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나는 단어를 찾는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
2016년 03월 07일 22시 33분  조회:3819  추천:0  작성자: 죽림

노벨문학상 수상 소감 연설에서 비스와바 쉼보르스카는 이렇게 말했다.

“단어 하나하나가 모두 의미를 갖는 시어의 세계에서는
그 어느 것 하나도 평범하거나 일상적이지 않습니다.
그 어떤 바위도, 그리고 그 위를 유유히 흘러가는 그 어떤 구름도. 그 어떤 날도.
그리고 그 뒤에 찾아오는 그 어떤 밤도.
아니 그 누구의 것도 아닌 이 세상의 모든 존재도.
이것이야말로 시인들은 언제 어디서든 할 일이 많다는,
그런 의미가 아닐는지요.”

나는 단어를 찾는다.
비스와바 쉼보르스카(1923~2012),
그를 한마디로 표현할 단어를 찾는다.
어느 것도 충분하지 못하다.
가장 요긴한 말은 쓸데없고,
가장 뜨거운 말은 너무 미지근하다.

1945년 ‘나는 단어를 찾는다’로 데뷔한 폴란드 시인은 그 시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가장 용감한 말은 비겁하고/
가장 경멸적인 말은 여전히 성스럽다/
가장 잔인한 말은 너무나 동정적이고/
가장 적대적인 말은 너무나 약하다//
그 말은 화산 같아야 한다/
격동하고, 솟구치고, 힘차게 쏟아져 내려야 한다”.

노벨문학상(1996년) 수상 때 “모차르트의 음악같이 잘 다듬어진 구조에, 베토벤의 음악처럼 냉철한 사유 속에서 뜨겁게 폭발하는 그 무엇을 겸비했다”(스웨덴 한림원 노벨문학상 수상자 발표 연설문 중)는 찬사를 받자 “진정한 시인이라면 ‘나는 모르겠어’를 되풀이해야 한다”고 되뇌었던 시인의 유고시집 ‘충분하다’가 번역 출간됐다. 한국어판에는 생전 펴낸 마지막 시집 ‘여기’에 실린 시가 더해졌다.

쉼보르스카가 눈을 감기 전 완성한 시는 13편이다. 고민과 첨삭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미완성 시 원고가 또 6편 있었다. 이를 합치고 동료이자 편집자인 리샤르드 크리니츠키의 편집후기를 붙인 ‘충분하다’가 나오자 폴란드 언론들은 ‘유고시집’ 대신 ‘신간시집’이라는 말로 그에게 애정을 표시했다.

‘충분하다’의 시어들은 초창기만큼이나 꾸밈없고 명징하다. 문장은 가볍고 투명한데도 묵직한 힘으로 존재의 본질을, 생의 이면을, 문명의 폐단을 떠올리게 한다.

“다른 곳은 어떤지 잘 모르겠어/
하지만 여기 지구에서는 모든 것이 꽤나 풍요로워/
여기서 사람들은 의자와 슬픔을 제조하지//
(…)여기서 무지(無知)는 과로로 뻗어버렸어.
끊임없이 뭔가를 계산하고, 비교하고, 측정하면서/
결론과 근본적 원리를 추출해내느라.”(‘여기’ 중)

일상을 읊다 불쑥 폭력, 전쟁 등의 테마를 눈 앞에 가져와 뇌를 식히는 문장도 여전하다. 1993년 ‘끝과 시작’이후 쉼보르스카가 이런 주제를 시 속에 언급한 일은 드물다고 한다. 그는 사슬에 묶인 채 무기력하게 누워 있는 개의 모습에서 인간을 향한 억압을, 거리에 남은 시위의 흔적을 보며 폴란드 사회의 현 주소를 본다.

“무더운 여름날, 개집, 그리고 사슬에 묶인 개 한 마리/
불과 몇 발자국 건너, 물이 가득 담긴 바가지가 놓여 있다/
하지만 사슬이 너무 짧아 도저히 닿질 못한다/
이 그림에 한 가지 항목을 덧붙여보자/
훨씬 더 길지만/
육안으로는 보기 힘든 우리의 사슬,
덕분에 우리는 자유롭게 서로를 지나칠 수 있다.”(‘사슬’전문)

‘두 번은 없다’며 유한성 앞에 겸허했던 그는 죽음 앞에서도 초연하고 담담하다.

