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두 시인의 마음속 "고향"은...?
2015년 07월 04일 23시 02분  조회:4469  추천:0  작성자: 죽림
오픈지식
백석 "고향"과 정지용 "고향"


 * 백석의 "고향"


나는 북관(北關)에 혼자 앓아 누워서 
어느 아침 의원(醫員)을 뵈이었다. 
의원은 여래(如來) 같은 상을 하고 관공(關公)의 수염을 드리워서 
먼 옛적 어느 나라 신선 같은데 
새끼손톱 길게 돋은 손을 내어 
묵묵하니 한참 맥을 짚더니 
문득 물어 고향이 어데냐 한다 
평안도(平安道) 정주(定州)라는 곳이라 한즉 
그러면 아무개씨(氏) 고향이란다. 
그러면 아무개씨(氏)를 아느냐 한즉 
의원은 빙긋이 웃음을 띠고 
막역지간(莫逆之間)이라며 수염을 쓸는다. 
나는 아버지로 섬기는 이라 한즉 
의원은 또다시 넌즈시 웃고 
말없이 팔을 잡아 맥을 보는데 
손길은 따스하고 부드러워 
고향도 아버지도 아버지의 친구도 다 있었다.


* 정지용의 "고향"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

산꿩이 알을 품고 
뻐꾸기 제철에 울건만,

마음은 제 고향 지니지 않고 
머언 항구(港口)로 떠도는 구름.

오늘도 뫼끝에 홀로 오르니 
흰 점꽃이 인정스레 웃고,

어린 시절에 불던 풀피리 소리 아니냐고 
메마른 입술에 쓰디쓰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하늘만이 높푸르구나.


- 해설 -


백석의 시 '고향'에서, 시적 자아는 낯선 타향에서의 힘든 삶에서 병을 얻어 의원을 찾는다. 우연히 의원으로부터 고향이 어디냐는 물음을 받고 , 시적 자아는 자신의 부친과 의원의 부친이 막역한 친구임을 확인한다. 낯선 타향에서 외로운 신세에 놓여 있던 시적 자아는 그 순간 잊고 있던 고향을 떠올린다. 순간 고향은 자신의 출생지이며 아버지를 비롯한 가족이 있는 곳일 뿐만 아니라, 공동체적 삶의 유대로 묶인 상징적인 공간으로 확대된다.

한편,
정지용의 시 '고향'에서, 고향은 시적 자아의 의식 속에 존재하는 관념적 공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 곳은 현실적 공간으로서의 고향과 대비되면서 시적 자아의 의식 속에서 상실되기에 이른다. 이 순간 현실 속의 힘든 삶을 극복하는 계기로서 시적 자아의 현재와 과거를 이어 주던 관념적 공간으로서의 고향은, 현실과의 단절을 겪고 기억 속의 공간으로 후퇴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03 <어머니> 시모음 2015-06-17 0 5678
602 <냉이> 시모음 2015-06-17 0 4858
601 <아버지> 시모음 2015-06-17 0 5177
600 칭키스칸 되다 2015-06-17 0 4311
599 다시 이육사를 읽다.... 2015-06-17 0 5281
598 애송시 6 2015-06-16 0 6445
597 애송시 5 2015-06-16 0 5985
596 애송시 4 2015-06-16 0 5132
595 애송시 3 2015-06-16 0 5389
594 애송시 2 2015-06-16 0 6320
593 애송시 1 2015-06-16 0 10882
592 꽃, 상징사전 2015-06-16 0 4875
591 시와 방언 2015-06-15 1 4925
590 "ㄱ" 시모음 2015-06-15 0 7332
589 "ㄴ" 시모음 2015-06-15 0 6525
588 "ㄷ" 시모음 2015-06-15 0 6400
587 "ㄹ" 시모음 2015-06-15 0 4434
586 "ㅁ" 시모음 2015-06-15 0 5840
585 "ㅂ" 시모음 2015-06-15 0 7936
584 "ㅅ" 시모음 2015-06-15 0 9278
583 "ㅇ" 시모음 2015-06-15 0 10406
582 "ㅈ" 시모음 2015-06-15 0 6693
581 "ㅎ" 시모음 2015-06-15 0 6050
580 "ㅌ" 시모음 2015-06-15 0 4106
579 "ㅊ" 시모음 2015-06-15 0 5579
578 "ㅋ" 시모음 2015-06-15 0 4751
577 김용택 시 2015-06-15 0 4709
576 짧은 시 모음 2015-06-15 1 19140
575 오늘도 시공부하기 2015-06-15 0 5051
574 시공부하기 2015-06-15 0 5674
573 시제목이 긴 인상적인 시, 그리고 그 외 시 2015-06-15 0 4599
572 "ㅍ" 시모음, 그 외 시... 2015-06-15 0 5528
571 <성묘> 시모음 2015-06-14 0 3896
570 시조쓰기 외우기 추고하기 2015-06-14 0 4462
569 墨梅의 香氣 2015-06-12 0 4578
568 1월 ~ 12월 詩 2015-06-12 0 4511
567 현대시조의 길 2015-06-12 0 4260
566 시적 기법 2015-06-12 0 4304
565 민중시에 대하여 2015-06-12 0 4063
564 시의 현실 참여 2015-06-12 0 4050
‹처음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