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작법 옹헤야...
2016년 01월 09일 05시 29분  조회:4371  추천:0  작성자: 죽림

□ 자음운과 모음운

  - 자음운(子音韻) : 시에서 어떤 부분에 같거나 비슷한 종류의 자음들이 많이 쓰이는 현상을 말한다.

 

예) '앞 강물 뒷 강물/ 흐르는 물은/ 흘러도 연달아 흐릅디다려.'

    (김소월, '가는길'. 'ㄹ'음의 많은 사용)

 

  - 모음운(母音韻) : 같거나 비슷한 종류의 모음들을 어떤 부분에 많이 씀으로써 형성되는 운을 말한다.

 

예) 나 두 야 간다. / 나의 이 젊은 나이를 / 눈물로야 보낼 거냐. / 나 두 야 가련다.

    (박용철, '떠나가는 배'. '나'와 '야'의 반복)

 

 

 □ 운율의 창조 방법

  운율은 결국 동일한 자질(속성)의 소리가 반복적으로 배치될 때 형성된다.

  우리 시문학에서 운율을 창조하는 방법에는

   ① 음보의 반복

   ② 음절 수의 반복

   ③ 음운·음절·낱말의 반복

   ④ 통사 구조의 반복

   ⑤ 시행·연의 반복

   ⑥ 음성 상징어의 반복 등이 있다.

 

 1) 음보의 반복에 의한 운율 형성

   음보란 호흡 단위로 구분되는 운율의 덩어리를 말하는데, 이 음보의 단위가 모여 행(行)을 이루게 된다.

   우리 시가는 주로 3음보와 4음보를 중심으로 한 음보 단위의 반복적 구조를 지니고 있는 경우가 많다.

 

   ① 고려가요 <가시리>의 경우

        가시리 / 가시리 / 잇고 // 바리고 / 가시리 / 잇고 ⇒ ( 3 )음보

 

   ② 가사 <상춘곡>의 경우

        紅塵에 / 뭇친 분네 / 이내 生涯 / 엇더한고 //

        녯사람 / 風流를 / 미찰가 /못 미찰가 ⇒ ( 4 )음보 율격

 

   ③ 김소월의 <진달래꽃>의 경우

        나 보기가 / 역겨워 / 가실 때에는 //

        죽어도 / 아니 눈물 / 흘리오리다 ⇒ ( 3 )음보 율격

 

 2) 음절 수의 반복에 의한 운율 형성

   고전 시가에서 3·4조 또는 4·4조(시조와 가사)의 음수율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 속요에서는 3·3·2조의 음수율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현대시에서는 7·5조의 음수율이 부분적으로 유형화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현재는 우리 시가는 음수율보다는 음보율의 개념으로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① 정철의 <관동별곡>의 경우

        江湖애 / 病이 깁퍼 // 竹林에 / 누엇더니 ⇒ (3·4)조

 

   ② 고려속요 <청산별곡>의 경우

        살어리 / 살어리 / 랏다 // 청산에 / 살어리 / 랏다 ⇒ (3·3·2)조

 

   ③ 김동환의 <산 너머 남촌에는>의 경우

        산 너머 / 남촌에는 / 누가 살길래 //해마다 / 봄바람이 / 남으로 오네 ⇒ (7·5)조

 

 3) 동일 음운, 동일 음절, 동일 낱말의 반복에 의한 운율 형성

   반복되는 위치에 따라 두운, 요운, 각운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우리 시문학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동일한 종결 어미를 선택하여 각운의 효과를 보여 주는 경우가 있고,

   드물게 두운이 나타나기도 한다.

 

   ① 동일 음운의 반복

      좁은 들길에 들장미 열매 붉어 ⇒ 첫음절 종성에서 ('ㄹ'의 반복)

 

   ② 동일 음절의 반복

      산은 / 구강산 / 보랏빛 석산 ⇒ ('산'의 반복)

 

   ③ 동일 낱말의 반복

      거울속에는소리가 없소 ……//

 

      거울속에도내게귀가있소……//거울속의나는왼손잡이오……//

      거울때문에나는거울속의나를만져보지를못하는구료마는……

      ⇒ ('거울'이라는 낱말의 반복)

 

 4) 동일 통사 구조의 반복에 의한 운율의 형성

   동일한 문장 구조를 반복 배치함으로써 운율적 인상과 의미의 강조 효과를 동시에 노리는 방법이다.

 

   ① 별 하나에 추억과 / 별 하나에 사랑과 / 별 하나에 쓸쓸함과 /

      별 하나에 동경과 / 별 하나에 시와 /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윤동주, <별 헤는 밤>에서

 

   ② 해야 / 솟아라

      해야 / 솟아라

      말갛게 / 씻은 얼굴

      고운 / 해야 / 솟아라

 

      박두진, <해>에서

 

 5) 동일 시행이나 연의 반복에 의한 운율의 형성

   동일한 내용의 시행을 반복하거나 동일 내용의 연을 반복하므로써 주제를 강조하는 한편 운율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① 그 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 정지용, <향수>에서

   ⇒ 동일한 시행이 전 5연의 매 연마다 반복된다.

