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아방가르드 영화 3인 감독
2016년 01월 13일 02시 32분  조회:5207  추천:0  작성자: 죽림
 
프랑스 아방가르드 영화를 대표하는
                                    3인의 영화감독

◈ 장 엡스탱 Jean Epstein (1897 - 1953)

장 엡스탱(1897-1953)은 마르셀 레르비에, 루이 델뤽, 장 그레미옹과 더불어 프랑스 아방가르드 영화 최고의 감독으로 꼽히는 거장이다. 루이 델뤽과 더불어 첫 번째 영화이론가이기도 했던 장 엡스탱은 영화와 아방가르드 예술에 관한 여러 권의 책을 저술했으며, 동시에 프랑스 아방가르드 영화의 주도적인 감독으로 활동했다. 그의 데뷔작인 <파스퇴르>는 파스퇴르의 생애에 리얼리즘적으로 접근한 다큐멘터리 영화이며, 빠른 편집과 독특한 클로즈업의 미학을 보여준 <충실한 마음>은 ‘상징적인 멜로드라마’라는 평과 함께 큰 성공을 거뒀고, 바지선을 배경으로 한 <라 벨 니베르네즈>는 ‘섬의 시네아스트’라는 엡스탱의 별명에 걸맞게 흐르는 물의 아름다운 영상과 함께 독특한 드라마를 선보이는 작품으로, 장 비고의 <라탈랑트>에 큰 영향을 준 영화이다. 또한 알랭 레네의 영화를 떠올리게 하는 황홀한 영화 <삼면 거울>과, 에드가 앨런 포의 원작을 시각적으로 완벽하게 옮겨놓았다고 평가받는 <어셔가의 몰락>은 프랑스 아방가르드 영화의 최고 걸작들이다. 엡스탱은 <세계의 끝>에서는 브르타뉴 섬을 배경으로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영화의 미학을 일치감치 선보였고, 1930년대와 40년대에는 <태풍>과 같은 경이적인 다큐멘터리 영화를 만들기도 했다.

- 파스퇴르 Pasteur 1922년
- 충실한 마음 Coeur fidele 1923년
- 라 벨 니베르네즈 La Belle nivernaise 1923년
- 6 _ _ 11 Six et demi onze 1927년
- 삼면 거울 La Glace a trois faces 1927년
- 어셔가의 몰락 La Chute de la maison Usher 1928년
- 세계의 끝 Finis terrae 1929년
- 태풍 Le Tempestaire 1947년

◈ 장 비고 Jean Vigo (1905 - 1934)

장 비고(1905-1934)는 29세에 요절할 때까지 단편을 포함하여 단지 4편의 영화만을 남겼을 뿐이지만, 그 4편의 영화 모두가 세계영화의 보석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천재감독이다. 그는 태양과 달, 눈, 밤의 이미지들을 마치 언어처럼 다루면서 가장 강렬한 시적 리얼리즘의 영상을 창조했던 영화감독이었다. 전위적으로 매체를 이용하며 신랄한 묘사 속에 서정성을 담은 새로운 영화스타일을 창조했던 장 비고는 장 르누아르를 비롯한 당대의 감독들뿐만 아니라 장 뤽 고다르, 프랑수아 트뤼포 등 누벨바그 작가들과 그 이후의 감독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의 <품행제로>는 트뤼포의 <400번의 구타>와 린제이 앤더슨의 <만약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너무나도 아름다운 영화 <라탈랑트>는 레오스 카락스의 <퐁네프의 연인들>에 영향을 준 것으로도 유명하다.

- 니스에 관하여 A propos de Nice 1930년
- 타리, 물의 왕 Taris, roi de l'eau 1931년
- 품행제로 Zero de conduite 1933년
- 라탈랑트 L'Atalante 1934년

◈ 장 콕토 Jean Cocteau (1889 - 1963)

시인이자 소설가, 극작가, 문학비평가이면서 화가, 조각가로 모든 예술방면에서 천재적인 재능을 과시했던 장 콕토는 40대에 영화작업을 시작했다. 장 콕토는 1930년대에 앙드레 브르통, 루이스 부뉴엘 등과 함께 초현실주의 운동을 주도하며 시와 영상을 결합하는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영화의 세계에 입문하였다. 그의 영화 데뷔작 <시인의 피>는 환상적인 이야기를 사실적인 다큐멘터리처럼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장 콕토는 이 작품에 이어 <오르페>, <오르페의 유언>으로 이어지는 ‘시인 삼부작’을 만들었다. 이 세 편의 영화는 시인의 내적인 영감과 보이지 않는 창조 과정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작품들로, 콕토는 자신의 영화에서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화할 수 있는 영화 테크놀로지의 창조적인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시인의 고통스런 창작 과정과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시인 삼부작’은 이후 마야 데런이나 캐네스 앵거 등 미국의 아방가르드 영화감독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다.

