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난해시와 김춘수
2016년 01월 01일 19시 24분  조회:4625  추천:0  작성자: 죽림

질문///

저는 나름 상위권 학생으로 나름 언어영역을 좋아하기도 하는 학생입니다.

논리를 찾아 내는 걸 좋아하고 분석 하는걸 좋아하기 때문이죠.

그런 저를 괴롭히는 최대의 난제가 생겼습니다.

바로 시입니다. 저는 독서량도 상당히 많았고 문학을 좋아하며 나름 시도 많이 읽었습니다.

웬만한 시는 얼추 해석할 줄 알며 해석까진 안 돼도 분위기라든지 화자 상황 정서 어조 태도 정도는 느낄 수 있는 수준입니다. 시의 표현 기법과 수사법 등도 익숙한 편이고요.

그런데 정말 짜증나게 만드는 것이 뭐냐면 이른바 힌트가 거의 드러나지 않는 시 있죠? 이른바 진리탐구에 관한 시들. 인생에 관한시보다 어떤면에서 더 어렵더군요.

 

예를 들어 김춘수의

 

 

꽃을 위한 서시

 

나는 시방 위험한 짐승이다.

나의 손이 닿으면 너는

미지의 까마득한 어둠이 된다.

 

존재의 흔들리는 가지 끝에서

너는 이름도 없이 피었다 진다.

 

눈시울에 젖어드는 이 무명의 어둠에

추억의 한 접시 불을 밝히고

나는 한밤내 운다.

 

나의 울음은 차츰 아닌밤 돌개바람이 되어

탑을 흔들다가

돌에까지 스미면 금이 될 것이다.

 

...얼굴을 가린 나의 신부여.

 

 

 

이 시를 보면... 화자가 나란건 알겠는데 도무지 상황 태도 정서는 알 길이 없군요-_-;;물론 제가 못찾는 건지도 모릅니다만.

선택지를 보니 뜬금없이 존재의 본질을 인식하지 못하는 안타까움이 나오더군요. 대체 어디서 그런 분위기나 뉘앙스를 찾을 수 있는 것인가요? 존재라는 단어는 '존재의 흔들리는 가지' 라는 부분에서만 한 번 나왔을뿐인데 이게 어떤 연관성을 가지게 되는 거죠?

저는 정말 미치겠습니다. 언어영역 항상 다른 걸 다 맞추고 시에서만 2~3개씩 틀립니다.

정말 대기권 돌파의 실력인 친구에게 물어봤습니다. 시는 대체 어떻게 공부하느냐고..

그 친구가 딱 하는 말이 뭐냐면.

 

"시란 건 원래 젖같은 거야. 솔직히 이런 걸 똑같은 기준을 두고 해석한다는 게 미친짓이지. 사실 시 따위는 수능 같이 공정한 변별력을 가리는데 나와선 안되는 장르야. 그래도 내는 건 교수들 마음이니 어쩔 수 없고 점수는 받아야하기에 난 그냥 시는 보이는대로 닥치는 대로 다 분석해서 외워버리고 있어." 이러더군요.

 

저는 그말을 듣고 나름 충격을 받았습니다. 일단 저는 외우는건 질색이거든요 -_-;정말 시라는걸 해석하는 올바른 논리구조는 없는 것일까요?

 

 

답변자///

 

 

현대시가 독자들에게 난해성을 안고,  접근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시가 본질상 머리로 이해하는 글이라기보다는 가슴으로 느껴야 하는 글이라고 하는 점에서 본다면, 오늘의 시가  그 본질에서 멀어져 있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시를 어떤 수학적 공식과도 같은 등식으로 이해 하려고 한다면, 그 해답은 찾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 난해성으로 유명한, 이상의 시나, 님이 지적하신 김춘수 시인의 꽃을 위한 서시, 또한 그러합니다. 독자의 가슴에 감동으로 와 닿으려면, 먼저 머리에서부터 쉽게 이해될 수 있는 시가 되어져야 하기 때문입니다.

 

시가 난해한 시로 둔갑한 것은 현대에 이르러서부터 입니다. 시는 대중적 비위를 맟추려 아부해서도 아니되고, 독자로부터, 홀로 고립되어서도 아니 된다고 생각합니다. 
김춘수 시인 자신은, 자기의 난해시에 대해서 말하기를, 분석하려 들지말고 그냥 그대로 가슴으로 느끼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시가 가슴에 와 닿기 이전에, 머리를 먼저 통과 해야 한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합니다. 
앞으로 현대시가 지향해 나아가야할 방향이, 보다  더 , 독자의 가슴에 쉬운 이해와 감동의 울림으로 다가올 수 있는 시로, 변신해 가야할 것입니다.