 

   ② 구름에 달 가듯이 / 가는 나그네 ― 박목월, <나그네>에서

   ⇒ 동일한 연이 2연과 5연에 반복된다.

 

6) 음성 상징어의 반복에 의한 운율의 형성

   우리말에 발달되어 있는 음성 상징어의 활용을 통해서도 운율을 창조할 수 있다.

 

   ① 층암 절벽상의 폭포수는 콸콸, 수정렴 드리운 듯 이 골 물이 수루루루룩, 저 골 물이 솰솰.

 

<유산가>에서

 

   ② 금잔디 사이 할미꽃도 피었고, 삐이 삐이 배 뱃종! 뱃종! 멧새들도 우는데

  

   박두진, <묘지송>에서


-----------------------------------------

 

7. 빗속으로 / 최하림

빗속으로 / 최하림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683 詩의 세계속에는 지상과 천상이 한 울타리에 있다... 2016-10-20 0 4204
1682 詩란 삶이 이승사자를 찾아가는 과정속의 울음이다... 2016-10-20 0 3969
1681 "말똥가리" 스웨덴 시인 - 토마스 트란스트뢰메르 2016-10-20 0 4749
1680 폴란드 녀류시인 - 비수아바 심보르스카 2016-10-20 0 4742
1679 고대 그리스 녀류시인 ㅡ 사포 2016-10-20 0 4892
1678 고대 그리스 맹인 음유시인 - 호메로스 2016-10-20 0 5553
1677 神들은 문학과 취미의 부문에 속하다... 2016-10-20 0 4931
1676 최초로 음악가가 "노벨문학상"을 걸머쥐다... 2016-10-19 0 5319
1675 <밥> 시모음 2016-10-19 0 3784
1674 詩를 쓸 때 꼭 지켜야 할것들아... 2016-10-19 0 4128
1673 詩란 백지위에서 나를 찾아가는 려행이다... 2016-10-18 0 4154
1672 락서도 문학적 가치를 획득할 때... 2016-10-17 0 4578
1671 詩란 낡아가는 돌문을 천만년 들부쉬는 작업이다... 2016-10-17 0 4415
1670 모든 문학예술은 련속성안에 있다... 2016-10-17 0 4257
1669 죽음은 려행이며 려행은 곧 죽음인것이다... 2016-10-17 0 4141
1668 시인으로서 살것인가 아니면 살인자로서 살것인가... 2016-10-16 0 4721
1667 한춘시인이여! 하늘나라에서 편히 쉬소서... 2016-10-16 0 4118
1666 마지막 단어라는것은 없다... 2016-10-16 0 3886
1665 무질서는 세계를 만들어낸다... 2016-10-16 0 3900
1664 동시 창작론 / 유경환 2016-10-16 0 4123
1663 동시 창작론 / 신현득 2016-10-16 0 4351
1662 미국 최후의 음유시인 - 월트 휘트먼 2016-10-16 0 5822
1661 모더니즘 대표적 영국 시인 - T.S.엘리엇 2016-10-16 0 7063
1660 詩란 언어비틀기가 오로지 아니다... 2016-10-16 0 4895
1659 詩는 태초부터 노래말, "활자감옥"속에 갇힌 문학 도망치기 2016-10-16 0 3956
1658 솔솔 동시향기 흩날리는 동시인 ㅡ 강려 2016-10-14 0 3636
1657 중국조선족 제2세대 대표적 시인 - 리상각 2016-10-14 0 4321
1656 詩에게 말을 걸어보다... 2016-10-14 0 3986
1655 음유시인 전통의 뛰여난 후계자 ㅡ 노벨문학상 주인 되다... 2016-10-14 0 4977
1654 詩란 막다른 골목에서의 정신과의 싸움이다... 2016-10-14 0 3918
1653 詩란 꽃씨앗을 도둑질하는것이다... 2016-10-14 0 3768
1652 난해한 말장난의 詩가 "최고의 현대시"인가?!... 2016-10-14 0 3883
1651 숟가락 시모음 2016-10-12 0 4170
1650 시인들이 이야기하는 詩모음 2016-10-12 0 4325
1649 명태 시모음 2016-10-12 0 6282
1648 어머니 시모음 2016-10-12 1 5455
1647 명태여, 이 시만 남았다... 2016-10-12 0 4276
1646 영남이라는 이름을 가진 이들은 많아도 詩를 쓰는 놈은 딱 하나 영남 뿐! 2016-10-12 0 3706
1645 중국 조선족 시단의 기화이석 - 한춘시론 2016-10-12 0 3671
1644 詩의 독해(讀解)는 천파장 만파장이다... 2016-10-12 0 3759
‹처음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