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김용택 시
2015년 06월 15일 22시 02분  조회:4750  추천:0  작성자: 죽림
 
  • 섬진강 1                                         

     

    가문 섬진강을 따라가며 보라 
    퍼가도 퍼가도 전라도 실핏줄 같은 
    개울물들이 끊기지 않고 모여 흐르며 
    해 저물면 저무는 강변에 
    숯불 같은 자운영꽃 머리에 이어주며 
    지도에도 없는 동네 강변 
    식물도감에도 없는 뜰에 
    어둠을 끌어다 죽이며 
    그을린 이마 훤하게 
    꽃등도 달아준다 
    흐르다 흐르다 목메이면 
    영산강으로 가는 물줄기를 불러 
    뼈 으스러지게 그리워 얼싸안고 
    지리산 뭉툭한 허리를 감고 돌아가는 
    섬진강을 따라가며 보라 
    섬진강물이 어디 몇 놈이 달려들어 
    퍼낸다고 마를 강물이더냐고 
    지리산이 저문 강물에 얼굴을 씻고 
    일어서서 껄껄 웃으며 
    무등산을 보며 그렇지 않느냐고 물어보면 
    노을 띈 무등산이 그렇다고 훤한 이마 끄덕이는 
    고갯짓을 바라보며 
    저무는 섬진강을 따라가며 보자 
    어디 몇몇 애비 없는 후레자식들이 
    퍼간다고 마를 강물인가를

      

     

    사람들은 왜 모를까                                  

     

    이별은 손 끝에 있고 
    서러움은 먼데서 온다 
    강 언덕 풀잎들이 돋아나며 
    아침 햇살에 핏줄이 일어선다 
    마른 풀잎들은 더 깊이 숨을 쉬고 
    아침 산그늘 속에 
    산벗꽃은 피어서 희다 
    누가 알랴 사람마다 
    누구도 닿지 않은 고독이 있다는 것을 
    돌아앉은 산들은 외롭고 
    마주 보는 산은 흰 이마가 서럽다 
    아픈 데서 피지 않은 꽃이 어디 있으랴 
    슬픔은 손 끝에 닿지만 
    고통은 천천히 꽃처럼 피어난다 
    저문 산 아래 
    쓸쓸히 서 있는 사람아 
    뒤로 오는 여인이 더 다정하듯이 
    그리운 것들은 다 산 뒤에 있다 
    사람들은 왜 모를까 봄이 되면 
    손에 닿지 않는 것들이 꽃이 된다는 것을


      

    콩, 너는 죽었다                                 

     

    콩타작을 하였다
    콩들이 마당으로 콩콩 뛰어나와
    또르르또르르 굴러간다
    콩 잡아라 콩 잡아라
    굴러가는 저 콩잡아라
    콩 잡으러 가는데
    어, 어, 저 콩 좀 봐라
    구멍으로 쏙 들어가네

     

    콩, 너는 죽었다

     


     참 좋은 당신                                      

     

    어느 봄 날

    당신의 사랑으로

    응달지던 내 뒤란에

    햇빛이 들이치는 기쁨을 나는 보았습니다.

    어둠속에서 사랑의 불가로

    나를 가만히 불러내신 당신은

    어둠을 건너온 자만이 만들 수 있는

    밝고 환한 빛으로 내 앞에 서서

    들꽃처럼 깨끗하게 웃었지요.

    아,

    생각만 해도

    좋은

    당신

     

     

    달이 떴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                

     

    달이 떴다고 전화를 주시다니요 
    이밤 너무나 신나고 근사해요 
    내 마음에도 생전 처음 보는 
    환한 달이 떠오르고 
    산 아래 작은 마을이 그려집니다. 
    간절한 이 그리움들을, 
    사무쳐 오는 이 연정들을 
    달빛에 실어 
    당신께 보냅니다 
    세상에, 
    강변에 달빛이 곱다고 
    전화를 다 주시다니요. 
    흐르는 물 어디쯤 눈부시게 부서지는 소리 
    문득 들려옵니다.

     

     

     

    사 랑                                                    

     

    당신과 헤어지고 보낸
    지난 몇 개월은 
    어디다 마음 둘 데 없이
    몹시 괴로운 시간이었습니다.
    현실에서 가능할 수 있는 것들을
    현실에서 해결하지 못하는 우리 두 마음이 
    답답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당신의 입장으로 돌아가
    생각해보고 있습니다.

     

    받아들일 건 받아들이고
    잊을 것은 잊어야겠지요.
    그래도 마음속의 아픔은
    어찌하지 못합니다.
    계절이 옮겨가고 있듯이
    제 마음도 어디론가 옮겨가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추운 겨울의 끝에서 희망의 파란 봄이
    우리 몰래 우리 세상에 오듯이
    우리들의 보리들이 새파래지고
    어디선가 또
    새 풀이 돋겠지요.
    이제 생각해보면
    당신도 이 세상 하고많은 사람들 중의
    한 사람이었습니다.