============================================================================================
 

 

난해시란 쉽게 말하자면 일반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시이지요.

예를 들면 이상의 '오감도'와 같은 시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는 너무나도 난해하고 낯설어서 신문 연재당시 독자들의 항의에 의해 연제가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시인들이 시를 이렇게 난해하게 만드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가장 대표적인 이유는 '형식의 타파'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험정신이 강한 시인들이 기존의 모든 형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기를 원하는 바람에서
이러한 시들이 태어난 것이라고 볼 수 있지요.

 

또 한가지 이유는 '낯설게 하기 수법'으로서 사람들이 시의 내용을 머리가 아닌 마음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돕는 것이지요...

[출처] 난해시|작성자 헌책

...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163 볼세비키/ 정세봉(제목 클릭하기... 訪問文章 클릭해 보기...) 2024-07-13 0 967
2162 프랑스 시인 - 기욤 아폴리네르 2021-01-27 0 4343
2161 미국 시인 -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2021-01-26 0 2966
2160 미국 시인 - 월러스 스티븐스 2021-01-26 0 3005
2159 미국 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21-01-26 0 2892
2158 미국 시인 - 엘리엇 2021-01-26 0 3406
2157 미국 시인 - 에즈라 파운드 2021-01-26 0 3181
2156 미국 시인 - 엘리자베스 비숍, 에이드리언 리치 2021-01-26 0 3119
2155 미국 시인 - 제임스 디키 2021-01-26 0 2881
2154 미국 시인 - 필립 레빈 2021-01-26 0 2978
2153 미국 시인 - 리처드 휴고 2021-01-26 0 2699
2152 미국 시인 - 시어도어 레트키 2021-01-26 0 2945
2151 미국 시인 - 존 베리먼 2021-01-26 0 3096
2150 미국 시인 - 앤 섹스턴 2021-01-26 0 3187
2149 미국 시인 - 실비아 플라스 2021-01-26 0 2693
2148 미국 시인 - 칼 샌드버그 2021-01-26 0 3180
2147 시적 개성 목소리의 적임자 - 글릭; 노벨문학상 문턱 넘다... 2020-10-09 0 3138
2146 고대 음유시인 - 호메로스 2020-03-09 0 4474
2145 프랑스 시인 - 폴 엘뤼아르 2020-03-01 0 4530
2144 한국 시인, 생명운동가 - 김지하 2020-01-23 0 4263
2143 한국 최초 시집... 2019-12-16 0 4417
2142 조선 후기 시인 - 김택영 2019-12-06 0 4299
2141 토속적, 향토적, 민족적 시인 - 백석 2019-11-18 0 6597
2140 한국 최초의 서사시 시인 - 김동환 2019-10-30 0 4206
2139 한국 순수시 시인 - 김영랑 2019-09-29 0 6284
2138 [시인과 시대] - 문둥이 시인 2019-08-07 0 4856
2137 일본 시인 - 미야자와겐지 2018-12-18 0 5014
2136 "쓰레기 아저씨" = "환경미화원 시인" 2018-11-15 0 4614
2135 [매일 윤동주 시 한수 공부하기] - 고추밭 2018-08-20 0 4903
2134 동시의 생명선은 어디에 있는가... 2018-07-09 2 4094
2133 인도 시인 - 나이두(윤동주 흠모한 시인) 2018-07-09 0 4825
2132 저항시인, 민족시인, "제2의 윤동주" - 심련수 2018-05-28 0 5714
2131 페르시아 시인 - 잘랄 앗 딘 알 루미 2018-05-04 0 5994
2130 이탈리아 시인 - 에우제니오 몬탈레 2018-04-26 0 5998
2129 프랑스 시인 - 보들레르 2018-04-19 0 7402
2128 윤동주가 숭배했던 시인 백석 2018-04-05 0 5869
2127 일본 동요시인 巨星 - 가네코 미스즈 2018-03-31 0 5869
2126 영국 시인 - 월리엄 블레이크 2018-03-22 0 3852
2125 오스트리아 시인 - 잉게보르크 바하만 2018-03-06 0 4945
2124 미국 시인 - 아치볼드 매클리시 2018-02-22 0 5623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