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장> 시모음
2015년 06월 08일 20시 25분  조회:4539  추천:0  작성자: 죽림
 
<시장 시 모음> 

+ 벼룩시장 

오랜 것에 대한 가치
멋스러움까지

갖가지
숨은 이야기 담아
들려주고는

연륜의 아름다움 
전하는

벼룩시장 안
진풍경들이
나를 가지고 놀고 있다 
(강재은·시인)


+ 독서 

시장(市場)은 
누덕누덕한 사기(史記) 한 권이다 

함석과 슬레이트 판자로 만든  
표지는 아주 낡았다 

책갈피처럼 나 넘보지만 
동부시장이라고 쓴 
큼지막한 제목만 읽어낼 뿐이다 

생의 동쪽 찾아가는 유목민들이 
아기가 크는 동안 잠시 눌러앉은 푸른 초원 

어느새 
눈 맑은 부족이야기를 읽고 있다 
한 여인이 건넨 덤 때문에 
나도 푸른 초원편의 한 페이지가 되었다 
(이경호·시인, 충남 서산 출생) 


+ 600원짜리 화폐는 없다 

- 깻잎 한 단에 600원!
- 고마 500원 하소!

- 그카지 말고 고마 1,000원에 2개 가가뿌이소!

- 이렇게 팔마 안 되잖나.
- 마수해 줘 고맙구마.

깻잎과 1,000원을 교환한 것만 아니다
지폐 한 장 안에도 산 사람과 판 사람의
흥정을 셈하는 방식이 꼬깃꼬깃 접혀 있다.
(채천수·교사시인, 1957-)


+ 시골장 좌판에는

어느 시골 장 
좌판에 단정히 올려져 있는 
검정 고무신이 나를 
눈부시게 바라본다. 

깊은 겨울날 
코빼기가 찢어진 고무신을 
묵묵히 꿰매주시던 어머니 

눈밭을 걸어도 
흰 실밥이 보이던 
꿰맨 고무신을 내려다보면 
발이 시리지 않던 

기억 속에 까만 고무신이 
시골 장 좌판 위에서 
반세기 동안 나를 기다리고 있었다. 
(김상현·시인, 1947-)


+ 시장 

시장 뒷골목에는 
우리네 할머니들이 
낡은 상자 자판 위에 
풋 배추 시금치 열무 몇 단에 
뒷산에서 꺾어 온 
봄나물 소쿠리에 
세월 때묻은 정 듬뿍 담아 놓고 
작은 양산 그늘을 머리 위에 이고 앉아 
오고 가는 사람들의 
발길에 채이는 시간을 마시며 
정을 판다 

지나쳐 온 세월 끝자락 
작은 양산 그늘조차도 
고맙기만 한, 세월 속에 묻혀 가는 
인정들을 찾아 나온 시장 
세월의 두께만큼이나 깊게 패인 
이마의 주름살 속에 
무거운 땀방울을 매달고 
먼 하늘 구름자락에 세월을 판다
(김근이·어부 시인)


+ 새벽시장 사람들 

어둠을 밀어내고 안개를 삼킨다 
바다 갈매기 날아와 
붉은 태양 토해낼 때 
숨가쁜 영혼으로 종종걸음치며 
가끔씩 내지르는 사람들의 
외마디 비명 소리가 새벽을 연다 

미처 뜨지 못한 눈 비비며 
시장 안을 휘젓고 
질긴 삶을 외치는 사람들의 숨소리 
빛바랜 떡잎 같은 운명 움켜쥐고 
절망으로부터 벗어나려는 몸부림 
아직 문을 열지 않은 한 곳에는 
굽은 등이 서러워 눈물짓는 할머니 

오늘도 새벽시장은 
세상 사람들의 억억(億億) 소리에 
굽은 허리 더욱 낮아져 헉헉거리고 
찬바람이 스쳐 지나간 얼굴에 
시장사람들 얼룩진 눈물 자국 
안개꽃 되어 떨어진다
(김정호·시인)


+ 시장길·1 
   
고깃간의 육절기 앞에서 
나는 겁이 난다 
고기를 맵시 있게 잘도 썰어 나가는 
최신식 육절기 앞에서 나는 
오금이 저린다 
잘려나가는 것은 돼지고기 쇠고기지만 
내 팔이 잘리고 내 허벅지가 잘리는 것만 같아 
오싹오싹 소름이 끼친다 
우리가 이렇게 짐승의 고기를 썰어먹은 죄로 
저승에 가서는 우리 고기를 대신으로 
썰어 바치라는 세상 있으면 어쩔까 
우리가 죽어 다시 태어나는 별에는 
소나 돼지가 주인이 되고 
우리가 그들의 짐승이 되는 지경이면 
우리는 무슨 꼴이 될까 
생각만 해도 지레 
겁이 난다.
(나태주·시인, 1945-)


