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평화통일> 시모음
2015년 10월 22일 21시 39분  조회:5285  추천:0  작성자: 죽림
[ 2015년 11월 06일 10시 44분 ]

 

 

중윁변경지역 지뢰제거작업 시작, 운남성 마관현에서...

========================================== 
[ 2015년 11월 06일 10시 44분 ]

 

 

중윁변경지역 지뢰제거작업에 전문지뢰제거용 로봇까지 동원...
=============================================================

<평화통일 시 모음> 

+ 작은 평화 

어항 앞에 있으면 
우리도 평화롭게 노니는 
금붕어가 된다. 
화려한 말보다는 
아주 작은 말로 
사랑하는 마음을 보면 
우리도 행복하게 된다. 
믿음이 있는 말을 주고받는 
정직한 세상에서 
우리도 살고 싶다. 
금빛 지느러미처럼 
아름답고 밝은 마음으로 
미움 없이 입 맞추며 
우리도 살고 싶다.
(권달웅·시인, 1944-)


+ 평화 
  
텅 빈 겨울 숲 
나도 한 그루 나무로 서서 
가만히 기도하고 싶다.
(김영월·시인, 1948-)


+ 평화

단칸짜리 방이나마 도배를 하고 
방바닥에 큰대()자로 누워 
천장을 바라보던 날이여, 
이렇게 마음 편할 줄이야 
평화가 거기 숨어 있을 줄이야 
(김형영·시인, 1945-)


+ 평화롭게 

하루를 살아도 
온 세상이 평화롭게 
이틀을 살더라도 
사흘을 살더라도 평화롭게 

그런 날들이 
그 날들이 
영원토록 평화롭게 
(김종삼·시인, 1921-1984) 


+ 봄날 아침

때는 봄
아침
일곱 시
이슬 젖은 언덕 기슭에서
종달새 노래하며 하늘에 날고
달팽이 가시나무 위를 기어가고
하나님은 하늘에 계시니,
온 누리가 평화롭구나
(로버트 브라우닝·영국 시인, 1812-1889)


+ 평화로 가는 길은

이 둥근 세계에
평화를 주십사고 기도하지만
가시에 찔려 피나는 아픔은
날로 더해 갑니다.

평화로 가는 길은
왜 이리 먼가요.

얼마나 더 어둡게 부서져야
한줄기 빛을 볼 수 있는 건가요.

멀고도 가까운 나의 이웃에게
가깝고도 먼 내 안의 나에게
맑고 깊고 넓은 평화가 흘러
마침내 하나로 만나기를
간절히 기도하며 울겠습니다.

얼마나 더 낮아지고 선해져야
평화의 열매 하나 얻을지
오늘은 꼭 일러주시면 합니다.
(이해인·수녀 시인, 1945-)


+ 이 평화를 깨는 것도 흰 눈이 하게 하라 

흰 눈이  내리는 흰 눈의 나라는 
흰 눈 자체만으로 하얗다, 고요하다, 가득하다 
그 누구도 한발자국도 들어서지 못한다 
한발자국도 
하얗다, 고요하다, 평화스럽다 
이 고요를 깨는 것, 내리는 흰 눈이고 
이 평화를 깨는 것,  내리는 흰 눈이고 
흰 눈이 내리는 흰 눈의 나라는 흰 눈이 하게 하라 
흰 눈이 하게 하라 
한발자국도 들어서지 못한다 
흰 눈이 지우리라.
(신현정·시인, 1948-)


+ 손에 강 같은 평화 

사람 손가락이 열 개인 까닭에 
십진법이 생겼다고 한다 
이 손이 소처럼 뭉툭했다면 
번잡한 삶 얼마나 단순하고 평화로웠겠는가 
새의 날개 같았다면 
가볍게 떨리는 마음으로도 
얼마나 멀리 날아갈 수 있었을까 

내 손은 나날이 내게서 멀어져 간다 
낡은 도자기처럼 은은하게 잔금이 깔리고 
푸르렀던 힘줄도 
스웨터에서 풀려 나온 실처럼 느슨해져 
세상을 움켜쥐기보다 
누구나 손잡기 쉽게 되었다 

이 손 강 같았으면 
남원 어느 샛강처럼 
둔덕을 끼고 느리게 돌아가는 강 같았으면 
신발 벗어들고 생을 건너다 
흰 발등 내려다보며 아득해진 마음이여 
그 마음 쓰다듬는 얕은 강이여 
내 손 그런 강 같았으면 
(장경린·시인, 서울 출생)


