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읽는 방법
2016년 01월 05일 02시 20분  조회:4058  추천:0  작성자: 죽림

 


 

김춘수의 꽃이 새겨진 조각품과 뒤편의 전망대 
김춘수의 꽃이 새겨진 조각품

박목월의 '나그네' 이육사의 '광야 
[윗쪽/아래쪽]박목월의 '나그네' / 이육사의 '광야

 
시속으로
무슨 소리인지 모르는 시도 많아서 시란 어려운 것이라고 지레짐작을 하고 겁을 먹는 초심 독자들도 있다. 시도 사람이 사람에게 하는 말이고 그러한 한에서 의사소통이 잘 안 된다면 그것은 말한 사람의 책임인 경우가 많다. 무슨 소리인지 모르는 반벙어리 소리를 해놓고 못 알아듣는다고 책망하는 것은 주객이 전도된 처사이다. 다만 시의 세계에도 그 나름의 축적된 관습이나 기율 같은 것이 있기 때문에 시를 많이 읽고 친해 두는 것이 시 이해를 굳히고 넓히는 길이 된다.  

 

 

서평

유종호 교수의 시 읽기는 왜 다른가? 

“이 책은 일반 독자에서 이른바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시 읽기의 한 전범이 될 것이다. 가령 시를 어 
려워하는 사람들이나 시를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들에게는 시 이해의 길잡이가 될 것이고 또 가령 시를 
‘읽을’ 줄도 모르면서 ‘비평’을 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우선 ‘느끼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도 
넌지시 알려줄 것이다. 
잘 익은 술처럼 술술 흘러나오는 문장은 역시 오랜 기간의 집중된 지적 탐구와 세상살이의 경험과 
심미적인 능력 없이는 도달할 수 없는 경지를 보여준다. 
그리하여 이 책은 그 동안 유행하고 있는 수많은 시 감상 책들 ― 대부분 이해도 안목도 성의도 없이 
아무렇게나 쓴 단평들을 붙여서 내는 시 감상 책들과는 아주 다른 책이라는 것도 덧붙여 말해 두고 싶 
다.” 
― 정현종·시인 

시, 아는 만큼 즐겁다 

몇 년 전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유행한 적이 있었다. 스포츠 경기를 재미있게 보려면 경기 규 
칙이나 선수 기록 등에 대해 잘 알아야 하는 것처럼 그림이든 음악이든 보는 법, 듣는 법을 알게 되면, 
더 이해하기 쉽고 즐겁게 감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면 많은 사람들이 어렵다고 불평하는 시는 어떨까? “세상 범백사에 이른바 왕도王道나 지름길 
은 없는 법이다”라고 저자가 서문에 밝혔듯 시도 많이 읽는 것이 왕도다. 하지만 많이 읽기 위해서는 
읽는 법을 알아야 하지 않겠는가. 

시는 무조건 어려운 것이다? 

시란 무조건 어려운 것일까? 이 말에 저자는 “무슨 소리인지 모르는 시도 많아서 시란 어려운 것이 
라고 지레짐작을 하고 겁을 먹는 초심 독자들도 있다. 시도 사람이 사람에게 하는 말이고 그러한 한에 
서 의사소통이 잘 안 된다면 그것은 말한 사람의 책임인 경우가 많다. 무슨 소리인지 모르는 반벙어리 
소리를 해놓고 못 알아듣는다고 책망하는 것은 주객이 전도된 처사이다”라며 짐짓 동의한다. 다만 
“시의 세계에도 그 나름의 축적된 관습이나 기율 같은 것이 있기 때문에 시를 많이 읽고 친해 두는 것 
이 시 이해를 굳히고 넓히는 길이 된다”고 덧붙인다. 
한편 “읽어서 모를 데가 없으면 초심 독자들은 안도하는 한편으로 얕잡아 보는 경향이 있다. 그렇지 
만 알기 쉬운 시의 좋은 점을 알아차리는 일도 손쉬운 일은 아니다”라면서 쉬운 시를 얕잡아 보는 것 
을 경계하기도 한다. 

교과서 밖에서 시를 만나다 

“20세기 우리 시를 될수록 많은 사람들에게 친근하게 해주고 싶었다”는 저자의 바람처럼 이 책에 
는 교과서에서 이미 접해 본 친근한 시부터 젊은 독자에게 생소한 우리 쪽 고전, 김소월·박목월·김춘 
수·서정주 등 잘 알려진 시인의 경우엔 비교적 눈에 잘 띄지 않은 작품, 저자가 다른 기회에 다룬 적이 
있는 시인의 경우엔 겹치지 않은 작품 등을 선별해 총 50편의 시를 다루고 있다. 이 중 2편의 시(타고 
르·두보)를 빼고는 모두 우리 시다. 
우리가 흔히 시를 처음 대하게 되는 경로는 교과서다. “그리 어려울 것 없는 작품인데 교과서 지침 
서나 학습서에서 과도한 읽어 넣기 해석을 하는 바람에 공연히 어렵게 만들어놓고 있다. 과유불급이란 
말이 있지만 과해석도 온당한 것이 아니다. 우리는 부질없는 과잉반응을 경계하면서 작품을 일단 있는 
그대로 수용할 필요가 있다”는 저자의 말은 교과서 속의 시를 배우면서 시가 어렵다는 인식을 갖게 되 
고 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시를 멀리하는 우리에게 시 읽기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보여준다. 

