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작법 지화쟈...
2016년 01월 09일 05시 27분  조회:3744  추천:0  작성자: 죽림

시 창작 기초이론 - 3

 

 

 (2) 내재적 운율(內在律) : 주관적인 성질의 운율이라고 할 수 있음.

     - 자유시나 산문시에서 느끼는 내재율

 

내 마음의 어딘듯 한 편에 끝없는 江물이 흐르네.

돋쳐오르는 아침 날빛이 빤질한 은결을 도오네

가슴엔듯 눈엔듯 또 필줄엔듯

마음이 도론도론 숨어 있는곳

내 마음의 어딘듯 한 편에 끝없는 江물이 흐르네.

 

<金永郞 끝없는 江물이 흐르네>

 

이 시에서 시인의 내면적 호흡은 외면적으로 형식화한 것으로 의미를 낳게 하는 음의 연속임을 알 수 있다.

그러한 음은 음악성을 보인 언어 음색미에서 오는 운 글자나 구, 행의 길이에서 오는 율을 형성한다.

또, 현대시의 내재율은 의미율을 형성하여 의미구조의 움직임, 상징, 암시 등 정서의 움직임 등에 의해 결정된다. 그것은 내용 단락을 형성한다.

이런 점에서 현대시는 '우주현상과 인간생활의 생성과정을 강약, 명암, 생장, 소멸의 리듬으로 환원한 것이다.'

 

바람도 없는 공중에 垂直의 波紋을 내며 고요히 떨어지는 오동잎은 누구의 발자취입니까.

지리한 장마끝에 서풍에 몰려가는 무서은 검은 구름의 터진 틈으로 언뜻언뜻 보이는 푸른하늘은 누구의 얼굴입니까.

꽃도 없는 깊은 나무에 푸른 이끼를 거처서 옛 塔 위의 고요한 하늘을 스치는 알 수 없는 향기는 누구의 입김입니까.

근원은 알지도 못할 곳에서 나서 돌뿌리를 울리고 가늘게 흐르는 작은 시내는 구비구비 누구의 노래입니까.

연꽃같은 발꿈치로 가이 없는 바다를 밟고 옥 같은 손으로 끝없는 하늘을 만지면서 떨어지는 해를 곱게 단장하는 저녁놀은 누구의 詩입니까.

타고 남은 재가 다시 기름이 됩니다. 그칠줄을 모르고 타는 나의 가슴은 누구의 밤을 지키는 약한 등불입니까.

 

한용운 <알 수 없어요>

 

 

형식상 내용단락을 구분지울 수 있는 6연으로 이루어진 전연 자유시이다.

그러나, 이 시처럼 현대시는 시의 운율을 시의 내면기조 속에 내재율화하게 된다.

 

가난이야 한낱 襤褸에 지나지 않는다.

저 눈부신 햇빛 속에 갈매빛의 등성이를 드러내고 서 있는

여름 山 같은

우리들의 타고난 살결 타고난 마음씨까지야 다 가릴 수 있으랴.

靑山이 그 무릎 아래 芝蘭을 기르듯

우리는 우리 새끼들을 기를 수밖엔 없다.

목숨이 가다가다 농울쳐 휘어드는

午後의 때가 오거든

內外들이여 그대들도

더러는 앉고

더러는 차라리 그 곁에 누워라

지어미는 지애비를 물끄러미 우러러보고

지애비는 지어미의 이마라도 짚어라.

어느 가시덤풀 쑥굴헝에 놓일지라도 우리는 늘 玉돌같이 호젓이 묻혔다고 생각할 일이요

靑苔라도 자욱이 끼일 일인 것이다.

 

서정주 <무등을 보며>

 

 

위에 인용한 시는 우리도 무등산을 닮아 어려움에 굽히지 말고 생명을 지켜 가자는 뛰어난 작품인데, 이 시에는 외형상 리듬이 없는 것 같지만 속살로 흐르는 시인 특유의 맥동과 호흡이 살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이 곧 자유시에서 필요로 하는 내재율(internal rhythm)인 것이다. 客睡何曾着 秋天不肯明

 

入簾殘月影 高枕遠江聲

 

計拙無依食 途窮仗友生

 

老妻書數紙 應悉未歸情

 

 

杜甫 <客夜>

 

오언율시인 위의 시에서 시인은 偶數句 末尾字인 명, 성, 생, 정을 압운하고 있다. 절구에서는 물론 2행과 4행의 말미에 압운하게 된다.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나와 우리들의 죽음보다도

더한 냉혹하고 절실한

回想과 體驗일지도 모른다.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여러 차례의 殺戮에 복종한 生命보다도

더한 復讐와 孤獨을 아는

苦惱와 抵抗일지도 모른다.

 

박인환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박인환의 시에는 현대를 살아가는 인테리의 외로운 육성이 있다. 따라서 시의 리듬도 꾸밈이 없는 소박한 외침으로 되어 있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산꿩이 알을 품고

뻐꾹이 제철에 울건만

 

마음은 제고향 지니지 않고

머언 港口로 떠도는 구름.