- 시인의 피 Le Sang d'un poete 1930년
- 미녀와 야수 La Belle et la bete 1946년
- 쌍두 독수리 L'Aigle a deux tetes 1947년
- 무서운 부모들 Les Parents terribles 1948년
- 오르페 Orphee 1949년
- 오르페의 유언 Le Testamanet D'Orphee 1960년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03 詩는 시인의 눈에 비친 그림 2015-12-31 0 4070
802 詩의 징검다리는 어디?... 2015-12-31 0 4329
801 詩의 생명력 /// 난해시에 대하여 ///난해시 사랑 2015-12-31 0 4525
800 詩에서의 상징주의 2015-12-31 0 4889
799 극단적 미래파 詩는 사기... 2015-12-31 0 4856
798 난해함 대신 일상 파고드는 시쓰기... 2015-12-31 0 4453
797 삶속에서 게으름 피우며 詩라는 배에 타보라... 2015-12-31 0 4219
796 동시창작은 다양화되여야 한다 /// 창작은 모방인가? 2015-12-30 0 4194
795 윤동주는 우선 동시인 2015-12-30 1 4589
794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의 선구자 - 채택룡 2015-12-30 0 4610
793 유일한 황제는 아이스크림 황제다 /// 경청 - "길 하나 보인다..." 2015-12-28 0 4566
792 <<현대시 100년 詩의 계보>>를 위하여... <<로시인, 詩를 고발하다>>를 추천하매... 2015-12-28 0 4318
79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현대시>>시리즈를 일단락 마치며 - <<절실한 한마디>>를 추천한다... 2015-12-27 0 4689
790 윌리엄 불레이크, /// 칼 크롤로브 시해설 2015-12-10 0 6828
789 詩를 <<쉽게>> 짖자... /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자기 점검 2015-12-10 0 4514
788 로신과 한국 2015-12-05 0 5356
787 천재시인 - 李白의 음주시 연구 /// 술과 시인 2015-12-05 0 5709
786 남영전의 토템시 연구 2015-12-05 0 5834
785 민족시인 심련수 유작시의 정리와 출판을 두고 / 그의 대표작 시 해설 2015-12-05 0 5295
784 중국 조선족 문학의 흐름과 전개과정 2015-12-05 0 4676
783 중국 조선족 한글문학의 현황과 과제 2015-12-05 0 5188
782 중국 조선족의 文學地圖 다시 그려야 2015-12-05 0 4812
781 중국 력사상 가장 영향력이 컸던 詩 10首 / 초현실주의 대하여 2015-12-04 0 4579
780 한국 문단의 <<4대 비극>> /// <락서> 시모음 2015-12-03 1 4994
779 중국 조선족 시단의 奇花異石 - 한춘詩論 2015-11-21 0 5135
778 詩碑의 喜悲쌍곡선 2015-11-13 0 4950
777 詩人共和國, 碑共和國 2015-11-13 0 4757
776 詩碑가 是非로 되지 않기까지의 詩碑로 되기... / 詩를 고발하다... 2015-11-13 0 5110
775 詩碑 是非 ㅡ 세상보기 2015-11-13 1 4879
774 是非의 나라, 詩碑의 나라 2015-11-13 0 5567
773 詩碑의 是非 2015-11-13 0 4749
772 시를 지을 때 비법은? / 시와 련애하는 법 2015-11-11 0 5362
771 선생은 詩 읊기를 좋아하지 않습니까... 2015-11-11 0 5248
770 고로, 난 시인이 아니다! 2015-11-09 0 5599
769 하늘 저 켠을 공연스레 볼 뻔하였다... 시는 시적인것. 2015-11-06 0 4701
768 사랑 詩 10수 / 가슴으로 하는 詩 2015-11-06 0 4721
767 "온몸시론" 2015-11-06 0 4501
766 시는 언어를 통한 언어 파괴의 자화상이다...?! 2015-11-06 0 4878
765 참된 령혼이 시인을 만든다... 2015-11-06 0 4873
764 이미지즘과 한국詩 2015-11-06 0 4738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