“어쨌든 나는 돌아가야만 한다/
내 시의 유일한 자양분은 그리움/
그리워하려면 멀리 있어야 하므로” (미완성 원고 부분)
있는 힘을 다해 단어를, 문장을 갈구해 온 그가 택한 마지막 시어는 소소하지만 더할 나위 없이 충분했다.

김혜영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03 詩人은 풀잎같은 존재이다... 2016-10-01 0 4772
1602 詩는 늘 등뒤에서 울고지고... 2016-10-01 0 4762
1601 詩속에는 시작과 시간이 흐른다... 2016-10-01 0 4009
1600 詩는 피해자와 비피해자의 그림자 2016-10-01 0 4377
1599 詩는 "어떤 음계에서"의 암시투성이다... 2016-10-01 0 4826
1598 80년대이래 중국 詩歌 관련하여 2016-10-01 0 4230
1597 연변이 낳은 걸출한 서정시인 ㅡ 윤동주 2016-09-30 0 4650
1596 나는 사람이 아니고 개다... 2016-09-29 0 4359
1595 중국 조선족 시인 시묶음 2016-08-25 0 6145
1594 詩리론은 쉬운것, 아리송한것, 어려운것들의 따위... 2016-08-24 0 4860
1593 詩창작은 곧 "자기표현"이다... 2016-08-24 0 4783
1592 詩는 "어떤 음계에서"의 암시투성이다... 2016-08-22 0 4597
1591 詩적 장치속에 상징이라는 눔이 있다는것... 2016-08-22 0 4380
1590 詩는 <<그저 그런...>>것, 젠장칠,ㅡ ... 2016-08-22 0 4503
1589 정지용 시인과 향수 2016-08-18 0 4222
1588 詩作을 할때 위장술(아이러니)을 변덕스럽게 사용하라... 2016-08-18 0 4741
1587 詩作할때 <<...것들>>로 잘 장식하라... 2016-08-17 0 4678
1586 詩作을 할때 살아있는 은유를 포획하라... 2016-08-16 0 4869
1585 詩人은 새로운 언어를 창조하는 련금사... 2016-08-12 0 5246
1584 詩作을 할때 죽은 비유를 멀리하고 배척하라... 2016-08-11 0 4642
1583 詩作에서 어려운 리론은 잊어버리고 새로운 싹을 티우라... 2016-08-10 0 4925
1582 인습적인것들을 사용하면 좋은 詩가 될수 없다... 2016-08-09 0 5029
1581 좋은 詩들을 많이 읽고, 詩를 쓰고 싶은대로 쓰라... 2016-08-08 0 4600
1580 83세의 한국 아동문학가 - 신현득 童心에 살다... 2016-08-04 0 4544
1579 복습, 예습하는 詩공부하기... 2016-08-04 0 4502
1578 밤중에만 詩공부하는 눔이라구라... 2016-08-04 0 4418
1577 재다시 현대시 공부하기... 2016-08-04 0 4698
1576 다시 詩공부합니다... 2016-08-04 0 4231
1575 詩作하는데는 시험도 숙제도 없다... 2016-08-04 0 4361
1574 詩에서 작은 이미지 하나로 시전체분위기를 만들라... 2016-08-04 0 4492
1573 詩人은 이미지에게 일을 시킬줄 알아야... 2016-08-02 0 4179
1572 詩人의 상상력에 의해 그려진 언어의 그림 곧 이미지이다... 2016-08-01 0 4787
1571 詩는 말하는 그림, 그림은 말없는 詩... 2016-08-01 0 4396
1570 검정 망아지가 큰 검정 馬(말)인 韓春을 그리다... 2016-07-30 0 4194
1569 한국 현대시 100년을 빛낸 시집 5권 2016-07-29 1 5450
1568 한국문학 100년을 빛낸 기념비적 작품들 2016-07-29 0 4194
1567 한국 현대시 100년을 돌아보다... 2016-07-29 0 6338
1566 중국 현대시의 일단면/李陸史 2016-07-29 0 5045
1565 한국 시인 중국 기행 시모음/중국 현대시 개요 2016-07-29 0 5077
1564 詩의 생명이며 극치는 곧 이미지이다... 2016-07-29 0 3987
‹처음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