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로인협회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詩的 變容에 對하여
2015년 04월 20일 16시 46분  조회:4356  추천:0  작성자: 죽림

 

詩的 變容에 대하여

 

핏속에서 자라난 파란 꽃빨간 꽃흰 꽃혹시는 험하게 생긴 독이(毒栮), 이것들은 그가 자라난 흙과 하늘과 기후를 이야기하려 하지 않는다어디 그럴 필요가 있으랴그러나 이 정숙한 따님들을 그저 벙어리로 알아서는 안 된다사랑에 취해 흘려듣는 사람의 귀에그들은 저의 온갖 비밀을 쏟기도 한다저들은 다만 지껄이지 않고 까불거리지 않을 뿐피보다 더 붉게눈보다 더욱 희게 피어나는 한 송이 꽃.

우리의 모든 체험은 피 가운데로 용해한다피 가운데로 피 가운데로 한낱 감각과한 가지 구경과구름같이 피어올랐던 생각과한 근육의 움직임과읽은 시 한 줄지나간 격정이 모두 피 가운데알아보기 어려운 용해된 기록으로 남긴다.지극히 예민한 감성이 있다면옛날의 전설같이 우리의 맥을 짚어봄으로우리의 호흡을 들을 뿐으로 얼마나 길고도 가는 이야기를 끌어낼 수 있을 것이랴!

흙 속에 어찌 풀이 나고 자라며버섯이 생기뇨무슨 솜씨가 핏 속에 시를시의 꽃을 피어나게 하느뇨변종을 만들어내는 원예가하느님의 다음 가는 창조자그는 실로 교묘하게 배합하느니라그러나 몇 곱절이나 더 참을성 있게 기다리는 것이랴!

교묘한 배합고안기술그러나 그 위에 다시 참을성 있게 기다려야 되는 변종 발생의 찬스.

문학에 뜻을 두는 사람에게, “너는 먼저 쓴다는 것이 네 심령의 가장 깊은 곳에 뿌리를 박고 있는 일인지를 살펴보라그리고 밤과 밤의 가장 고요한 시간에 네 스스로에게 물어보라.

-그것을 쓰지 않으면 죽을 수밖에 없는가쓰지 않고는 못 배길죽어도 못 배길 그런 내심의 요구가 있다면그때 너는 네 생애를 이 필연성에 의해서 건설하라.”이런 무시무시한 권고를 한 독일의 시인 마리아 릴케는 <브리게의 수기>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사람은 전 생애를 두고될 수 있으면 긴 생애를 두고 참을성 있게 기다리며의미와 감미를 모으지 않으면 아니 된다그러면 아마 최후에 겨우 열 줄의 좋은 시를 쓸 수 있게 될 것이다시는 보통 생각하는 것같이 단순히 애정이 아닌 것이다시는 체험인 것이다.한 가지 시를 쓰는 데도 사람은 여러 도시와 사람들과 도시들을 봐야하고짐승들과새의 날아감과아침을 향해 피어날 때의 작은 꽃의 몸가짐을 알아야 한다모르는 지방의 길뜻하지 않았던 만남오래 전부터 생각던 이별이러한 것들과지금도 분명하지 않은 어린 시절로 마음 가운데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것들을 생각할 수 있는 것만으로는 넉넉지 않다여러 밤의 사람의 기억-하나가 하나와 서로 다른-진통하는 여자의 부르짖음과,아이를 낳고 해쓱하게 잠든 여자의 기억을 가져야 한다죽어가는 사람의 곁에도 있어봐야 하고때때로 무슨 소리가 들리는 방에서 창을 열어 놓고죽은 시체도 지켜봐야 한다그러나 이러한 기억을 가지는 것만으로는 넉넉지 않다기억이 이미 많아질 때기억을 잊어버릴 수 있어야 한다그리고 그것이 다시 돌아오기를 기다리는말할 수 없는 참을성이 있어야 한다기억만으로는 시가 아닌 것이다다만그것들이 우리 속에 피가 되고눈짓과 몸가짐이 되고우리 자신과 구별할 수 없는 이름 없는 것이 된 다음에라야-그때에라야 우연히 가장 귀한 시간에 시의 첫 말이 그 가운데서 생겨나고그로부터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열 줄의 좋은 시를 기다리고 일생을 보낸다면한 줄의 좋은 시도 못 쓰리라다만하나의 큰 꽃만을 바라고 일생을 바치면 아무런 꽃도 못 가지리라최후의 한 송이극히 크고 아름다운 꽃을 피우기 위하여는 그보다 작을지라도덜 고울지라도 수다히 꽃을 피우며 일생을 지내야 한다마치 그것이 최대의 것인 것같이 최대의 정열을 다하여-주먹을 펴면 꽃이 한 송이 나오고한참 심혈을 모아 가지고 있다가 또 한 번 펴면 또 한 송이 꽃이 나오고이러한 기술사와 같이.’

