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나는 단어를 찾는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
2016년 03월 07일 22시 33분  조회:3824  추천:0  작성자: 죽림

노벨문학상 수상 소감 연설에서 비스와바 쉼보르스카는 이렇게 말했다.

“단어 하나하나가 모두 의미를 갖는 시어의 세계에서는
그 어느 것 하나도 평범하거나 일상적이지 않습니다.
그 어떤 바위도, 그리고 그 위를 유유히 흘러가는 그 어떤 구름도. 그 어떤 날도.
그리고 그 뒤에 찾아오는 그 어떤 밤도.
아니 그 누구의 것도 아닌 이 세상의 모든 존재도.
이것이야말로 시인들은 언제 어디서든 할 일이 많다는,
그런 의미가 아닐는지요.”

나는 단어를 찾는다.
비스와바 쉼보르스카(1923~2012),
그를 한마디로 표현할 단어를 찾는다.
어느 것도 충분하지 못하다.
가장 요긴한 말은 쓸데없고,
가장 뜨거운 말은 너무 미지근하다.

1945년 ‘나는 단어를 찾는다’로 데뷔한 폴란드 시인은 그 시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가장 용감한 말은 비겁하고/
가장 경멸적인 말은 여전히 성스럽다/
가장 잔인한 말은 너무나 동정적이고/
가장 적대적인 말은 너무나 약하다//
그 말은 화산 같아야 한다/
격동하고, 솟구치고, 힘차게 쏟아져 내려야 한다”.

노벨문학상(1996년) 수상 때 “모차르트의 음악같이 잘 다듬어진 구조에, 베토벤의 음악처럼 냉철한 사유 속에서 뜨겁게 폭발하는 그 무엇을 겸비했다”(스웨덴 한림원 노벨문학상 수상자 발표 연설문 중)는 찬사를 받자 “진정한 시인이라면 ‘나는 모르겠어’를 되풀이해야 한다”고 되뇌었던 시인의 유고시집 ‘충분하다’가 번역 출간됐다. 한국어판에는 생전 펴낸 마지막 시집 ‘여기’에 실린 시가 더해졌다.

쉼보르스카가 눈을 감기 전 완성한 시는 13편이다. 고민과 첨삭의 흔적이 고스란히 담긴 미완성 시 원고가 또 6편 있었다. 이를 합치고 동료이자 편집자인 리샤르드 크리니츠키의 편집후기를 붙인 ‘충분하다’가 나오자 폴란드 언론들은 ‘유고시집’ 대신 ‘신간시집’이라는 말로 그에게 애정을 표시했다.

‘충분하다’의 시어들은 초창기만큼이나 꾸밈없고 명징하다. 문장은 가볍고 투명한데도 묵직한 힘으로 존재의 본질을, 생의 이면을, 문명의 폐단을 떠올리게 한다.

“다른 곳은 어떤지 잘 모르겠어/
하지만 여기 지구에서는 모든 것이 꽤나 풍요로워/
여기서 사람들은 의자와 슬픔을 제조하지//
(…)여기서 무지(無知)는 과로로 뻗어버렸어.
끊임없이 뭔가를 계산하고, 비교하고, 측정하면서/
결론과 근본적 원리를 추출해내느라.”(‘여기’ 중)

일상을 읊다 불쑥 폭력, 전쟁 등의 테마를 눈 앞에 가져와 뇌를 식히는 문장도 여전하다. 1993년 ‘끝과 시작’이후 쉼보르스카가 이런 주제를 시 속에 언급한 일은 드물다고 한다. 그는 사슬에 묶인 채 무기력하게 누워 있는 개의 모습에서 인간을 향한 억압을, 거리에 남은 시위의 흔적을 보며 폴란드 사회의 현 주소를 본다.

“무더운 여름날, 개집, 그리고 사슬에 묶인 개 한 마리/
불과 몇 발자국 건너, 물이 가득 담긴 바가지가 놓여 있다/
하지만 사슬이 너무 짧아 도저히 닿질 못한다/
이 그림에 한 가지 항목을 덧붙여보자/
훨씬 더 길지만/
육안으로는 보기 힘든 우리의 사슬,
덕분에 우리는 자유롭게 서로를 지나칠 수 있다.”(‘사슬’전문)

‘두 번은 없다’며 유한성 앞에 겸허했던 그는 죽음 앞에서도 초연하고 담담하다.

“어쨌든 나는 돌아가야만 한다/
내 시의 유일한 자양분은 그리움/
그리워하려면 멀리 있어야 하므로” (미완성 원고 부분)
있는 힘을 다해 단어를, 문장을 갈구해 온 그가 택한 마지막 시어는 소소하지만 더할 나위 없이 충분했다.

김혜영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03 <새> 시모음 2015-04-17 0 4172
402 <개나리> 시모음 2015-04-17 0 4372
401 <봄맞이> 시모음 2015-04-16 0 4495
400 <풀꽃> 시모음 2015-04-16 0 3894
399 <아버지> 시모음 2015-04-16 2 4751
398 <채송화> 시모음 2015-04-16 0 4564
397 <나이테> 시모음 2015-04-16 0 4130
396 반칠환시인 시모음 2015-04-16 1 5514
395 <소나무> 시모음 2015-04-16 0 4988
394 시 낯설게 하기와 조향시인 2015-04-14 1 4460
393 조향시인을 그리며... 2015-04-14 0 4100
392 사랑의 계관시인 - 김남조 2015-04-14 0 4960
391 영국 잉글랜드 시인 - 엔드류 마블 2015-04-14 0 4568
390 왕당파 시인 / 형이상파 시인 2015-04-14 0 6164
389 형이상시의 고찰 2015-04-14 1 4651
388 사랑의 형이상적 시인 - 존던 2015-04-14 0 5222
387 영국 형이상학파 시인 - 존단 2015-04-14 0 5270
386 無韻詩 2015-04-14 0 4592
385 詩의 飜譯 2015-04-14 0 4766
384 <장미꽃> 시모음 2015-04-14 0 5007
383 멕시코 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5-04-13 1 5060
382 아르헨티나 시인 - 후안 헬만 2015-04-13 0 4478
381 혼다 히사시 시모음 2015-04-13 0 5221
380 詩의 病 2015-04-13 0 4089
379 <축구> 시모음 2015-04-13 0 5868
378 100세 할매 일본 시인 - 시바타 도요 2015-04-13 0 4672
377 로동자시인 - 박노해 2015-04-12 0 4854
376 박용래 시모음 2015-04-12 0 5978
375 <민들레> 시모음 2015-04-12 1 4465
374 <매화> 시모음 2015-04-12 0 6236
373 러시아 농민시인 - 이사코프스키 2015-04-12 0 4935
372 명시인 - 백석 2015-04-12 1 6779
371 <그릇> 시모음 2015-04-12 0 4475
370 <봉숭아> 시모음 2015-04-12 0 4589
369 <숟가락> 시모음 2015-04-12 0 4231
368 시인의 明과 暗 2015-04-12 0 4207
367 <진달래> 시모음 2015-04-12 1 4306
366 <국화> 시모음 2015-04-12 4 4704
365 <목련> 시모음 2015-04-12 0 5234
364 김지하 / 五賊 2015-04-10 0 4370
‹처음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