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무명詩人
2016년 02월 18일 06시 56분  조회:4794  추천:0  작성자: 죽림

무명시인

            /함명춘

 

 

그는 갔다 눈도 추운 듯 호호 손을 불며 내리는 어느 겨울,
가진 것이라곤 푸른 노트와 몇 자루의 연필밖엔 없었던
난 그가 연필을 내려놓은 것을 본 적이 없다
아니, 한 두어 번 부러진 연필을 깎을 때였을까
그가 연필을 들고 있을 때만큼은 언제나
바나나 같은 향기가 손에 와 잡히곤 하였다
그는 마을 어귀 가장 낮은 집에서 살고 있었다
마당엔 잎이 무성한 나무 한 그루가 서 있었다
밤낮없이 그는 푸른 노트에 무언가를 적어넣었다, 그러면
나비와 새 들이 하늘에서 날아와 읽고 돌아가곤 했다
그런 그를 사람들은 시인이라 불렀다 하지만
그가 어디에서 왔는지 이름은 뭔지 아무도 알 수 없었다
인기척이라곤 낙엽 같은 노트를 찢어대는 소리일 뿐
아니, 밤보다 깊은 울음소릴 몇 번 들은 적이 있었을까
난 그의 글을 읽어본 적이 없다 하기야
나무와 새와 바람과 별 들이 그의 유일한 독자였으니
세상을 위해 쓴 게 아니라 세상을 버리기 위해 쓴 시처럼
난 그가 집 밖을 나온 것을 본 적이 없다
잠자는 것을 본 적이 없다 먹는 것도 본 적이 없다
밤낮없이 그는 푸른 노트에 무언가를 자꾸 적어넣었다
더이상 쓸 수 없을 만큼 연필심이 다 닳았을 때
담벼락에 도무지 읽을 수 없는 몇 줄의 시를 새겨넣고
그는 갔다 눈도 추운 듯 호호 손을 불며 내리는 어느 겨울
무명시인
끝내 그의 마지막 시는 세상 사람들을 감동시키지 못했다
그 몇 줄의 시를 읽을 수 있는 것들만 주위를 맴돌았다
어떤 날은 바람과 구름이 한참을 읽다가 무릎을 치며 갔다
누군가는 그 글이 그가 이 세상에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발표한 시라 하고
또 누군가는 그건 글도 시도 아니라고 했지만
더이상 아무도 귀에 담지 않았다
그가 떠난 집 마당, 한 그루 나무만 서 있을 뿐
도무지 읽을 수 없는 몇 줄의 시처럼 세월이 흘러갔다, 흘러왔다

 
------

시인은 홀로 연필을 깎는다. 아무도 살지 않는 그 집에 들어와 연필을 깎으며 살기로 한 사람이다. 그는 연필을 깎으며 마른 나무 같은 글들을 노트 속에 심기 시작한다.

한 그루 연필이 노트 속으로 들어가고 또 한 그루의 연필이 노트 속에 심겨지는 동안 세월이 갔다. 그가 그 방으로 들어와 열심히 연필을 깎았기 때문이다.

연필로 시를 쓰면 볏짚 타는 냄새가 나고, 저물 무렵 연필 속에서 흘러나온 글씨 속에는 비 냄새가 난다는 사실을 그는 잘 알고 있는 사람이다.

비가 오는 날 젖은 볏짚이 타는 냄새를 쓰고 싶어서 그는 혼자 연필을 깎는 사람이다. 감추어 두었던 울음이나 세상이 자신을 지나가며 남겼던 것들이 혼자 헛웃음이 되면 그의 연필에서 흘러나온 젖은 볏짚들은 두엄이 되어 노트 귀퉁이에 쌓여간다.

그와 함께 그윽하게 썩어가기로 한 것이다. 그는 시인이다. ‘가진 것이라곤 푸른 노트와 몇 자루의 연필’밖에 없는, 허명을 남기는 일보다 자신의 노트 속에 새들을 남기겠다고 다짐한, 그래 진짜 시인은 부러진 연필을 깎아 새들을 불러 모으는 존재니까.

