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7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31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프랑스 시인 - 자크 프레베르
2015년 04월 20일 21시 17분  조회:5228  추천:0  작성자: 죽림
 
 
 
 
1961년의 자크 프레베르
 
서명


 

어느 새의 초상화를 그리려면

 

 

   자크 프레베르

 

 

 

 

우선 문이 열린

새장을 하나 그릴 것

다음에는 새를 위해 뭔가 예쁜 것

뭔가 단순한 것

뭔가 쓸 만한 것을 그릴 것

 

그 다음엔 정원이나 숲이나 혹은 밀림 속

나무에 그림을 걸어 놓을 것

아무 말도 하지 말고

움직이지도 말고……

때로는 새가 빨리 오기도 하지만

맘먹고 오는 것이 여러 해가 걸리기도 하는 법

 

실망하지 말 것

기다릴 것

필요하다면 여러 해를 기다릴 것

새가 빨리 오고 늦게 오는 것은

그림의 성공과는 무관한 법

 

새가 날아올 때는

혹 새가 날아오거든

가장 깊은 침묵을 지킬 것

새가 새장에 들어가기를 기다릴 것

그리고 새장에 들어가거든

살며시 붓으로 새장을 닫을 것

그리고

모든 창살을 하나씩 지우되

새의 깃털을 다치지 않도록 조심할 것

 

그리고는 가장 아름다운 가지를 골라

새의 초상을 그릴 것

푸른 잎새와 서늘한 바람과

햇빛의 가루와 여름 열기 속

풀숲을 기어다니는 작은 곤충 소리들을

또한 그릴 것

 

이어서

새가 노래하기를 맘먹도록 기다릴 것

혹 새가 노래하지 않으면

그것은 나쁜 징조

그러나 새가 노래하면 좋은 징조

당신이 사인해도 좋다는 징조

 

그런 후에 당신은 살며시

새의 깃털 하나를 뽑아

그림 한 구석에 당신 이름을 쓰세요

 

 

 

 

-----------

자크 프레베(Jacques Prévert, 1900년 2월 4일 ~ 1977년 4월 11일)

프랑스의 시인, 영화 각본가.

그의 시는 프랑스어 세계, 특히 학교에서 매우 유명했고 지금도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그가 쓴 영화 가운데 사상 최고의 영화 하나로 여겨지는 '천국의 아이들'과 더불어 매우 잘 알려져 있다. 

이브 몽탕이 부른 유명한 샹송 '고엽'의 작사자이기도 하다.

 
 

 

메세지

 

                         - 자크 프레베르

 

누군가 연 문

누군가 닫은 문

누군가 앉은 의자

누군가 쓰다듬는 의자

누군가 깨문 과일

누군가 읽은 편지

누군가 넘어뜨린 의자

누군가 연문

누군가 아직 달리고 있는 길

누군가 건너지르는 숲

누군가 몸을 던지는 강물

누군가 죽은 병원

 나는 보통 시를 읽을때 그 이미지를 머릿속에 그리고 이에 얼마나 내가 감정이입 할 수 있으며 그 시가 전달하고자 하는 감정을 느낄 수 있는지를 중요시 한다. 물론 운율이나 기타 다른 요소 또한 작용하겠지만, '나'는 머릿속에 그리며 따라가는 그 과정이 좋다. 그렇기에 우연히 본 자크 프레베르의 '아침의 식사'에서 시작하여 계속해서 다른 시들을 찾고 있는지 모른다.

 

아침의 식사

 

 

 

 

찻잔에 커피를 부었다. 
찻잔의 커피에 밀크를 부었다. 
밀크 커피에 사탕을 넣었다 
작은 스푼으로 저었다 
밀크커피를 마셨다 
그리고 찾잔을 놓았다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담배에 불을 붙였다 
연기로 동그라미를 만들었다 
재떨이에 재를 떨었다 
나는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당신은 나를 보지 않고 일어섰다 
모자를 머리에 썼다 
비가 내렸으므로 레인코트를 입었다 
그리고 빗속으로 나가고 있었다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내 쪽을 보지 않았다 
그리고 나는 머리를 감쌌다 
그리고 나는 울었다.

 

 

 

 

 

사실상 비슷한 구성. 물론 그의 시가 모두 이런 구성인건 아니지만 그의 느낌은 시 곳곳에서 살아있어 계속 찾게 만든다.

