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동시야 놀자]- 봉숭아
2016년 03월 07일 21시 31분  조회:4356  추천:0  작성자: 죽림

 

이안 시인의 ‘봉숭아 편지’를 읽으니 어렸을 적 고향집 마당가에 하얗게, 붉게 피었던 봉숭아가 생각난다. 그 시절 봉숭아, 채송화, 맨드라미는 집집마다 마당가나 장독대 옆 작은 뜰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다. 바쁜 농사철에 잡풀 속에서도 환하게 피고 지고 하며 농사꾼의 마음에 여유와 다사로움을 안겨주던 꽃이다. 가을철이면 파랗던 봉숭아 씨주머니가 누래지면서 탱탱하게 여물어, 엄지와 검지로 살짝 누르면 툭 터진다. 씨주머니가 바짝 오그라들고 작은 씨앗들이 툭 튀어나와 손바닥에 모일 때의 그 감촉이 너무 좋아서 나는 자꾸 씨주머니를 터뜨렸었다.

시인은 전주 한옥마을에 갔다가 봉숭아 씨를 받아 온다. 그 씨를 잘 간직하고 있다가 봄에 화단에 심었다. 봉숭아는 햇볕 받고 비바람 맞으며 무럭무럭 자라 여름에 색색깔로 꽃을 피운다. 아하, 전주에서 충주로 이사 왔으니 전주의 벌과 나비에게 소식을 전하려는 것이구나. 봉숭아는 “여름내 하양 분홍 빨강/편지지 꺼내” 편지를 쓰고 또 쓴다. 꽃이 피고 벌과 나비를 부르는 것이 자연의 순리이지만, 시인의 눈은 전에 살던 곳에서 꽃을 찾아왔던 벌과 나비 친구들에게 봉숭아가 전하는 애틋한 마음을 본다. 야들아, 봉투에 쓴 주소를 보고 그리로 한번 와 줬으먼 좋겄다잉. 자기가 살았던 전주 사투리로 썼다. 그런데 어쩐다? 편지를 누가 전하지?

시인은 우체부가 되어 편지를 전하러 간다. “손톱에 받아쓴 봉숭아 편지”는 봉숭아 꽃잎을 따서 손톱에 얹고 싸매주어 분홍물을 들인 거다. 아하, 지난가을에 만났던 전주 친구가 보고 싶어 다시 가는구나. 편지를 받은 전주 친구는 벌과 나비 소식을 갖고 봉숭아를 보러 올 테고. 유붕자원방래(有朋自遠方來), 아름다운 우정이로고. 곱디고운 핑계로고.

입춘 지나며 하늘을 보니 햇살에 부쩍 생기가 돈다. 고향에 가서, 시골에 가서 부모님의 손도 잡아보고 친구를 만나 꽃씨 같은 마음 한톨 건네야겠다.

/ 김이구 문학평론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23 김혁 / 김룡운 2015-09-17 0 4289
722 詩碑에 是非를 걸다... 2015-09-17 0 4598
721 조선족문학의 개념에 대하여 2015-09-17 0 4830
720 김철 / 장춘식 2015-09-17 0 5160
719 김창영 / 장춘식 2015-09-17 0 4684
718 리옥금 / 장춘식 2015-09-17 0 5094
717 고 송정환 / 장춘식 2015-09-17 0 4764
716 연변지역 시문학 뿌리 및 그 현황 2015-09-17 0 4747
715 한영남 / 장춘식 2015-09-17 0 4365
714 전춘매 / 장춘식 2015-09-17 0 4387
713 ...끝 2015-09-17 0 5803
712 ...이어서 2015-09-17 0 4676
711 ...계속 2015-09-17 0 4891
710 ...이어서 2015-09-17 0 4519
709 ...계속 2015-09-17 0 4969
708 일제 강점기 조선족 시문학 2015-09-17 0 4428
707 리육사의 <<로신추도문>> 2015-09-16 0 5996
706 당신도 디카시 시인 2015-09-12 0 4789
705 <사진> 시모음 2015-09-12 0 4957
704 디카시 모음 2015-09-12 0 4315
703 디카시란? 2015-09-10 0 4818
702 하이퍼시 - 역설의 시 2015-09-10 0 4312
701 하이퍼시 창작기법 2015-09-09 1 4649
700 하이퍼시의 목표 - 고정틀 벗어나기 2015-09-09 0 4666
699 하이퍼시 - 새롭게 디자인한 시 2015-09-09 0 4576
698 하이퍼시란? 2015-09-09 1 4307
697 글쓰기 0도 2015-09-09 0 3928
696 패러디(모방, 표절, 도작...)문학을 인정하느냐 마느냐가 "문제"면 "문제"로다... 2015-09-07 0 4439
695 ...계속 2015-09-07 0 4179
694 남영전 / 최룡관 2015-09-07 0 4201
693 한춘시평 2015-09-07 0 4153
692 토템시에 한마디 2015-09-07 0 4523
691 토템시 - 민족문화브랜드 2015-09-07 0 5420
690 감자 캐는 즐거운 농부 - 남영전시인 2015-09-07 0 4100
689 ...계속 2015-09-07 0 5883
688 남영전 / 김관웅 2015-09-07 1 4575
687 민족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2015-09-07 0 4076
686 중국 조선족 시문학의 위상(자료) 2015-09-07 0 5085
685 중국 조선족시문학 정초자 - 리욱 2015-09-07 0 4965
684 시의 가치란? 2015-09-06 0 4852
‹처음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