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공자 시 어록
2015년 04월 23일 22시 33분  조회:5479  추천:0  작성자: 죽림
『시경』을 게재하며
                 --/『논어』에 언급된 공자의 시 관련 어록


(...공부하는 자만이 느낄 수 있는
침잠완색(沈潛玩索)의 즐거움을 함께 나누고자 한다.) 

詩는 글자 그대로 믿을(寺) 수 있는 말(言)로, 뜻을 말하는 것(言志)이며, 노래가 말을 길게 빼는 것(歌, 永言)이다. 시가는 곧 노랫말을 읊는 것이다. 『시경』은 고대 중국에서 불렀던 노랫말로 가장 오래된 노랫말을 담고 있다. 노랫말은 사람에게 깊은 감동을 주고 교화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므로 공자는 이를 중시하여 하나의 책으로 엮었다. 

삼경(시경 ․ 서경 ․ 역경) 혹은 오경(삼경+예기+춘추), 육경(오경+악기)중의 하나인 『시경』은 공자가 당시 유행하던 노래 3천여 편을 수집하여 산시서(刪詩書), 곧 깎아낼 것은 깎아내고 교육이 될 만한 것은 모아서 그중 311편만을 모아 하나의 책으로 엮은 것으로 크게 風(국풍 정풍) 雅(소아 대아) 頌으로 나뉜다. 

“詩三百에 一言以蔽之면 曰思無邪라” 

공자는 『시경』 삼 백편을 다 편집하고 난 뒤에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思無邪’라고 하였다(『논어』위정편 제2장). 『시경』의 글들이 “興也ㅣ라 賦也ㅣ라”하고 끝나 마음이 흥기되어 즐겁기는 하지만 關雎(관저)장에서 보듯이 음탕한 데로 흐르지 않고[樂而不淫], 슬프게 했어도 상하는 일이 없고[哀而不傷], 군자가 숙녀를 그리는 마음이 삿될 것 같은 데도 삿된 곳으로 흐르지 않음을 이른 말이다(『논어』팔일편 제20장). 

공자가 시를 매우 중요히 여겼음은 『논어』 곳곳에 인용된 글들을 보아도 잘 알 수 있는데, 위에 인용된 글 말고도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子ㅣ 曰誦詩三百호대 授之以政에 不達하며 使於四方에 不能專對하면 須多ㅣ나 亦奚以爲리오 (공자 가라사대 시 삼 백편을 외우되 정사로써 줌에 통하지 못하며, 사방으로 부림에 능히 오로지 대하지 못하면 비록 많으나 또한 무엇에 쓰리오. - 자로편 제5장)

[해설] 
시경 삼백 편은 정치하는 법을 비유한 노래이다. 삼백 편을 달달 외우면서도 정치를 맡겨놓으면 제대로 하지 못하고, 사방 여러 나라의 사신이 되어 나갔을 적에 외교를 능수능란하게 하지 못하면 그런 사람을 어디에 쓰겠는가?

“子ㅣ 曰小子는 何莫學夫詩오 詩는 可以興이며 可以觀이며 可以群이며 可以怨이며 邇之事父ㅣ며 遠之事君이오 多識於鳥獸草木之名이니라 (공자 가라사대 너희들은 어찌 시를 배우지 아니하는고? 시는 가히 흥기함이며, 가히 써 관찰함이며, 가히 써 무리하며, 가히 써 원망함이며, 가까이는 어버이를 섬기며, 멀리는 인군을 섬기고, 조수와 초목의 이름에 대하여 많이 아니라. - 양화편 제9장)

[해설]
공자는 시의 중요성을 알고 제자들에게 시를 공부하도록 하였다. 시를 읽으면 흥기되고, 사물을 자세히 관찰할 수 있으며, 무리와 더불어 화합하지만 함께 어울려 방탕한 짓은 하지 않고, 억울한 일에 대해 원망할 줄은 알지만 그로 인해 성내며 상하게 하는 일은 없을뿐더러, 부모를 섬기고 인군을 섬기는 마음이 자연스럽게 발로되며, 정서가 풍부해져 아는 것이 많아진다.

