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동시야 놀자]- 봉숭아
2016년 03월 07일 21시 31분  조회:4345  추천:0  작성자: 죽림

 

이안 시인의 ‘봉숭아 편지’를 읽으니 어렸을 적 고향집 마당가에 하얗게, 붉게 피었던 봉숭아가 생각난다. 그 시절 봉숭아, 채송화, 맨드라미는 집집마다 마당가나 장독대 옆 작은 뜰에서 흔하게 볼 수 있었다. 바쁜 농사철에 잡풀 속에서도 환하게 피고 지고 하며 농사꾼의 마음에 여유와 다사로움을 안겨주던 꽃이다. 가을철이면 파랗던 봉숭아 씨주머니가 누래지면서 탱탱하게 여물어, 엄지와 검지로 살짝 누르면 툭 터진다. 씨주머니가 바짝 오그라들고 작은 씨앗들이 툭 튀어나와 손바닥에 모일 때의 그 감촉이 너무 좋아서 나는 자꾸 씨주머니를 터뜨렸었다.

시인은 전주 한옥마을에 갔다가 봉숭아 씨를 받아 온다. 그 씨를 잘 간직하고 있다가 봄에 화단에 심었다. 봉숭아는 햇볕 받고 비바람 맞으며 무럭무럭 자라 여름에 색색깔로 꽃을 피운다. 아하, 전주에서 충주로 이사 왔으니 전주의 벌과 나비에게 소식을 전하려는 것이구나. 봉숭아는 “여름내 하양 분홍 빨강/편지지 꺼내” 편지를 쓰고 또 쓴다. 꽃이 피고 벌과 나비를 부르는 것이 자연의 순리이지만, 시인의 눈은 전에 살던 곳에서 꽃을 찾아왔던 벌과 나비 친구들에게 봉숭아가 전하는 애틋한 마음을 본다. 야들아, 봉투에 쓴 주소를 보고 그리로 한번 와 줬으먼 좋겄다잉. 자기가 살았던 전주 사투리로 썼다. 그런데 어쩐다? 편지를 누가 전하지?

시인은 우체부가 되어 편지를 전하러 간다. “손톱에 받아쓴 봉숭아 편지”는 봉숭아 꽃잎을 따서 손톱에 얹고 싸매주어 분홍물을 들인 거다. 아하, 지난가을에 만났던 전주 친구가 보고 싶어 다시 가는구나. 편지를 받은 전주 친구는 벌과 나비 소식을 갖고 봉숭아를 보러 올 테고. 유붕자원방래(有朋自遠方來), 아름다운 우정이로고. 곱디고운 핑계로고.

입춘 지나며 하늘을 보니 햇살에 부쩍 생기가 돈다. 고향에 가서, 시골에 가서 부모님의 손도 잡아보고 친구를 만나 꽃씨 같은 마음 한톨 건네야겠다.

/ 김이구 문학평론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23 詩作初心 - 명상과 詩 2016-02-24 0 5150
1122 [아침 詩 한수] - 오징어 2016-02-24 0 4225
1121 [아침 詩 한수] - 기러기 한줄 2016-02-23 0 4463
1120 열심히 쓰면서 질문을 계속 던져라 2016-02-21 0 4300
1119 남에 일 같지 않다... 문단, 문학 풍토 새로 만들기 2016-02-21 0 4326
1118 동주, 흑백영화의 마력... 2016-02-21 0 4396
1117 詩作初心 - 현대시의 靈性 2016-02-20 0 4275
1116 詩作初心 - 시에서의 상처, 죽음의 미학 2016-02-20 0 4016
1115 같은 詩라도 행과 연 구분에 따라 감상 차이 있다... 2016-02-20 0 4471
1114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詩의 다의성(뜻 겹침, 애매성) 2016-02-20 0 4663
1113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술 한잔 권하는 詩 2016-02-20 0 4817
1112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만드는 詩, 씌여지는 詩 2016-02-20 0 4313
1111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비상 이미지 동사화 2016-02-20 0 4619
1110 무명 작고 시인 윤동주 유고시 햇빛 보다... 2016-02-19 0 4989
1109 윤동주 시집 초판본의 초판본; 세로쓰기가 가로쓰기로 2016-02-19 0 4891
1108 별이 시인 - "부끄러움의 미학" 2016-02-19 0 5967
1107 윤동주 유고시집이 나오기까지... 2016-02-19 0 5838
1106 윤동주 시인의 언덕과 序詩亭 2016-02-19 0 4717
1105 무명詩人 2016-02-18 0 4672
1104 윤동주 코드 / 김혁 2016-02-17 0 4945
1103 99년... 70년... 우리 시대의 "동주"를 그리다 2016-02-17 0 4689
1102 나의 거울을 손바닥으로 발바닥으로 닦아보자 2016-02-17 0 4483
1101 윤동주와 송몽규의 <판결문> 2016-02-16 0 4496
1100 윤동주, 이 지상에 남긴 마지막 절규... 2016-02-16 0 4474
1099 詩와 함께 윤동주 발자취 더듬어보다... 2016-02-16 0 4262
1098 풍경 한폭, 우주적 고향 그리며 보다... 2016-02-16 0 4550
1097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그로테스크 2016-02-15 0 4808
1096 오늘도 밥값을 했씀둥?! 2016-02-14 0 4769
1095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色은 상징 2016-02-14 0 4652
1094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시의 함축과 암시 2016-02-14 0 3943
1093 詩作初心으로 되돌아가다 - 詩적 이미지 2016-02-14 0 4410
1092 벽에 도전하는것, 그것 바로 훌륭한 詩 2016-02-14 0 4302
1091 전화가 고장난 세상, 좋을씨구~~~ 2016-02-14 0 4362
1090 詩는 읽는 즐거움을... 2016-02-13 0 5407
1089 詩에게 생명력을... 2016-02-13 0 4308
1088 詩가 원쑤?, 詩를 잘 쓰는 비결은 없다? 있다? 2016-02-13 0 4654
1087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난 시인들 - 박두진 2016-02-12 0 4452
1086 詩人을 추방하라???... 2016-02-11 0 3918
1085 C급 詩? B급 詩? A급 詩?... 2016-02-11 0 3906
1084 詩의 벼랑길위에서 만나는 시인들 - 신석초 2016-02-10 0 5596
‹처음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