+ 한 수 위

어이, 할매 살라먼 사고 안 살라먼 자꼬 만지지 마씨요
- 때깔은 존디 기지가 영 허술해 보잉만
먼 소리다요 요 웃도리가 작년에 유행하던 기진디 우리 여편네도
요거 입고 서울 딸네도 가고 마을 회관에도 가고
벵원에도 가고 올여름 한려수도 관광도 댕겨왔소
물도 안 빠지고 늘어나도 않고
요거 보씨요 백화점에 납품하던 상푠디
요즘 겡기가 안 좋아 이월상품이라고 여그 나왔다요
헹편이 안 되먼 깎아달란 말이나 허제
안즉 해장 마수걸이도 못했는디
넘 장사판에 기지가 좋네 안 좋네 어쩌네
구신 씨나락 까묵는 소리허들 말고
어서 가씨요
- 뭐 내가 돈이 없어 그러간디 나도 돈 있어라
요까이껏이 허면 얼마나 헌다고 괄시는 괄시요
팔처넌인디 산다먼 내 육처넌에 주지라 할매 차비는 빼드리께
뿌시럭거리며 괴춤에서 돈을 꺼내 할매 펴보이는 돈이
천원짜리 구지폐 넉 장이다
- 애개개 어쩐다요
됐소 고거라도 주고 가씨오 마수걸이라 밑지고 준 줄이나 아이씨요잉
못 이긴 척 배시시 웃는 할배와
또 수줍게 웃고 돌아서는 할매
둘 다 어금니가 하나도 없다
(복효근·시인, 1962-)


+ 모닥불

온 세상 꽁꽁 얼어붙은
겨울날 시장 바닥

칼바람 속 
노점상 몇 사람 

모닥불 주위에 둘러앉아
때늦은 점심 식사를 합니다

도란도란 얘기꽃 피우며 
맛있게 밥을 먹습니다

한 폭의 따뜻한
풍경화입니다

나도 그들 사이에
살짝 끼여들고 싶습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23 詩작법 휘호호.. 2016-01-09 0 4377
922 詩작법 둥기당... 2016-01-09 0 5877
921 詩작법 닐리리... 2016-01-09 0 5041
920 詩작법 옹헤야... 2016-01-09 0 4560
919 詩작법 지화쟈... 2016-01-09 0 3996
918 詩작법 절씨구... 2016-01-09 0 4298
917 詩작법 얼씨구... 2016-01-09 0 4391
916 詩작법 찌찌찌... 2016-01-09 0 5364
915 좋은 詩를 쓰는 비법 2016-01-09 0 4540
914 詩는 언어에 옷을 입히는 행위 2016-01-09 0 4513
913 詩습작자들을 위한 提言 2016-01-09 0 4204
912 詩공부하지 않고서는 말할것 없다... 2016-01-09 1 4710
911 詩쓰기 그리기... 2016-01-09 0 3949
910 ...해답일뿐, 정답은 아닙니다... 2016-01-09 0 4376
909 詩작법 구구구... 2016-01-09 0 3926
908 詩人되기 힘들다, 詩쓰기는 더더욱 힘들다... 2016-01-09 0 4449
907 詩작법에서 詩를 많이 읽어라 2016-01-09 0 4079
906 만약 詩 한줄이라도 에너지가 있다면... 2016-01-09 0 3569
905 詩에 뭐라고 제목을 붙일가... 2016-01-09 0 4321
904 그러나, 누구나 좋은 詩를 쓰는것은 아니다... 2016-01-09 1 4400
903 현대詩史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다... 2016-01-09 0 4711
902 詩는 몇개의 징검돌로 건너가는 것... 2016-01-09 0 3958
901 詩에서 어떻게 표현할것인가 2016-01-09 0 4466
900 詩에서 새로운 화제 찾기 2016-01-09 0 4193
899 詩에서 어떤 어법으로 말할가 2016-01-09 0 4116
898 詩의 서정적줄거리 만들기 2016-01-09 0 5026
897 자아,- 씁시다... 詩자악!... 2016-01-09 0 4956
896 詩의 정의는 없다... 2016-01-09 0 4964
895 詩는 여러 문학쟝르 中 가장 핵심 쟝르 2016-01-09 0 4368
894 詩짓기에서 수사법 2016-01-09 0 4802
893 詩의 술잔속에는 바다가 출렁출렁... 2016-01-09 0 4535
892 우리 모두 詩와 함께 웃어 버립시다... 2016-01-09 0 4097
891 그녀만은 없었습니다... 2016-01-09 0 4335
890 아름다움이란 모든 것 몫, 몫, 몫... 2016-01-09 0 4049
889 뭇 벗님들의 하늘이 늘 함께 푸르기만을... 2016-01-09 0 4291
888 詩의 旅行을 떠나며... 2016-01-09 0 4202
887 詩적 발견, 그 새로운 눈 2016-01-09 0 4590
886 詩는 묘사로 시작해서 진술로 끝나다... 2016-01-09 0 4743
885 詩야,- 너 어디서 오느냐... 2016-01-08 0 5311
884 詩人을 만드는 9가지 비망록 2016-01-08 0 5096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