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이승훈 시론 5
2015년 05월 20일 23시 42분  조회:4517  추천:0  작성자: 죽림

5.상징이냐 알레고리냐

 

상징과 알레고리가 비슷한 느낌을 주는 것은 이 두 기법모두 이미지를 보여줄뿐 
직접 진술하지 않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취의가 생략되고 매재만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징과 알레고리는 다르고, 이 차이가 중요하다. 알레고리allegory 는 흔히 우유㝢兪, 우화偶話, 로 번역되고allegory는 그리스어로 
‘다른것’을 뜻하는 allos 와 ‘말하다’를 뜻하는 agoreuein 이 결합된 말이다. 따라서 알레고리는 어떤말 혹은 이미지가 그것이 아닌 다른 것을 의미 한다는 
뜻이고, 우화가 암시하듯이 이런 말하기는 상징과 다른 몇가지 특성을 보여준다. 
첫째로 상징이 사물이나 이미지에서 출발해서 관념에 이른다면 알레고리는 
거꾸로 관념에서 출발해서 이미지에 이르는 과정을 밟는다. 
둘째로 상징의 경우 이미지와 관념의 관계가 
1 : 다 로 나타 난다면 알레고리의 경우엔 1 : 1 로 나타나며 시간적 
계기성을 띠고 그런점에서 연속성을 띤다. 
셋째로 상징의 의미는 모호 하지만 알레고리의 경우엔 분명하고 교훈적이고, 
넷째로 알레고리는 이 교훈적인 것과 관계가 있지만 실화성을 띤다는 것이다 
( 좀더 자세한 것은 이승훈, 시작법, 탑 출판사.1988, 201-206면 참고바람). 
다음은 알레고리에 의한시.


그는 들어왔다. 
그는 앉았다. 
그는 빨강 머리의 이 열병은 바라보지도 않는다. 
성냥불이 켜지자 
그는 떠났다. 
ㅡ 아폴리네르,[시](오 증자 역)


‘그’는 시를 의미하고, 따라서 이 시는 시스기에 대한 시이며, 시쓰기 
혹은 시상이 전개되는 과정을 시간적 순서에 따라 노래한다. 
그러나 머릿속에 떠오른, 혹은 환각으로 나타난 시가 성냥불을 켜자 
사라지고 말았다는 것. 다음과 같은 시도 알레고리의 기법에 의존한다.


태양신이라고 불리우던 루이14세는 
그의 통치 말기에 
종종 구멍 난 의자에 앉곤 했다 
지독히 어둡던 어느 날 밤 
태양신은 자리에서 일어나 
의자에 가 앉더니 
사라지고 말았다. 
ㅡ 프레베르,[일식](오 증자 역)

 

루이 14세를 풍자한 시로 일종의 교훈이 있고, 설화성도 있고, 
이미지가 시간적으로 발전한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23 詩작법 휘호호.. 2016-01-09 0 4318
922 詩작법 둥기당... 2016-01-09 0 5791
921 詩작법 닐리리... 2016-01-09 0 4974
920 詩작법 옹헤야... 2016-01-09 0 4479
919 詩작법 지화쟈... 2016-01-09 0 3929
918 詩작법 절씨구... 2016-01-09 0 4183
917 詩작법 얼씨구... 2016-01-09 0 4353
916 詩작법 찌찌찌... 2016-01-09 0 5298
915 좋은 詩를 쓰는 비법 2016-01-09 0 4450
914 詩는 언어에 옷을 입히는 행위 2016-01-09 0 4458
913 詩습작자들을 위한 提言 2016-01-09 0 4164
912 詩공부하지 않고서는 말할것 없다... 2016-01-09 1 4633
911 詩쓰기 그리기... 2016-01-09 0 3909
910 ...해답일뿐, 정답은 아닙니다... 2016-01-09 0 4282
909 詩작법 구구구... 2016-01-09 0 3850
908 詩人되기 힘들다, 詩쓰기는 더더욱 힘들다... 2016-01-09 0 4386
907 詩작법에서 詩를 많이 읽어라 2016-01-09 0 4056
906 만약 詩 한줄이라도 에너지가 있다면... 2016-01-09 0 3529
905 詩에 뭐라고 제목을 붙일가... 2016-01-09 0 4271
904 그러나, 누구나 좋은 詩를 쓰는것은 아니다... 2016-01-09 1 4345
903 현대詩史에 수많은 활구(活句)를 낳다... 2016-01-09 0 4665
902 詩는 몇개의 징검돌로 건너가는 것... 2016-01-09 0 3918
901 詩에서 어떻게 표현할것인가 2016-01-09 0 4437
900 詩에서 새로운 화제 찾기 2016-01-09 0 4170
899 詩에서 어떤 어법으로 말할가 2016-01-09 0 4057
898 詩의 서정적줄거리 만들기 2016-01-09 0 4978
897 자아,- 씁시다... 詩자악!... 2016-01-09 0 4893
896 詩의 정의는 없다... 2016-01-09 0 4875
895 詩는 여러 문학쟝르 中 가장 핵심 쟝르 2016-01-09 0 4302
894 詩짓기에서 수사법 2016-01-09 0 4742
893 詩의 술잔속에는 바다가 출렁출렁... 2016-01-09 0 4511
892 우리 모두 詩와 함께 웃어 버립시다... 2016-01-09 0 4038
891 그녀만은 없었습니다... 2016-01-09 0 4272
890 아름다움이란 모든 것 몫, 몫, 몫... 2016-01-09 0 3981
889 뭇 벗님들의 하늘이 늘 함께 푸르기만을... 2016-01-09 0 4234
888 詩의 旅行을 떠나며... 2016-01-09 0 4135
887 詩적 발견, 그 새로운 눈 2016-01-09 0 4529
886 詩는 묘사로 시작해서 진술로 끝나다... 2016-01-09 0 4677
885 詩야,- 너 어디서 오느냐... 2016-01-08 0 5288
884 詩人을 만드는 9가지 비망록 2016-01-08 0 5035
‹처음  이전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