 

오늘도 메끝에 홀로 오르니

흰점 꽃이 인정스레 웃고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나고

메마른 입술에 쓰디 쓰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정지용 <고향>

 

 

자유시 중에서도 김소월을 위시하여 김영랑이라든지 자연파 시인들은 음악적인 리듬을 중시하는 시를 많이 남기고 있다.

여기 인용한 정지용의 『고향』이란 시는 각련이 2행으로 구성되었고 3, 3, 4의 리듬이 변형을 이루면서 음악적인 효과를 나타낸다.

정지용은『백록담』과 같은 산문시를 많이 쓰고 즉물적인 감각을 노래한 시인이지만, 또 한편『고향』과 같은 전통적 서정을 잘 나타내었다.

 

내 마음 속 우리님의 고운 눈섭을

즈믄밤의 꿈으로 맑게 씻어서

하늘에다 옮기어 심어 놨더니

동지 섣달 나르는 매서운 새가

그걸 알고 시늉하며 비끼어 가네

 

서정주 <동천>

 

 

4 4 5의 리듬에 5행시

(혹은 7 5 조 리듬의 변형)

 

-------------------------------------------

6. 레바논 감정 / 최정례

 

레바논 감정 / 최정례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203 이육사 <<靑포도>>는 <<풋포도>> 2016-03-15 1 5401
1202 [ 이 아침 詩 한잔 드리꾸매]- 시간에 관한 짧은 노트 2016-03-15 0 3933
1201 내 인생은 처음부터 저주받았음이... 2016-03-14 0 4262
1200 詩공부시간- 詩퇴고 장소는 화장실... 2016-03-14 0 4295
1199 [ 안녕?- 따끈따끈한 아침 詩 한잔]- 풍경 2016-03-14 0 3994
1198 [안녕?- 따끈따끈한 아침 詩 한잔]- 목련꽃 우화 2016-03-14 0 4033
1197 [ 안녕?- 따끈따끈한 아침 詩 한잔]- 그림자와 길 2016-03-14 0 4110
1196 조병화 시모음 2016-03-13 0 4783
1195 <아침> 시모음 2016-03-13 0 4277
1194 이시환 산문시 감상하기 2016-03-13 0 4061
1193 詩作初心 - 시에서 상투어를 사용하지 말기 2016-03-13 0 4495
1192 조선족 시문학 관하여(2000년 5월) 2016-03-12 0 4313
1191 윤동주, 아현동 굴레방다리 옛 간이역 앞 하숙방에서 詩 쓰다 2016-03-12 1 4177
1190 윤동주의 산문이 시와 함께 빛 발하다 / 연변에서 "동주" 소설이 나오다... 2016-03-12 0 5384
1189 詩作初心 - 텅빈것과 없음을 노래하기 2016-03-12 0 4050
1188 남영전 민족토템시 파헤쳐보기 2016-03-12 0 4958
1187 詩作初心 - 詩의 大空을 위하여 2016-03-12 0 4229
1186 시평론의 바른 자세와 "30년대 수준론" / 리상각 2016-03-12 0 4325
1185 詩作初心 - 詩에서 道와 깨달음 2016-03-12 0 4122
1184 詩作初心 - 詩로 상처를 어루만지기 2016-03-12 0 4204
1183 詩作初心 - 타령조詩를 알아보기 2016-03-12 0 3977
1182 詩作初心 - 한편의 시가 태여나기까지... 2016-03-12 0 4151
1181 詩作初心 - 시에서 보이지 않는 세계를 찾기 2016-03-12 0 4260
1180 詩作初心 - 마음속 "여래"를 찾기 2016-03-12 0 4105
1179 詩作初心 - 로마로 가는 길 여러가지... 2016-03-12 0 4915
1178 詩作初心 - 시에서 비움의 미학 2016-03-12 0 4616
1177 詩作初心 - 기행시 알아보기 2016-03-12 0 4506
1176 詩作初心 - 물이미지 2016-03-12 0 4482
1175 詩作初心 - 바람이미지 2016-03-12 0 3977
1174 詩作初心 - 대지이미지 2016-03-12 0 4146
1173 詩作初心 - 광물이미지 2016-03-12 0 4265
1172 詩作初心 - 식물이미지 2016-03-12 0 4551
1171 생명의 씨를 뿌리는 시인 - 이시환 2016-03-12 1 3841
1170 詩作初心 - 시에서 생명의 표현 활유법 2016-03-12 0 4458
1169 詩作初心 - 牧人을 기다리며 / 반복의 미학적 시법 2016-03-12 1 3925
1168 산문시 몇다발 / 李箱 시모음 2016-03-12 0 4187
1167 詩作初心 - 뒤집어 소재를 찾고 행동하기 2016-03-12 0 4072
1166 [안녕?- 이 아침 따끈따끈한 詩 한잔]- 진짜 어른 2016-03-11 0 3657
1165 [안녕?- 이 아침 따끈따끈한 詩 한잔]- 인사 2016-03-11 0 3616
1164 詩作初心 - 시의 본문과 제목과의 은유관계 알기 2016-03-11 0 6126
‹처음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