스스로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보여주다 

그러면 낱낱의 시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한 편의 그림마다 보는 법이 다르듯, 시 역시 한 편 한 편 
읽는 법이 다르다. 이 책은 50편의 시를 저마다의 방식대로 읽어나가고 있다. 그렇다고 이 책이 요즘 유 
행하는 시 감상 책들처럼 친절하게 시를 읽어주거나 감상 포인트를 일일이 짚어주지는 않는다. 다만 독 
자 스스로 시를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보여줄 뿐이다. 그럼으로써 ‘발견의 즐거움’을 느껴보라고 부 
추긴다. 
“모든 훌륭한 문학 작품은 크건 작건 사람살이와 세상에 대한 독자적인 발견을 보여주고 있고 또 
언어적 세목에서 새로운 발명을 보여주고 있다. 이 새로운 발견과 발명을 알아차리고 공감하고 감탄하 
는 것이 독자의 소임이다.”(「책머리에」) 

시 이해의 길잡이 

“이 책은 일반 독자에서 이른바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시 읽기의 한 전범이 될 것이다. 가령 시를 어 
려워하는 사람들이나 시를 배우고 가르치는 사람들에게는 시 이해의 길잡이가 될 것이고 또 가령 시를 
‘읽을’ 줄도 모르면서 ‘비평’을 하려고 하는 사람들에게는 우선 ‘느끼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도 
넌지시 알려줄 것이다.”― 정현종·시인 
이 책은 시를 제대로 읽고 싶은 사람, 시를 공부하고 싶은 사람에게 꼭 필요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또, 무조건 시란 어렵다고 인식해 온 일반 독자도 이 책을 통해 쉽게 시를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저자가 
이끄는 대로 한 편 한 편씩 50편의 시 읽기를 따라가다 보면 저도 모르게 시 읽는 힘을 키울 수 있다. 
그래서 저자의 이전 책인 『시란 무엇인가』가 시 입문서라면, 이 책은 시 읽기의 실행서라고 할 만하 
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이 책에서도 저자는 ‘주체적인 시 읽기’와 ‘즐거운 시 읽기’를 강조하며, 
최종적인 시의 감상은 주체적으로 시를 즐길 수 있게 된 독자들의 몫으로 남겨놓고 있다. 남이 읽어주 
는 시가 아닌 자신만의 판단기준과 방법으로 시를 읽고 이해하여 시의 즐거움을 누렸으면 하는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443 누구룰 위하여 종은 울리나... 2016-05-19 0 4254
1442 {자료}- 김철 시인 / 김응준 시인 2016-05-18 0 7278
1441 시문학 부흥의 묘약은 어디?... 2016-05-18 0 4236
1440 이승의 버스가 씨근거리고... 새가 된 꽃이라며... 2016-05-18 0 4788
1439 [한밤중 詩와 함께]- 배꼽 2016-05-18 0 4213
1438 詩論을 알면 시쓰기 힘들다... 2016-05-17 0 4522
1437 55년만에 발굴된 민족시인 - 심련수 / ... 2016-05-16 0 5383
1436 詩人과 詩 그리고 갱신의 길 / ... 2016-05-16 0 4723
1435 詩의 언어는 과학적 언어가 아니다 2016-05-16 0 4631
1434 순화된 언어속에서 건져 올리는 낯설기라야 가치 있다 2016-05-16 0 4297
1433 [초저녘 詩 읊다]- 초승달 카페 // 송몽규를 다시 떠올리다 2016-05-16 0 4797
1432 詩의 언어는 음악적이여야... 2016-05-16 0 4731
1431 그 새벽, 시인이 서 있는 곳은,ㅡ 2016-05-16 0 4986
1430 동심이라는 이름의 마법 2016-05-16 0 5007
1429 비긋는 아침, 당신의 고해소는 어디?... 2016-05-16 0 4277
1428 교훈조의 詩는 좋은 詩가 아니다 2016-05-15 0 4951
1427 잊혀진 시인 찾아서 - 설창수 시인 2016-05-14 0 4880
1426 잊혀진 시인 찾아서 - 김종한 시인 2016-05-14 0 5572
1425 동시인 김득만 "365밤 동요동시" 출간 2016-05-14 0 4980
1424 사랑의 방정식 2016-05-14 0 4799
1423 울음상점에서 만나다... 2016-05-13 0 4483
1422 시인의 몸에 몇개의 지문이 없다... 있다... 2016-05-13 0 4869
1421 시작의 첫 줄에 마음 써라... 2016-05-12 0 4464
1420 시의 이미지는 진화한다... 2016-05-12 0 5284
1419 [안개 푹 설레이는 아침 시 한컷]- 옛 엽서 2016-05-12 0 4621
1418 왁자지껄한 평화속에서 꽃 피우라... 2016-05-11 0 4112
1417 아이는 삶으로 뛰여든다... 2016-05-10 0 4324
1416 나무들은 때로 불꽃 입술로 말한다... 2016-05-10 0 4405
1415 살구나무에 몸을 비벼본다... 2016-05-10 0 4703
1414 하이쿠 = 17자 2016-05-10 0 4512
1413 구체시 = 구상시 2016-05-10 0 4851
1412 혁명시인 - 김남주 시모음 2016-05-07 1 5121
1411 민족시인- 김남주를 알아보기 2016-05-07 0 5577
1410 [한밤중 詩 읊다]- 우리 엄니 2016-05-07 0 4881
1409 눈(안眼)인가 눈(설雪)인가... 2016-05-07 0 4578
1408 {이것도 詩라고 하는데...} 5월이 시작되다... 2016-05-07 0 4317
1407 詩人은 언어의 마술사이다... 2016-05-06 0 4293
1406 詩人은 현대의 돈키호테이다... 2016-05-06 0 4660
1405 詩人은 쉽게 잠들지 못한다... 2016-05-06 0 6927
1404 詩人은 골목길을 좋아한다... 2016-05-06 0 5638
‹처음  이전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