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쓰기에서 상징, 알레고리를 리용하기
2016년 02월 07일 01시 13분  조회:4931  추천:0  작성자: 죽림
상징과 알레고리는 모두 추상적인 것을 구체화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그 방법은 전혀 다릅니다.
상징이 추상적인 것을 눈에 보이는 사물로 표현한다면 알레고리는 보다 은유적이고 의인화된 것으로 표현합니다.

상징의 예를 들면, 십자가 => 기독교, 태극기=> 한국, 흰 드레스 => 순결, 빨강 파랑 노랑 => 교통신호....
그에 비해,
알레고리는 대개 은유나 풍유, 의인화된 사물로 표현됩니다.

<천로역정>, <동물농장>, <이솝우화> 등은 추상적 개념이나 동물이 의인화되어 나오는데, 이런 경우가 바로 알레고리에 해당합니다. 또 상징처럼 알기 쉽게 기호나 사물로 표현되지 않고 수수께끼처럼 이면에 감춰져 표현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파리대왕> 같이 무인도에 갇힌 아이들을 통해 정치, 선과 악, 인간본성에 대해 풍자하는 경우죠.
발터 벤야민은 알레고리가 텍스트나 회화에 신화적이고 역사화된 배경을 설정하기 때문에 상징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알레고리에 비하면 상징은 잠시 머물다 사라지는 것에 불과하다고 했죠. 그만큼 어려운 개념이라는 얘기겠죠.

<상징과 알레고리>

1. 상징
① 상징의 본질
-상징이란 어원은 (한데 던지다.비교하다, 표시)라는 의미다.
-한 심상과 한 관념을 상상에 의하여 연결시킬수 있는 방법
-상징은 불가시적이고 형이상적인 실재를 드러내는 가시적형 또는 대상을 뜻하는 것으로 파악되어야 할 것
-은유는 1:1의 유추적 관계에 의존하지만 상징은 아니다.
-상징은 확장된 은유이다.
-캇시러: 신호는 조작자, 상징은 지시자
: 인간을 상징적 동물로 정의
-신호는 동물적 존재 세계 일부, 상징은 인간의 의미세계일부
-william York Tindall - 신호와 상징의 차이점
ㄱ.신호는 명확한 것. 상징은 불명확한 것
ㄴ.상징은 어떤 것을 남김없이 나타낼 수 없고 우리가 말할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은 사상과 감정을 암시
ㄷ.신호는 본의에 관심을 상징은 유의 자체에 관심을 갖는다.
ㄹ.신호는 작자와 독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중시, 상징은 그것 자체와 독자 사이의 의사소통에 있다.
-시인의 임무
ㄱ.의미를 관념 그대로 전달하지 않고 구체적인 심상으로 형상화 시켜 전달
ㄴ.시가 상징을 그 표현의 가장 직접적인 질료로 삼게 된 이유는 관념 이전의 근본적인 의미를 전달해 주는 것
ㄷ.시인은 감동과 생기, 염감으로써 힘을 북돋아 주는 동시에 기쁨을 주는 것
② 상징과 시
-이미지가 지니는 언어적 한계를 무한히 넓혀, 언어 이상의 본질적 , 실체적 세계로 이끌어 가는 작용이 시에 있어서의 상징화 작용이다.
-비둘기가 (평화)를 상징한다고 말할수 있는 것은 (연상작용) 때문이다.
-개인적 상징 - 윤동주(십자가), 이육사(절정)
-관습적 상징(비유) - 이장희(봄은 고양이로다.)
-유치환(깃발) - 확장된 은유 상징

2. 알레고리
① 알레고리의 본질
-하나를 말하여 다른 것을 의미할 때 알레고리가 나타난다고 한다.
-비유는 유의와 본의가 유사 관계를 가지며 이들이 문면에 확연히 드로나는 경우에 볼 수 있다.
-자의적 이질관계(유의가 생략된 본의를 지시하는 관계): 기호
-연상적 이질 관계(유의가 생략된 본의를 암시하는 관계): 알레고리.상징
-유의가 본의를 번역해 내면: 알레고리
-유의와 본의가 통합되어 의미를 현현시키면 : 상징
-알레고리는 비유와 기호처럼 유의와 본의가 구별된다.
상징은 그것이 통합되어 분리되지 않는다.
-알레고리의 본의는 기성의 도덕과 윤리의 추상적 개념을 갖는다.
-상징 우월론은 낭만주의 이후 대두되었고 상대적으로 알레고리는 위축
-프라이- 모든 비평은 알레고리이다.
-알레고리의 범주에서 작품을 해석할 때 나타나는 특질
ㄱ.수사적 측면에서 주로 의인화와 문답법의 기법을 나타낸다.
ㄴ.인식론 측면에서 이원론과 상반성을 갖는다.
ㄷ.의미론적 측면에서 현세성과 교훈성을 갖는다.

