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에 뭐라고 제목을 붙일가...
2016년 01월 09일 04시 45분  조회:4101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의 제목에 관하여 (강인한) 


아내가 시집올 때 자기 사진을 챙겨 가져왔다. 친구들과 학창 시절에 찍은 사진, 직장 생활을 할 때의 사진, 혼자 멋을 부리고 찍은 독사진… 사진과 함께 그 시절의 추억도 같이 묻어 있을 것이었다. 유치원 다닐 때 찍었다는 다섯 살 때의 흑백사진을 본다. 너른 마당 한가운데 작은 의자를 놓고 거기 치마 저고리를 입은 단발머리 계집애가 앉아 있다. 아마 검정 통치마에 흰 저고리일 것이다. 정면의 햇빛이 눈부신 듯 찡그린 얼굴은 동그랗다. 마치 우리 막내딸의 어린 시절 모습을 보는 것 같다. 
그 마당을 나는 알 것 같기도 하다. 변소 가는 마당 한 구석에는 벽오동나무도 한 그루 서 있고. 어렸을 때부터 결혼할 무렵까지 아내는 죽 그 집에 살았었다. 꽤 커다란 기와집이었다. 어쩌면 또래의 동무들과 함께 마당에서 공기놀이도 하였을 법하였다. 

다섯 살 난 
단발머리 계집애가 
동무랑 공깃돌을 굴리는데 

벽오동나무 넓은 
그림자가 내려와 
아이의 등을 간질이다가 
낮잠을 슬슬 덮어주었다 

삼학년 아이들의 모의수학능력시험 감독을 하는 중에 문득 이런 이미지가 떠올랐다. 여분의 답안지 뒷장에 그것을 적었다. 시의 영감이 떠오르는 건 세상이 가장 고요한 어느 한 순간이다. 길을 걸을 때, 버스를 타고 창밖에 무심히 눈길을 주고 있을 때, 혹은 이른 아침의 화장실에 앉아 있을 때. 그리고 숨소리 하나도 잡힐 듯 조용한 시험 시간의 교실에서의 어느 한 순간. 
집에 돌아와서 저녁에 그 시구를 꺼내 놓고, 거기에 벽오동나무를 배치해 보고 공깃돌 부딪는 소리도 넣어 보았다. 계절은 가을이 벽오동나무와 어울릴 거라고 생각하였다. 그렇게 해서 다음과 같은 시로 완성되었다. 썩 마음에 흡족한 시는 아니지만 더 이상 손대기가 싫었다. 