 

시평/김경주 시인

---------------------------

 

산중여관1

 

마당엔 제비가 낙엽을 쓸고

몇 개인지 모를 방을 옮겨다니며

물고기들이 걸레질을 할 동안

오동나무와 족제비는 아궁이를 지펴 서둘러 밥을 짖는다

뒤뜰에는 장작을 패는 바람의 도끼질 소리

혹시 오늘은 어느 객이 찾아오려나

주인인 듯한 허름한 옷차림의 산국화

현관문 앞 숙박계를 어루만지며

길고 흰 수염을 쓰다듬듯 시냇물이 산골짜기를 빠져나가는

창밖을 우두커니 바라본다

세상의 길이란 길은 모두 잃어야 한 번 쯤

묵어갈 수 있는 산중여관

                                                                   - 함명춘 (1966~ )

 

"겨울의 초입에 서니 이런 산중여관에 가고 싶다. 가을은, 낙엽은 다 졌겠다. 나목이 되어 조용히 서 있어도

좋겠다. 산중여관의 주인은 까다롭지 않고 무던해서 노랗고 작은 산국화처럼 나를 보고 반겨 웃을 것이다. 그

러면 엷은 향기가 그에게서 내게로 올 것이다. 나는 세상을 떠나와 산중여관에 묵고, 시냇물은 세상을 찾아가

라고 거룻배를 띄워 보내도 좋겠다.

방과 마루에 걸레질을 하고, 불을 때 밥을 짖고, 밤새 문 밖에서 낙엽을 비질하는 바람의 소리를 듣고 싶다.

아무런 말을 하지 않고, 늦은 밤에 물을 끓여 차를 마시면 어느새 나도 수수해져 사람이 좋아질 것이다. 목침

을 베고 누우면 깊은 산속에 사는 사람처럼 순하게 잠들 것이다. 어느 날에는 소복하게 내린 눈을 순은의 아

침에 보게도 될 것이다" 시를 올린 문태준 시인의 글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203 중국조선족시인 홍영빈 篇 2024-08-29 0 693
2202 중국조선족시인 리삼월 篇 2024-08-29 0 771
2201 중국조선족시인 김철 篇 2024-08-29 0 727
2200 중국조선족시인 조광명 篇 2024-08-29 0 1031
2199 중국조선족시인 김창영 篇 2024-08-29 0 861
2198 중국조선족시인 김견 篇 2024-08-29 0 572
2197 중국조선족 시인 김영건 篇 2024-08-29 0 691
2196 중국조선족시인 심예란 篇 2024-08-29 0 885
2195 중국조선족시인 김일량 篇 2024-08-29 0 866
2194 중국조선족 시인 석화 篇 2024-08-24 0 2269
2193 중국조선족 시인 김정호 篇 2024-08-24 0 960
2192 중국조선족 시인 허동식 篇 2024-08-24 0 1097
2191 중국조선족 시인 리상각 篇 2024-08-24 0 969
2190 중국조선족 시인 조룡남 篇 2024-08-24 0 982
2189 중국조선족 시인 최룡관 篇 2024-08-24 0 1018
2188 중국조선족 시인 방산옥 篇 2024-08-24 0 904
2187 중국조선족 시인 김파 篇 2024-08-24 0 1052
2186 중국조선족 시인 강효삼 篇 2024-08-23 0 939
2185 중국조선족 시인 윤청남 篇 2024-08-23 0 949
2184 중국조선족 시인 림운호 篇 2024-08-23 0 854
2183 중국조선족 시인 방태길 篇 2024-08-23 0 1172
2182 중국조선족 시인 김경희 篇 2024-08-23 0 933
2181 중국조선족 시인 방순애 篇 2024-08-23 0 972
2180 중국조선족 시인 최화길 篇 2024-08-23 0 863
2179 중국조선족 시인 허옥진 篇 2024-08-23 0 1101
2178 중국조선족 시인 류춘옥 篇 2024-08-23 0 859
2177 중국조선족 시인 김선희 篇 2024-08-23 0 892
2176 중국조선족 시인 김성우 篇 2024-08-23 0 985
2175 중국조선족 시인 김영능 篇 2024-08-23 0 1213
2174 중국조선족 시인 림금산 篇 2024-08-23 0 1034
2173 중국조선족 시인 김춘희 篇 2024-08-23 0 993
2172 중국조선족 시인 리문호 篇 2024-08-23 0 1045
2171 중국조선족 시인 최기자 篇 2024-08-23 0 1025
2170 중국조선족 시인 김응룡 篇 2024-08-23 0 1051
2169 중국조선족 시인 김기덕 篇 2024-08-23 0 1051
2168 중국조선족 시인 김창희 篇 2024-08-23 0 918
2167 중국조선족 시인 김영춘 篇 2024-08-23 0 1132
2166 중국조선족 시인 한춘 篇 2024-08-23 0 1027
2165 중국조선족 시인 김승종 篇 2024-08-23 0 1263
2164 중국조선족 시인 박장길 篇 2024-08-23 0 1297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