3. 상징적 표현의 방법
(개인적, 관습적, 제도적, 원형적 상징)
① 작품전체가 하나의 상징을 이루는 경우
-윤동주(슬픈족석)
-시의 본문 전체가 하나의 뭉뚱그려진 상징을 이루고 있다.
-한용운(알수 없어요)
-김춘수(이중섭)
-이상(최후), 마광수(신)
② 어떤 상징적 시어가 의도적으로 쓰여져 상징적 의미를 환기시키는 경우
-조병화(의자): 지금 어드께 쯤....
-이작품에 나오는 (의자)는 일상적 의미가 아니라 상징적 의미로 쓰였다. (아침)과 (묵은의자)가 서로 대비되면서 시간이 흘러가면서 세대가 교체되고 모든 것이 역사적으로 변해간다는 사실을 상징적으로 암시
-김수영(눈)
-김춘수(꽃)
-이러한 (의자, 눈, 꽃)같은 보편적인 소재를 상징적 시어로 승화 시킬 때 거기서 상징의 확산과 승화작용을 일으킬수 있다.
③ 원형적 상징을 응용하는 경우
-원형의 이론은 문학의 해석에 있어 다음과 같은 가설을 제기한다.
ㄱ.꿈과 신화의 의식은 근본적으로 보편적인 정서적 욕구를 충족 시키거나 보편적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간접적으로 변장된 비공리적 방법
ㄴ.상징은 실제로는 그 행위를 초월한 다른 관념의 세계를 보여주는 암시적이고 간접적인 방법
ㄷ.결국 원형이란 가장 보편적인 상징이다.
ㄹ.이때 시인은 일시적이고 현상적인 세계를 초월하여 영원의 세계로 들어가게 된다는 것이다.
-원형적 상징들의 예
바람: 호흡, 영감, 생기, 정신, 시련
원: 통일성,전체성, 의식과 무의식의 결합, 영원한 회귀
강물: 시간의 흐름, 생의 윤회
-성적 상징 - 구두를 신는 행위
- 뱀
-꽃을 밟고 지나가다.
(사디스틱한 마조키즘)
-서정주(화사)
-마광수: 자궁 회귀 본능을 원형적 상징의 소재로 한시 → 불편한 가운데서 미의식을 충족 → 무거은 귀걸이, 목걸이, 긴손톱, 뾰족구두
-김춘수(봄바다)

4. 알레고리적 표현의 방법
① 알레고리적 주제를 상징적 기법으로 표현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삼아서 시 창작에 알레고리를 응용해야 한다.
② 알레고리는 결국 어떤 교훈적 메시지를 독자에게 은근하게 전달하려고 할 때 쓰이는 방법
③ 정치풍자적 알레고리 시
-김수영(폭포)

/김진학 시창작론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63 [안녕?- 아침 詩 한송이]- 미친 약속 2016-03-10 0 4219
1162 <노을> 시모음 2016-03-10 0 5050
1161 詩作初心 - 시의 제목 잘 선별하기 2016-03-10 0 5226
1160 詩作初心 - 시는 두겹으로 그림을 그려라 2016-03-09 0 5750
1159 詩作初心 - 시는 20행이하로... 2016-03-09 1 7061
1158 <개> 시모음 2016-03-08 0 4539
1157 [안녕?- 아침 詩 한송이]ㅡ 봄소동 2016-03-08 0 4143
1156 "나는 단어를 찾는다" -폴란드 시인 쉼보르스카 2016-03-07 0 3849
1155 [동시야 놀자]- 지각 대장 싸움 대장 2016-03-07 0 4270
1154 [동시야 놀자]- 쫑마리 2016-03-07 0 3842
1153 [동시야 놀자]- 오줌싸개 지도 2016-03-07 0 4298
1152 [동시야 놀자]- 아름다운 국수 2016-03-07 0 4446
1151 [동시야 놀자]- 까만 밤 2016-03-07 1 4380
1150 [동시야 놀자]- 봉숭아 2016-03-07 0 4350
1149 [안녕?- 아침 詩 두송이]- 들깨를 터는 저녁 / 뜨개질 2016-03-07 0 4575
1148 {안녕? - 아침 詩 한송이} - 白石 詩 2016-03-06 0 5518
1147 詩作初心 - 좋은 시를 모방하되 자기 색갈 만들기 2016-03-06 0 8025
1146 詩에서 상상은 허구, 가공이다... 2016-03-04 0 5190
1145 {안녕?- 아침 詩 두송이} - 나무들의 목소리 2016-03-04 0 4470
1144 詩는 그 어디까지나 상상의 산물 2016-03-04 0 4750
1143 [아침 詩 두수] - 황지우 시 두수 2016-03-03 0 4652
1142 산문시가 산문이 아니다라 詩이다 2016-03-03 0 4804
1141 산문과 산문시의 차이 알아보기 2016-03-03 0 4955
1140 산문시와 산문을 구별해보자 2016-03-03 0 4541
1139 "시의 본질" 이라는 거울앞에 서보자 2016-03-03 0 4355
1138 독자가 없으면 詩는 존재할수 있다... 없다... 2016-03-03 0 4833
1137 밀핵시(密核詩)란? 2016-03-02 0 4801
1136 [아침 詩 한수] - 내가 뜯는 이 빵 2016-03-02 0 4285
1135 눈물보다 독한 술은 없다... 있다... 2016-03-02 0 4159
1134 詩의 천하루밤 2016-03-02 0 4237
1133 詩作初心 - 독자 없는 시대를 독자 있는 시대로... 2016-03-02 0 4630
1132 詩作初心 - 詩를 읽는다는것은... 2016-03-01 0 4501
1131 詩作初心 - 한편의 시를 탈고하기 위하여... 2016-03-01 0 5352
1130 [아침 詩 한수] - 어떤 평화 2016-02-29 0 4823
1129 詩作初心 - 좋은 詩 없다... 있다... 2016-02-26 0 4461
1128 詩作初心 - "詩의 본질"이라는 거울앞에서ㅡ 2016-02-26 0 4523
1127 [아침 詩 두수] - 늙은 꽃 / 기적 2016-02-26 0 4420
1126 [아침 詩 한수] - 가벼운 농담 2016-02-25 0 4497
1125 민족시인들을 찾아서... 2016-02-25 0 5115
1124 詩作初心 - 詩의 출발은 사춘기, 고정관념 벗어나기 2016-02-24 0 4612
‹처음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