     

    당신을 잊으려 노력한
    지난 몇 개월 동안
    아픔은 컸으나
    참된 아픔으로
    세상이 더 넓어져
    세상만사가 다 보이고
    사람들의 몸짓 하나하나가 다 이뻐 보이고
    소중하게 다가오며
    내가 많이도
    세상을 살아낸
    어른이 된 것 같습니다.

     

    당신과 만남으로 하여
    세상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모두 나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을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을
    고맙게 배웠습니다.
    당신의 마음을 애틋이 사랑하듯
    사람 사는 세상을 사랑합니다.

     

    길가에 풀꽃 하나만 봐도
    당신으로 이어지던 날들과
    당신의 어깨에
    내 머리를 얹은 어느 날
    잔잔한 바다로 지는 해와 함께
    우리 둘인 참 좋았습니다.
    이 봄은 따로따로 봄이겠지요
    그러나 다 내 조국 산천의 아픈
    한 봄입니다.
    행복하시길 빕니다.
    안녕.

     

     

    별 하나                                           

     

    당신이 어두우시면

    저도 어두워요

    당신이 밝으시면

    저도 밝아요

    언제 어느 때 어느 곳에서 있는 내게

    당신은 닿아 있으니까요

    힘 내시어요

    나는 힘 없지만

    내 사랑은 힘 있으리라 믿어요

    내 귀한 당신께

    햇살 가득하시길

    당신 발걸음 힘차고 날래시길 빌어드려요

    그러면서

    그러시면서

    언제나 당신 따르는 별 하나 있는 줄 생각해 내시어

    가끔가끔

    하늘 쳐다보시어요

    거기 나는 까만 하늘에

    그냥 깜박거릴께요


      

    들 국                                             


    산마다 단풍만 저리 고우면 뭐헌다요
    뭐헌다요 산 아래
    물빛만 저리 고우면 뭐헌다요
    산 너머, 저 산 너머로
    산그늘도 다 도망가불고
    산 아래 집 뒤안
    하얀 억새꽃 하얀 손짓도
    당신 안 오는데 무슨 헛짓이다요
    저런 것들이 다 뭔 소용이다요
    뭔 소용이다요, 어둔 산머리
    초생달만 그대 얼굴같이 걸리면 뭐헌다요
    마른 지푸라기 같은 내 마음에
    허연 서리만 끼어 가고
    저 달 금방 져불면
    세상 길 다 막혀 막막한 어둠 천지일 턴디
    병신같이, 바보 천치같이
    이 가을 다 가도록
    서리밭에 하얀 들국으로 피어 있으면
    뭐헌다요, 뭔 소용이다요.

     

     

    누이야 날이 저문다                               
     

    누이야 날이 저문다
    저뭄을 따라가며
    소리없이 저물어 가는 강물을 바라보아라
    풀꽃 한 송이가 쓸쓸히 웃으며
    배고픈 마음을 기대오리라
    그러면 다정히 내려다보며, 오 너는 눈이 젖어 있구나


    --배가 고파
    --바람 때문이야
    --바람이 없는데?
    --아냐, 우린 바람을 생각했어


    해는 지는데 건너지 못할 강물은 넓어져
    오빠는 또 거기서 머리 흔들며 잦아지는구나
    아마 선명한 무명꽃으로
    피를 토하며, 토한 피 물에 어린다


    누이야 저뭄의 끝은 언제나 물가였다
    배고픈 허기로 저문 물을 바라보면 안다
    밥으로 배 채워지지 않은 우리들의 멀고 먼 허기를


    누이야
    가문 가슴 같은 강물에 풀꽃 몇 송이를 띄우고
    나는 어둑어둑 돌아간다
    밤이 저렇게 넉넉하게 오는데
    부릴 수 없는 잠을 지고
    누이야, 잠 없는 밤이 그렇게 날마다 왔다

     

     

     

    집                                                 
     

    외딴집,
    외딴집이라고
    왼손으로 쓰고
    바른손으로 고쳤다


    뒤뚱거리며 가는 가는 어깨를 가뒀다


    불 하나 끄고
    불 하나 달았다


    가물가물 눈이 내렸다

     

      

    슬픔                                                      
     

    외딴 곳
    집이 없었다
    짧은 겨울날이
    침침했다
    어디 울 곳이
    없었다

  • 꽃 한 송이

     


    간절하면 가 닿으리
    너는 내 생각의 끝에 아슬아슬 서 있으니
    열렬한 것들은 다 꽃이 되리
    이 세상을 다 삼키고
    이 세상 끝에 새로 핀 꽃 한 송이

     

     

     

    별 빛

     

    당신 생각으로 
    당신이 내 마음에 가득 차야 
    하늘에 별들이 
    저렇게 빛난다는 것을 
    당신 없는 지금, 
    지금에야 알았습니다. 
     

     


    그리움


    해질녘에 
    당신이 그립습니다. 
    잠자리 들 때 
    당신이 또 그립습니다. 