 

난 이런사람


 

나는 이런사람
이렇게 태어났지

 

웃고싶으면
큰소리로 웃고
날 사랑하는 이를사랑하지

 

내가 사랑하는사람이
매번 다르다해도
그게어디 내탓인가

 

나는 이런사람
이렇게 태어났지
하지만 넌 더이상무엇을 바라나
이런 내게서

 

나는 하고싶은걸 하도록 태어났지
바뀔건 단 하나도없지

 

내 발꿈치가 아주 높이솟았다 해도
내 몸이 몹시 휘었다 해도
내 가슴이 너무도 거칠다 해도
내 두눈이 이다지 퀭하다 해도
네가 그걸 어쩌겠나

 

아무리 그렇다 해도
나는 이런사람
난 내마음에드는 사람이 좋은 걸
네가 그걸 어쩌겠나

 

결국

 

내가 할 수 있는 일이라곤 그것뿐인데
그래 난누군가를 사랑했지
누군가가 날 사랑했었지
어린아이들이 서로 사랑하듯이
오직 사랑밖에는 할 줄 모르듯이
서로 사랑하고 사랑하듯이....
왜 내게 묻는거지
난 너를 즐겁게 하려고
이렇게 있고
바뀐건 아무 것도 없는데

 

 이 얼마나 솔직한가. 위 두 시에서는 감정의 표현 없이 사건의 나열로 솔직하게 표현하였다면 여기선 그냥 꾸밈 없이 자기 하고싶은 말만 나불댄다. 그는 숨김 없는 표현으로 내면의 순수성을 자극한다. 시 '쓰기공책'에서는 주입식 교육에 대한 반항을 보여주며 자유로운 영혼에 대한 추구를 보여주며 자연으로의 회귀를 외치고 있다. 

 

밤의 파리 
 
성냥개비 세 개를 하나씩 켠다
어둠 속에서
첫 번째는 네 얼굴 또렷이 보기 위하여
두 번째는 네 두 눈을 보기 위하여
마지막 것은 네 입술 보기 위하여
그 다음 캄캄한 어둠 속에서
내 두 팔 안에 너를 꼭 껴안는다
이 모든 것을 기억하기 위하여

 

 

 일상적인 풍경과 소재로 시를 쓴다는건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단순히 시 뿐만 아니라 내가 당연하다는 듯 행동하던 것, 느꼈던 것들을 제 3자가 보는 것처럼 관찰하는 일은 모래밭에서 바늘 찾기보다, 모래밭에서 각 모래에도 차이가 있다는 걸 깨닫는게 더 어렵다는걸 알게 한다. 사소함에서 시를 쓰기에 그의 시 하나하나에서 나의 모습 또한 읽히는 것은 아닐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03 <어머니> 시모음 2015-06-17 0 5750
602 <냉이> 시모음 2015-06-17 0 4911
601 <아버지> 시모음 2015-06-17 0 5233
600 칭키스칸 되다 2015-06-17 0 4356
599 다시 이육사를 읽다.... 2015-06-17 0 5345
598 애송시 6 2015-06-16 0 6512
597 애송시 5 2015-06-16 0 6027
596 애송시 4 2015-06-16 0 5184
595 애송시 3 2015-06-16 0 5416
594 애송시 2 2015-06-16 0 6379
593 애송시 1 2015-06-16 0 10938
592 꽃, 상징사전 2015-06-16 0 4906
591 시와 방언 2015-06-15 1 5003
590 "ㄱ" 시모음 2015-06-15 0 7372
589 "ㄴ" 시모음 2015-06-15 0 6574
588 "ㄷ" 시모음 2015-06-15 0 6467
587 "ㄹ" 시모음 2015-06-15 0 4494
586 "ㅁ" 시모음 2015-06-15 0 5882
585 "ㅂ" 시모음 2015-06-15 0 7989
584 "ㅅ" 시모음 2015-06-15 0 9347
583 "ㅇ" 시모음 2015-06-15 0 10434
582 "ㅈ" 시모음 2015-06-15 0 6747
581 "ㅎ" 시모음 2015-06-15 0 6089
580 "ㅌ" 시모음 2015-06-15 0 4157
579 "ㅊ" 시모음 2015-06-15 0 5626
578 "ㅋ" 시모음 2015-06-15 0 4827
577 김용택 시 2015-06-15 0 4749
576 짧은 시 모음 2015-06-15 1 19188
575 오늘도 시공부하기 2015-06-15 0 5075
574 시공부하기 2015-06-15 0 5717
573 시제목이 긴 인상적인 시, 그리고 그 외 시 2015-06-15 0 4627
572 "ㅍ" 시모음, 그 외 시... 2015-06-15 0 5596
571 <성묘> 시모음 2015-06-14 0 3928
570 시조쓰기 외우기 추고하기 2015-06-14 0 4559
569 墨梅의 香氣 2015-06-12 0 4653
568 1월 ~ 12월 詩 2015-06-12 0 4572
567 현대시조의 길 2015-06-12 0 4301
566 시적 기법 2015-06-12 0 4365
565 민중시에 대하여 2015-06-12 0 4147
564 시의 현실 참여 2015-06-12 0 4092
‹처음  이전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