“子ㅣ 謂伯魚曰女ㅣ 爲周南召南矣乎아 人而不爲周南召南이면 其猶正牆面而立也與인저(공자가 백어에게 일러 가로대 네가 주남 소남을 했는가? 사람이면서 주남 소남을 하지 아니하면 그 바로 담을 향하여 서 있는 것과 같을진저. - 양화편 제10장)

[해설]
시 삼백편 가운데 처음에 나오는 국풍편의 주남장과 소남장을 읽으면 시를 다 공부했다라고 할 정도로 중요한 대목이다. 위 글은 공자가 아들인 백어에게 한 말로, 바로 담을 향하여 선다는 것은 그 지극히 가까운 땅에 이르러서도 하나의 물건도 보지 못하고, 더 이상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는 것과 같음을 이른 말이다.


끝으로 『시경』의 시 해석에 탁월했던 맹자는 ““說詩者는 不以文害辭하며 不以辭害志오 以意逆志라야 是得之矣라 / 시를 해설하는 자는 문으로써 말을 해하지 말며, 말로써 (지은이의) 뜻을 해하지 말고, (나의, 읽는 자의) 뜻으로써 (지은이의) 뜻을 志를 맞이하여야 이 얻음이 되니라(『맹자』만장상편 제4장)”라고 말하였듯이 지은이의 뜻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963 시인들이여, - 은유를 잡아라... 2016-01-10 0 4678
962 <<시집을 좀 사주자 >>... 2016-01-10 0 4051
961 시인들이여, - 시창작 時 혼신을 다 하라... 2016-01-10 0 4728
960 공부하지 않는 시인들이 문제는 문제로다... 2016-01-10 0 4520
959 시인들이여, - 시작메모를 하라... 2016-01-10 0 4689
958 시인들이여,- 시 첫행에 승부를 걸어라... 2016-01-10 1 4491
957 시인들이여, - 세상의 바보들과 웃어라... 2016-01-10 0 5246
956 名詩 속의 "옥에 티" 2016-01-10 0 5812
955 현대시를 어떻게 읽어야 하나 2016-01-10 0 7730
954 비대상시를 창조하라 2016-01-10 0 7687
953 詩쓰기에서 다양한 어법을 사용하라... 2016-01-10 0 6639
952 창조는 비유적 어법에서 시작된다... 2016-01-10 0 4870
951 시인들이여,- 시의 위기탈출구를 찾아라 2016-01-10 0 5701
950 詩쓰기 뒤집어 쓰기 2016-01-10 2 5895
949 詩에 옳바른 <<이름>> 붙혀주자... 2016-01-10 0 6039
948 詩에서 제목은 왕관 2016-01-10 0 4799
947 詩쓰기에서 2중구조를 잘 틀어쥐라... 2016-01-10 0 4597
946 왕초보시습작자들은 기본에 충실하라... 2016-01-10 0 5316
945 詩란 모방에서 출발?!...!?... 2016-01-10 0 3892
944 詩는 재창조의 산물 2016-01-10 0 3799
943 詩를 쉽게 쓰려면 상상력 키우라... 2016-01-10 0 5035
942 철학서, 력사서 한권을 압축해 시 한편을 쓰라... 2016-01-10 0 4967
941 詩쓰기에서 어려운 시어는 금물 2016-01-10 0 5672
940 詩를 찾아서... 2016-01-10 0 4880
939 詩에서 체험의 진실성 2016-01-10 0 5094
938 詩에서 낚시질 하기... 2016-01-10 0 5499
937 "충격"을 주는 詩를 쓰라... 2016-01-10 0 4421
936 좋은 詩를 쓰고 詩에서 떠나라 2016-01-10 0 6675
935 뻐속에서 쓰는 詩 2016-01-10 0 6465
934 詩작법 질질질... 2016-01-10 0 3914
933 詩작법 마마마... 2016-01-10 0 4531
932 詩작법 추추추... 2016-01-10 0 4781
931 詩작법 쌔애앵... 2016-01-10 0 4686
930 詩작법 팔씹일... 2016-01-09 0 5456
929 詩작법 찰싸닥... 2016-01-09 0 4033
928 詩작법 통통통... 2016-01-09 0 4185
927 詩작법 후ㅜㅠ... 2016-01-09 0 4579
926 詩작법 지라리... 2016-01-09 0 4176
925 詩작법 촐라당... 2016-01-09 0 5489
924 詩작법 걀걀걀... 2016-01-09 0 4419
‹처음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