측간 가는 길을 비켜서 주춤 
키 큰 벽오동나무가 
굽어보고 있었다 

다섯 살 난 
단발머리 계집애가 
동무랑 공깃돌을 굴리는데 
하늘엔 옥돌 부딪는 소리 
푸른 가을 

벽오동 넓은 이파리 
그림자가 내려와 
아이의 등을 간질이다가 
낮잠을 슬슬 덮어주었다 

아내는 요즘 
어릴 적 벽오동나무보다 
굵은 허리로 
짧은 가을 볕 낮잠이 달다 

이 시에 뭐라고 제목을 붙일까. 참 난감하였다. '아내'라고 하지니 너무 싱거워지는 것 같았다. '세월'이라는 제목도 떠올랐다. 그것도 별로 내키는 제목이 아니었다. '아내의 가을'이 괜찮을 성싶었다. 그 제목으로 홈페이지에 시를 올렸다. 그렇지만 아무래도 찜찜한 기분이었다. 제목이 차라리 맨 아래에 붙는다면 그럴싸하겠지만. 
첫 연부터 셋째 연까지는 아내의 유년기이고, 넷째 연에 와서 아내의 현재로 반전을 이루는 데 이 시의 묘미가 있다고 나는 생각하였다. 그런데 제목부터 '아내의 가을'이라고 하면 독자들은 처음부터 그 다섯 살 난 계집애를 아내의 어린 시절로 금방 눈치챌 것 아니겠는가. '아내의 가을'은 시상의 반전이 주는 즐거움을 싹 가시게 하는 제목이었다. 
'후문(後聞)'이라는 제목이 문득 떠올랐다. 감춰진 반전도 쉬 드러나지 않고 무난한 듯 보였다. 하지만 역시 딱 들어맞는 제목은 아닌 것 같았다. '벽오동나무가 있는 풍경', '낮잠' 등 이런저런 말들을 뒤슬러보다가 결국 '벽오동나무 후문(後聞)'을 생각했고, 조사 '의'를 끼워 넣어서 '벽오동나무의 후문(後聞)'으로 시의 제목을 고쳤다. 그리고 고친 제목을 홈페이지에 수정하여 올렸다. 별것도 아닌 시인데 제목 때문에 무던히 애를 먹은 시가 이 시 '벽오동나무의 후문(後聞)'이다. 
수필이나 소설에 제목을 붙이기가 시보다 쉽다고 하면 수필가나 소설가로부터 욕을 먹을까. 시 아닌 산문에서는 단순한 소재를 제목으로 정할 수도 있고, 주제와 관련시켜 상징적인 제목도 붙일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우편배달은 두 번 벨 울린다'라는 미스터리 소설이 있었다. 소설의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어보아도 우편배달부는 그림자도 얼씬하지 않는다. 소설의 내용과는 아무 상관없이 좀 '별난' 제목이라고 생각해서 작가 제임스 케인은 그렇게 제목을 붙였다고 한다. 이게 영화로 만들어졌는데 잭 니콜슨이 주연을 맡고 나온다. 우리 나라에 수입된 그 영화가 상영되면서 당시엔 외설스런 장면이 문제가 되어 집배원들이 그 영화의 제목을 고쳐달라고 항의를 하였다. 급기야 '포스트맨은 벨을 두 번 울린다'로 영화 제목이 바뀌었다. 
제목이 없는 시도 있을까. 김영랑의 사행시(四行詩)들은 숫자로 번호만 매겨져 있지 별도의 제목이 없다. 따지고 보면 '사행시 1, 2, 3…'이 제목일 수도 있겠다.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는 사행시의 앞 구절을 편의상 제목인 양 붙여놓은 것일 뿐이다. 
그와 같이 시의 제목을 그 시의 첫 구절을 따다가 쓰는 경우도 드물지 않다. 그런 제목은 대체로 무난한 것이지 썩 좋은 제목은 아닐 것이다. 연작시의 제목 아래에 번호만 매겨진 시들도 종종 본다. 그게 수십 편이 되면 앞에 나온 시들보다 뒤쪽의 시들은 본래의 연작시 제목이 지녔던 주제와 동떨어질 수가 있다. 연작시가 아니라도 똑같은 제목을 여러 편에 붙여도 무방할 것이다. 이브 본느푸아의 시집을 보면 '돌'이라는 같은 제목의 각각 다른 시가 여러 편 들어 있는 걸 확인해 볼 수 있다. 제목이 먼저 주어지고 시를 쓰는 백일장과 마찬가지로 시보다 먼저 제목이 쓰여질 때도 있다. 습작 시절에 연습으로 나도 그런 시를 많이 써 본 경험이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23 김혁 / 김룡운 2015-09-17 0 4285
722 詩碑에 是非를 걸다... 2015-09-17 0 4562
721 조선족문학의 개념에 대하여 2015-09-17 0 4828
720 김철 / 장춘식 2015-09-17 0 5156
719 김창영 / 장춘식 2015-09-17 0 4677
718 리옥금 / 장춘식 2015-09-17 0 5092
717 고 송정환 / 장춘식 2015-09-17 0 4759
716 연변지역 시문학 뿌리 및 그 현황 2015-09-17 0 4743
715 한영남 / 장춘식 2015-09-17 0 4356
714 전춘매 / 장춘식 2015-09-17 0 4386
713 ...끝 2015-09-17 0 5800
712 ...이어서 2015-09-17 0 4674
711 ...계속 2015-09-17 0 4888
710 ...이어서 2015-09-17 0 4516
709 ...계속 2015-09-17 0 4968
708 일제 강점기 조선족 시문학 2015-09-17 0 4426
707 리육사의 <<로신추도문>> 2015-09-16 0 5993
706 당신도 디카시 시인 2015-09-12 0 4785
705 <사진> 시모음 2015-09-12 0 4954
704 디카시 모음 2015-09-12 0 4296
703 디카시란? 2015-09-10 0 4813
702 하이퍼시 - 역설의 시 2015-09-10 0 4309
701 하이퍼시 창작기법 2015-09-09 1 4647
700 하이퍼시의 목표 - 고정틀 벗어나기 2015-09-09 0 4665
699 하이퍼시 - 새롭게 디자인한 시 2015-09-09 0 4570
698 하이퍼시란? 2015-09-09 1 4305
697 글쓰기 0도 2015-09-09 0 3927
696 패러디(모방, 표절, 도작...)문학을 인정하느냐 마느냐가 "문제"면 "문제"로다... 2015-09-07 0 4435
695 ...계속 2015-09-07 0 4176
694 남영전 / 최룡관 2015-09-07 0 4199
693 한춘시평 2015-09-07 0 4150
692 토템시에 한마디 2015-09-07 0 4513
691 토템시 - 민족문화브랜드 2015-09-07 0 5418
690 감자 캐는 즐거운 농부 - 남영전시인 2015-09-07 0 4099
689 ...계속 2015-09-07 0 5880
688 남영전 / 김관웅 2015-09-07 1 4573
687 민족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2015-09-07 0 4072
686 중국 조선족 시문학의 위상(자료) 2015-09-07 0 5085
685 중국 조선족시문학 정초자 - 리욱 2015-09-07 0 4965
684 시의 가치란? 2015-09-06 0 4851
‹처음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