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윤동주, 영화 <<동주>>로 살아오다...
2016년 01월 13일 01시 38분  조회:4402  추천:0  작성자: 죽림
 
 



‘동주’ 강하늘 박정민 흑백스틸이 공개됐다.

‘왕의 남자’ ‘사도’에 이은 이준익 감독 열한 번째 연출작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영화 ‘동주’(제작 루스이소니도스)가 시를 쓰고 있는 윤동주 시인의 모습을 담은 흑백과 컬러 두 가지 버전의 스틸과 함께 보도스틸 6종을 전격 공개해 눈길을 끈다. 

 
‘동주’는 일제강점기 스물 여덟의 나이로 짧은 생을 마감한 시인 윤동주의 청년기를 그린 영화다.

이준익 감독은 “윤동주 시인을 컬러로 그려냈다면 우리의 기억 속에 있는 인물과 이질감을 느끼지 않을까 해서 오히려 흑백이 더 사실적이라고 판단했다”며 “흑백 사진으로만 봐오던 윤동주 시인과 독립운동가 송몽규의 모습을 최대한 담백하고 정중하게 표현하기 위해 흑백 화면을 선택했고, 스물여덟 청춘의 시절을 그 누구보다 뜨겁게 살아낸 이분들의 영혼을 흑백의 화면에 정중히 모시고 싶었다”고 ‘동주’를 통해 처음으로 흑백영화 연출에 도전한 소감을 밝혀 관객들의 기대감을 높였다.

공개된 보도스틸에서는 한국인이 사랑하는 대표 시인 윤동주(강하늘)와 그의 짧은 삶 내내 밀접한 교감을 나누고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친구 송몽규(박정민)의 청년 시절을 만나볼 수 있다. 

고향 용정에서 문예지를 만들며 행복한 시간을 보냈던 동주와 몽규의 천진한 모습부터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 뒤 서로 다른 선택을 하며 갈등하는 모습까지 청년 시절의 희로애락이 모두 담겨 있어 눈길을 끈다. 

특히 정들었던 고향을 떠나며 상기된 두 사람의 표정은 앞으로 다른 길을 걷게 될 그들의 미래를 예견케 한다. 일본으로 떠난 뒤에도 시를 쓰며 암울한 현실을 버텨내는 동주와 온 몸으로 시대에 저항하는 몽규 사이의 갈등이 앞으로 펼쳐질 두 사람의 관계에 대한 호기심을 증폭 시킨다. 

동주와 몽규가 살았던 71년 전의 정서를 고스란히 담아낸 흑백의 스틸들은 아름답고 서정적인 분위기를 더해주며 이름도, 언어도, 시인이 되고 싶다는 꿈조차도 허락되지 않은 일제강점기 가장 빛나던 청춘들의 이야기를 담은 ‘동주’는 오는 2월 웰메이드 감동 드라마의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이름도, 언어도, 꿈도 허락되지 않았던 1945년, 평생의 친구이자 라이벌이었던 시인 윤동주와 독립운동가 송몽규의 빛나던 청춘을 담은 이야기 ‘동주’는 오는 2월
 
 18일 개봉한다.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43 누구룰 위하여 종은 울리나... 2016-05-19 0 4253
1442 {자료}- 김철 시인 / 김응준 시인 2016-05-18 0 7276
1441 시문학 부흥의 묘약은 어디?... 2016-05-18 0 4230
1440 이승의 버스가 씨근거리고... 새가 된 꽃이라며... 2016-05-18 0 4785
1439 [한밤중 詩와 함께]- 배꼽 2016-05-18 0 4211
1438 詩論을 알면 시쓰기 힘들다... 2016-05-17 0 4522
1437 55년만에 발굴된 민족시인 - 심련수 / ... 2016-05-16 0 5383
1436 詩人과 詩 그리고 갱신의 길 / ... 2016-05-16 0 4723
1435 詩의 언어는 과학적 언어가 아니다 2016-05-16 0 4630
1434 순화된 언어속에서 건져 올리는 낯설기라야 가치 있다 2016-05-16 0 4295
1433 [초저녘 詩 읊다]- 초승달 카페 // 송몽규를 다시 떠올리다 2016-05-16 0 4794
1432 詩의 언어는 음악적이여야... 2016-05-16 0 4730
1431 그 새벽, 시인이 서 있는 곳은,ㅡ 2016-05-16 0 4986
1430 동심이라는 이름의 마법 2016-05-16 0 5007
1429 비긋는 아침, 당신의 고해소는 어디?... 2016-05-16 0 4277
1428 교훈조의 詩는 좋은 詩가 아니다 2016-05-15 0 4950
1427 잊혀진 시인 찾아서 - 설창수 시인 2016-05-14 0 4877
1426 잊혀진 시인 찾아서 - 김종한 시인 2016-05-14 0 5572
1425 동시인 김득만 "365밤 동요동시" 출간 2016-05-14 0 4979
1424 사랑의 방정식 2016-05-14 0 4798
1423 울음상점에서 만나다... 2016-05-13 0 4483
1422 시인의 몸에 몇개의 지문이 없다... 있다... 2016-05-13 0 4867
1421 시작의 첫 줄에 마음 써라... 2016-05-12 0 4463
1420 시의 이미지는 진화한다... 2016-05-12 0 5284
1419 [안개 푹 설레이는 아침 시 한컷]- 옛 엽서 2016-05-12 0 4619
1418 왁자지껄한 평화속에서 꽃 피우라... 2016-05-11 0 4112
1417 아이는 삶으로 뛰여든다... 2016-05-10 0 4323
1416 나무들은 때로 불꽃 입술로 말한다... 2016-05-10 0 4404
1415 살구나무에 몸을 비벼본다... 2016-05-10 0 4703
1414 하이쿠 = 17자 2016-05-10 0 4512
1413 구체시 = 구상시 2016-05-10 0 4848
1412 혁명시인 - 김남주 시모음 2016-05-07 1 5121
1411 민족시인- 김남주를 알아보기 2016-05-07 0 5577
1410 [한밤중 詩 읊다]- 우리 엄니 2016-05-07 0 4879
1409 눈(안眼)인가 눈(설雪)인가... 2016-05-07 0 4578
1408 {이것도 詩라고 하는데...} 5월이 시작되다... 2016-05-07 0 4317
1407 詩人은 언어의 마술사이다... 2016-05-06 0 4292
1406 詩人은 현대의 돈키호테이다... 2016-05-06 0 4660
1405 詩人은 쉽게 잠들지 못한다... 2016-05-06 0 6927
1404 詩人은 골목길을 좋아한다... 2016-05-06 0 5637
‹처음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