     

     



    그대, 거침없는 사랑


    아무도 막지 못할 
    새벽처럼 
    거침없이 달려오는 
    그대 앞에서 
    나는 
    꼼짝 못하는 
    한떨기 들꽃으로 피어납니다 
    몰라요 몰라 
    나는 몰라요 
    캄캄하게 
    꽃 핍니다. 
     

     


    늘 보고 싶어요


    오늘 
    가을산과 들녘과 물을 보고 왔습니다. 
    산골 깊은 곳 
    작은 마을 지나고 
    작은 개울들 건널 때 
    당신 생각 간절했습니다

     

    참 좋은 당신 

     

     

    어느 봄 날 당신의 사랑으로 응달지던 내 뒤란에
    햇빛이 들이치는 기쁨을 나는 보았습니다
    어둠 속에서 사랑의 불가로 나를 가만히 불러내신 당신은
    어둠을 건너온 자만이 만들 수 있는 밝고 환한 빛으로 
    내 앞에 서서 들꽃처럼 깨끗하게 웃었지요
    아,
    생각만해도
    참.좋.은.당.신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말

     


    당신...
    세상에서 그보다 더 아름다울 수 있는
    그보다 더 따뜻할 수 있는
    그보다 더 빛나는 말이 있을 리 없겠지요
    당신...

     

     

     

     

     

    빗장 

     

     

    내 마음이 당신을 향해 언제 열렸는지
    시립기만 합니다
    밤이면 밤마다 당신을 향해 열린 마음 닫아보려고 
    찬바람 속으로 나가지만 빗장 걸지 못하고
    시린 바람만 가득 안고 돌아옵니다

     

     

     

     

     

    내게 당신은 

     


    사랑이 어디 그리 쉬운 일이던가요
    이 세상 하고 많은 사람 중에 내 사랑을 이끌어낼 사람
    어디 있을라구요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523 현대시 작법 2015-05-20 0 6236
522 시를 쉽게 쓰는 요령...하지만 쉽지만 않은 요령 2015-05-20 0 4847
521 기호 언어를 통한 동시 쓰기 2015-05-20 0 6010
520 무엇을 쓸려면 진정 뼈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2015-05-20 0 5351
519 동시조 창작에서 도움되는 동시조 례문 모음 2015-05-20 0 5078
518 동시조, 그 아름다운 이름으로 일어나라 2015-05-20 0 4460
517 동시조를 잘 쓰려면 2015-05-20 0 5580
516 <사랑법> 시모음 2015-05-19 1 4325
515 현대시 이렇게 쓰자 2015-05-18 0 5041
514 詩佛 - 王維 2015-05-18 0 4587
513 李箱을 다시 떠올리다 2015-05-17 0 6744
512 산문은 환유적으로... 시는 은유적으로... 2015-05-17 0 4604
511 현대시와 현대시조에 관하여 2015-05-17 0 4490
510 시와 시인 명언 32 2015-05-16 0 5766
509 屎屎的 詩 2015-05-16 0 4621
508 <스승의 날> 시모음 2015-05-15 0 4758
507 황지우 시모음 2015-05-15 0 6087
506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시인... 2015-05-15 0 4426
505 윤동주 시와 독후감 쓰기 2015-05-15 0 6546
504 방랑풍류시인 - 김삿갓 2015-05-15 1 6077
503 요절한 시인 - 기형도, 그의 주옥같은 시는 우리 손에 고이고이 들려 있을것이다... 2015-05-15 0 4443
502 김삿갓과 詩 2015-05-15 0 4818
501 소설쓰기 = 감농군 되라, 시쓰기 = 보석세공자 되라 2015-05-13 0 5478
500 시쓰기 요령 2015-05-13 1 4184
499 시쓰기가 어렵다고 생각하지 말아ㅠ... 2015-05-13 0 4853
498 동시 짓기 2015-05-13 0 5085
497 시쓰기는 처음이자 마지막 2015-05-13 0 5158
496 잘못된 시쓰기 류형 2015-05-13 0 4441
495 시쓰기 네가지 류형 2015-05-13 0 4552
494 시쓰기와 정신 치유법 2015-05-12 0 4868
493 詩의 첫줄은 神이 주는것... 2015-05-12 0 4569
492 시쓰기와 기타... 2015-05-12 0 4788
491 시쓰기 즐거움 2015-05-12 0 5183
490 좋은 시를 쓰기 위한 방법 2015-05-12 0 5196
489 시쓰기 넋두리 2015-05-12 0 5115
488 五感의 詩쓰기 2015-05-12 0 4637
487 시를 잘 쓰기 위한 10가지 방법 2015-05-12 0 4600
486 좋은 시를 쓰려면 2015-05-12 0 4787
485 시는 쉽게 쓰여지지 않는다... 2015-05-12 0 4980
484 <개미> 시모음 2015-05-10 0 4885
‹처음  이전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