+ 김치찌개 평화론

김치찌개 하나 둘러앉아
저녁 식사를 하는 식구들의 모습 속에는
하루의 피곤과 침침한 불빛을 넘어서는
어떤 보이지 않는 힘 같은 것이 들어 있다
실한 비계 한 점 아들의 숟가락에 올려 주며
야근 준비는 다 되었니 어머니가 묻고
아버지가 고춧잎을 닮은 딸아이에게
오늘 학교에서 뭘 배웠지 그렇게 얘기할 때
이 따뜻하고 푹신한 서정의 힘 앞에서
어둠은 우리들의 마음과 함께 흔들린다
이 소박한 한국의 저녁 시간이 우리는 좋다
거기에는 부패와 좌절과
거짓 화해와 광란하는 십자가와 덥석몰이를 당한 이웃의 신음이 없다
38선도 DMZ도 사령관도 친일파도
염병할, 시래기 한 가닥만 못한
이데올로기의 끝없는 포성도 없다
식탁 위에 시든 김치 고추무릅 동치미 대접 하나
식구들은 눈과 가슴으로 오래 이야기하고
그러한 밤 십자가에 매달린
한 유대 사내의 웃는 얼굴이 점점 커지면서
끝내는 식구들의 웃는 얼굴과 겹쳐졌다
(곽재구·시인, 1954-)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283 [문단소식]- 중국조선족 두분 문인 駿馬를 타고 질풍하고... 2024-09-09 0 2006
2282 중국조선족시인 백진숙 篇 2024-09-09 0 2106
2281 중국조선족시인 리해룡 篇 2024-09-09 0 1903
2280 중국조선족시인 박성군 篇 2024-08-31 0 1703
2279 중국조선족시인 리선호 篇 2024-08-31 0 1827
2278 중국조선족시인 리수길 篇 2024-08-31 0 1813
2277 중국조선족시인 리선근 篇 2024-08-31 0 1756
2276 중국조선족시인 석화 篇 2024-08-31 0 1821
2275 중국조선족시인 김학송 篇 2024-08-31 0 1818
2274 중국조선족시인 김화숙 篇 2024-08-31 0 1982
2273 중국조선족시인 박춘월 篇 2024-08-31 0 1887
2272 중국조선족시인 최강 篇 2024-08-31 0 1730
2271 중국조선족시인 김승광 篇 2024-08-31 0 1842
2270 중국조선족시인 김국철 篇 2024-08-31 0 1871
2269 중국조선족시인 박정근 篇 2024-08-31 0 1907
2268 중국조선족시인 최화길 篇 2024-08-31 0 1929
2267 중국조선족시인 오정묵 篇 2024-08-31 0 1576
2266 중국조선족시인 심정호 篇 2024-08-31 0 1708
2265 중국조선족시인 신현철 篇 2024-08-31 0 1833
2264 중국조선족시인 리기춘 篇 2024-08-31 0 1636
2263 중국조선족시인 김동활 篇 2024-08-31 0 1732
2262 중국조선족시인 김상봉 篇 2024-08-31 0 1698
2261 중국조선족시인 허도남 篇 2024-08-31 0 1841
2260 중국조선족시인 리행복 篇 2024-08-31 0 1674
2259 중국조선족시인 전광국 篇 2024-08-31 0 1744
2258 중국조선족시인 신철호 篇 2024-08-31 0 1856
2257 중국조선족시인 리홍철 篇 2024-08-31 0 1741
2256 중국조선족시인 남철심 篇 2024-08-31 0 1876
2255 중국조선족시인 황정인 篇 2024-08-31 0 1599
2254 중국조선족시인 려순희 篇 2024-08-31 0 1574
2253 중국조선족시인 지영호 篇 2024-08-31 0 1524
2252 중국조선족시인 홍순범 篇 2024-08-31 0 1720
2251 중국조선족시인 박문봉 篇 2024-08-31 0 1690
2250 중국조선족시인 변창렬 篇 2024-08-31 0 1644
2249 중국조선족시인 신현산 篇 2024-08-31 0 1666
2248 중국조선족시인 박동춘 篇 2024-08-30 0 1611
2247 중국조선족시인 허동혁 篇 2024-08-30 0 1858
2246 중국조선족시인 신창수 篇 2024-08-30 0 1747
2245 중국조선족시인 남영전 篇 2024-08-29 0 1623
2244 중국조선족시인 김학천 篇 2024-08-29 0 1691
‹처음  이전 1 2 3 4 5 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