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동시인 한석윤 시비
2015년 06월 02일 21시 25분  조회:6046  추천:0  작성자: 죽림

원로 동시인 한석윤의 시비 제막식이 연길공원에 있는 동시동네에서 문인, 학자 등이 참석한가운데 성대히 치러졌다. 특히 이날 시비 제막식은 국제아동절 당일에 치러졌고 또 생자시인에게 세워주는 시비여서 그 의미가 더욱 깊다.

중국조선족소년보사 류락현사장에 따르면 한석윤시인은 2004년부터 사회 각계 유지인사들로부터 후원금을 모아 선후로 채택룡, 김례삼, 윤동주, 윤정석, 최문섭 등 아동문학가들의 시비를 동시동네에 세우며 동시동네를 연길공원의 문화명소로 가꾸어왔다.

이번에 세운 한석윤시비는 중국조선족소년보사(사장 류락현)와 연변작가협(주석 최국철)에서 2014년 3월, 한석윤의 동시 “해님”을 선정하고 한석윤동시비를 세울데 관한 보고서를 중공연변주위선전부, 연변주문화국, 연길시인민정부에 제출, 그해 11월 허가를 받고 시비건립에 박차를 가했다. 시비건립을 위해 해내외의 많은 유지인사들이 모금행사에 동참한것으로 알려졌다.


연변작가협회 최국철주석은 “우리들의 문학풍토는 갈수록 척박해지고있는 시점에서 문학비, 특히 사랑있는 시인의 시비를 세운다는것은 문학의 내연과 외연을 넗히는 의미있는 활동이다.”며 “우리 민족 문단의 울타리와 움직일수 있는 폭이 점점 좁아지고있는 현실에서 우리 작가들은 상호 축하해주고 상호 좋은 일을 많이 해주는것이 우리 문학의 존재가치를 인정하고 아름다운 문학풍경선을 지키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시비는 시인들의 문학정신을 기리는 터전이고 후배들에게 더 많은 우수한 시를 창작하도록 편달해주는 중요한 메시지역할을 하고있다”고 덧붙였다.

한석윤시인은 답사에서 “앞으로 얼마 남지 않은 여생에 몸은 비록 불편하지만 아이들을 위한 한길에서 한발자국이라도 더 나아가기 위해 몸부림치는것으로 그 사랑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조글로미디어 문야기자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63 모더니즘 詩운동의 선구자 中 한 사람 - 파운드 2015-11-06 0 5688
762 <시인> 시모음 /// 禪詩(선시) 모음 2015-10-27 1 6777
761 <촛불 > 시모음 /// 경상도 지방의 사투리 2015-10-27 0 8158
760 다가오는 모든 발자국은... 시모음 2015-10-27 0 4432
759 <평화통일> 시모음 2015-10-22 0 5276
758 <통일평화> 시모음 2015-10-22 0 4425
757 미당 "국화"와 얘기 나누다... 2015-10-22 0 4610
756 미당 서정주와 대화하기... 2015-10-22 0 5024
755 얼굴없는 로동자시인 - 박노해 2015-10-21 0 4841
754 시여, 우리 시인이여 - 독자들을 다시 시앞에 모이게 하는 비법... 2015-10-20 0 4918
753 시여, 똥을 싸라... 시는 詩치료로 쓰자... 2015-10-20 0 4759
752 보리피리시인 - 한하운 2015-10-17 0 5556
751 詩여, 침을 뱉어라 2015-10-16 0 5560
750 詩人人生 2015-10-16 0 5311
749 空手來空手去 - 독서가 만권에 달하여도 律은 읽지 않는다 2015-10-13 0 4797
748 쉬여가는 페이지 - 중국 10개 비경 2015-10-13 0 5055
747 소동파 = 소식 시세계 2015-10-13 1 5338
746 이순신 장군 시모음 2015-10-13 0 4724
745 노벨상 이모저모 2015-10-09 0 5343
744 시에서 비유적 이미저리 2015-10-08 1 5331
743 시인의 에스프리 /강영환 2015-10-08 0 4548
742 시에서 정신적 이미저리 2015-10-08 0 4504
741 시에서 이미저리의 기능 2015-10-08 0 4556
740 시를 잘 쓰는 궤도 / 시와 상징 / 靑馬 2015-10-08 0 4544
739 ...이어서 2015-10-08 0 5258
738 詩의 이미지와 이미저리 2015-10-08 0 4229
737 시인의 령감은? 2015-10-07 0 4575
736 (시)괴짜괴짜괴짜 / 최흔 2015-10-04 0 4556
735 "괴짜시인 공화국" 2015-10-03 0 4467
734 "못난 놈은 얼굴만 봐도 흥겹다" - "괴짜시인 - 김관식" 2015-10-03 0 4837
733 重慶 烏江 - 절벽에 올라 시구를 구상하는 "괴짜시인" 2015-10-03 0 4515
732 김철호 / 김관웅 2015-10-03 0 4177
731 김철호 / 김응룡 2015-10-01 0 5092
730 김철호 / 최삼룡 2015-10-01 0 4606
729 김철호 근작시 시평 2015-10-01 0 4575
728 김철호 / 허인 2015-10-01 0 4391
727 토템문화와 조화세계 2015-09-29 0 5077
726 다시 보는 조향시인 2015-09-17 0 5637
725 조향시인님을 그리며(꼭 찾아 뵙고저 했건만...)... 2015-09-17 0 4351
724 잊혀진 시조시인 - 조운 2015-09-17 0 5021
‹처음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