식을 갖춘 발언을 한다.

13. 무언가를 말하고픈 욕구에 걷잡을 수 없이 시달리고 있다면, 그것만으로도 결코 입을 열지 말아야겠다고 결심할 만한 충분한 이유가 된다.

14. 침묵이 필요하다고 해서 진솔함을 포기하라는 뜻은 아니다. 어떤 생각들을 표출하지 않을지언정 그 무엇도 가장해서는 안 된다.

첫 번째 원칙 ‘침묵보다 나은 할 말이 있을 때에만 입을 연다’ 는 모든 원칙의 기본이다. 입을 열었다면 무조건 본전 이상은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손해 볼 말을 왜 한단 말인가. 꽤 상식적이다.

세 번째 원칙 ‘입을 닫는 법을 먼저 배우지 않고서는 결코 말을 잘할 수 없다’ 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말하는 것보다 듣는 것이 중요하다’ 의 실천적 지침으로 삼을 만하다.

열한 번째 원칙 ‘말을 많이 하고픈 욕구에 휘둘려 정신 나간 사람으로 취급받느니, 침묵 속에 머물러 별 재주 없는 사람으로 보이는 편이 낫다’ 의 앞 문장은 정신병리학적 탐구 대상이 된 요즘 SNS의 글 도배 현상을 떠올리게 만들며 시대를 앞선 예견으로 읽힌다.

열네 번째 원칙 '침묵이 필요하다고 해서 진솔함을 포기하라는 뜻은 아니다. 어떤 생각들을 표출하지 않을지언정 그 무엇도 가장해서는 안 된다'는 그럼에도 할 말은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소통이 만능은 아니듯이, 침묵도 만능은 아니다. 지혜가 필요한 부분이다.

저자는 침묵을 절제의 언어로 본다. 비어있는 숫자 '0'의 발견과 비슷한 맥락에서 저자는 침묵도 하나의 말로 인정했다고 봐도 되겠다. 숫자에 합류한 0은 수 계산을 대단히 실용적으로 만들었다. 침묵도 그런 도구라고 보면 되겠다. 저자는 “침묵은 방종과 타락이 만연한 정신에 추천할 만한 처세술”이라고 강조한다.

저자는 아무래도 신부인 만큼 책 곳곳에서 종교적 말하기의 방법을 취한다. 그런데 당시 사회는 정치와 종교가 긴밀히 얽혀 있었으니 그럴 만도 했다. 저자는 종교 자체에 대해 얘기하는 게 아니라 예제로 삼거나 비유할 소재로 종교를 언급하는 것이다. 그래서 책 속 종교의 개념은 전통적 가치와 사회질서를 가리키는 것으로 치환해 이해하는 고전 읽기의 묘가 살짝 필요하다. 240쪽,



 

[ 2016년 03월 08일 08시 17분 ]
 

 

 

[ 2016년 03월 08일 08시 17분 ]

 

 

 

 

[ 2016년 03월 04일 08시 14분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37 [쉼터]- 뿌리를 찾아 알아보기 2016-06-05 0 5088
436 수염 기르기와 수염 깎기와 그리고 그와의 전쟁... 2016-06-05 0 5550
435 {자료}- 늦어진 출판속보 = 연변 조선말 책 점역되기는 처음 2016-06-04 0 6690
434 [록색평화문학주의 者]- 잡초, ... 2016-06-02 0 5111
433 국제아동절의 유래 2016-06-01 0 5136
432 상징과 십자 2016-05-29 0 8134
431 {땡!~ 쉬여가는 페에지} = 본인이 태여난 해의 년도이름 2016-05-29 0 4618
430 오늘, 재다시 술 18단을 올리며... 2016-05-23 0 4611
429 잠을 자는것은 시간 랑비 옳다? 아니다!... 2016-05-22 0 4916
428 커피의 비밀 2016-05-22 0 5826
427 [아껴야 할 지구는 하나]- 꿀벌의 죽음 2016-05-22 0 5134
426 어린이는 미래를 위한 어린이 2016-05-22 0 5259
425 좋은 일뒤에는 魔(마)가 낀다... 2016-05-21 0 6117
424 [과학시대 쏠쏠]- 해몽 2016-05-21 0 5451
423 [건강생활 쏠쏠]- 감기 백신 만들수 없다... 2016-05-21 0 6315
422 문학상의 이름값은???... 2016-05-18 0 5065
421 재미있는 동물들의 새끼 이름 2016-05-08 0 5917
420 민족시인 심연수 육필원고원본 강릉으로... 2016-04-27 0 5449
419 중국조선족 원로 시인 리상각 시선집 출간 2016-04-27 0 4788
418 [록색평화문학주의자]- 대마초흡연을 합법화 하다니... 2016-04-22 0 5091
417 [록색평화문학주의자]- 석탄시대의 종말 2016-04-22 0 5114
416 [록색평화문학주의자]- 자연을 아끼고 아끼고 또 아끼자 2016-04-22 0 6444
415 [록색평화주의자]- 기후변화로 사라질 위기에 처한 음식들 2016-04-22 0 5010
414 [록색평화주의자]- 자연파괴하면서 촬영하는 무법 사진가들 2016-04-21 0 5936
413 땡!~ 인생명언 모음 2016-04-15 0 7347
412 문인등단의 道 2016-04-13 0 5362
411 詩作할 때 상징적 시어를 잘 찾아 쓰기 2016-04-12 0 5767
410 땡!~ 세계유산 등재 경쟁보다 잘 보존하는 경쟁을... 2016-04-12 0 6270
409 땡!~ 국어시간;- 틀리는 우리 말 고치기 2 2016-04-11 0 5443
408 땡!~ 국어공부시간;- 틀리는 우리 말 고치기 2016-04-11 0 5732
407 땡!~ 미래의 식량 - 곤충시대 2016-04-09 0 4926
406 땡!~ 따끈따끈한 소식 한그릇- "동주" 영화감독 2016-04-09 0 6153
405 땡!~ 당신은 무엇하는 사람이기에 외국산 커피 마시능기여... 2016-04-07 0 5918
404 땡!~재미있는 화폐문화- 멕시코 화페 2016-04-07 0 7404
403 땡!~ 한글은 위대한 문자 2016-04-06 0 5165
402 땡!~ 옷장에서 과거를 버려라... 2016-04-06 0 5252
401 [竹琳록색평화주의자]- 바다쓰레기와의 전쟁 2016-04-06 0 5233
400 [竹琳록색평화주의자]- 쓰레기와의 전쟁 2016-04-06 0 5014
399 11월 1일 "詩의 날" 세계시인대회 맞이하기 2016-04-06 0 6125
398 땡!~ 문인들끼리 출판사 차리다...우리도 인젠 뭉칠 때... 2016-04-05 0 5389
‹처음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