 

나는 서도를 까맣게 모른다그러면서도 그 서도를 예로 이야기할 욕망을 느낀다서도의 대가가 그 생애의 절정에 섰을 때에한번 붓을 들어서 한 글자를 이룬다 하자괴석같이 뭉치고범같이 쭈그린 이 한 자최고의 지성과 웅지를 품었던 한 생애의 전 체험이한 인격이온통 거기 불멸화하였다그것이 주는 눈짓과 부르는 손짓과 소곤거리는 말을 나는 모른다나는 그것이 그러리라는 것을 어렴풋이 유추할 뿐이다이 무슨 불행일 것이냐!

어떻게 하면 한 생애가한 정신이 붓대를 타고가는 털을 타고먹으로써 종이 위에 나타나웃고 손짓하고 소곤거릴 수 있느냐어쩌면 한참 만에 손을 펼 때마다 한 송이 꽃이 나오는 기술에 다다를 수 있으랴.

우리가 처음에는 선인들의 그 부러운 기술을 보고서투른 자기 암시를 하고염언(念言)을 외고땀을 흘리고주먹을 쥐었다 폈다 하는 것이다그저 빈주먹을……그러는 중에 어쩌다가 자기 암시가 성공하는 때가 있다비로소 주먹 속에 드는 조그만 꽃 하나염화시중의 미소요이심전심의 비법이다.

이래서손을 펼 때마다 꽃이 나오는 확실한 경지에 다다르려면 무한한 고난과 수련의 길을 밟아야 한다그러나 그가 한번 밤에 흙을 씻고꾸며 놓은 무대 위에 흥행하는 기술사로 올라설 때에 그의 손에서는 다만 가화(假花조각이 펄펄 날릴 뿐이다그가 뿌리는 땅에 박고 광야에 서서 대기를 호흡하는 나무로 있을 때만 그의 가지에서는 생명의 꽃이 핀다.

시인은 진실로 우리 가운데서 자란 한 그루 나무다청명한 하늘과 적당한 온도 아래서 무성한 나무로 자라나고장림(長霖)과 담천(曇天아래서 험상궂은 버섯으로 자라날 수 있는 기이한 식물이다그는 지질학자도 아니요기상대원일 수도 없으나그는 가장 강렬한 생명에의 의지를 갖고 빨아올리고 받아들이고 한다기쁜 태양을 향해 손을 뻗치고 험한 바람에 몸을 움츠린다그는 다만 기록하는 이상으로 그 기후를 생활한다꽃과 같이 자연스러운 시꾀꼬리같이 흘러나오는 노래이것은 도달할 길 없는 피안을 이상화한 말일 뿐이다비상한 고심과 노력이 아니고는 그 생활의 정을 모아 표현의 꽃을 피게 하지 못하는 비극을 가진 식물이다.

 

<한국의 명문장 100선에서>

 

박용철(1904~1938) 호 龍兒전남 광산 출신시인도쿄 아오야마 학원과 연희전문에서 수업. 1930년 시문학에 시 <떠나가는 배>, <밤 기차는 그대를 보내고등을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 시작. 1931년 문예월간을 출자 간행정지용김영랑이하윤신석정 등과 경향파에 대립하여 순수시 운동을 전개작품집에 박용철 전집이 있음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83 이승훈 시론 2015-09-06 0 4409
682 세상은 좋아보이는것뿐, 나쁘게 보이는것뿐... 2015-09-06 1 4027
681 詩人이란??? 2015-09-06 0 4993
680 <퇴직하는 벗들에게> 시모음 2015-09-06 0 4474
679 중국 몽롱시 창시자의 대표 시인 - 北島 2015-08-31 0 5292
678 중국 현대 최고 10대 시인 2015-08-31 0 5085
677 詩공부를 하며지고... 2015-08-31 0 4289
676 중국 몽롱파시인 - 수팅 2015-08-31 0 5194
675 중국 현대시 류파 2015-08-26 0 4800
674 중국 몽롱파시인 - 우한 2015-08-26 0 4644
673 중국 몽롱파시인 - 고성 2015-08-26 0 4910
672 대만 현대시의 흐름 2015-08-26 0 4508
671 중국 현대시 여러 류파를 중심으로 2015-08-26 0 5228
670 중국문화 - 중국 詩의 발달 2015-08-26 0 6091
669 시론저 소개 - 禪과 아방가르드 2015-08-26 0 4687
668 아방가르드 시의 실험 2015-08-26 0 5970
667 서울 지하철역 <<詩가 흐르는 서울>>을 보고 ...우리 고향 연길의 선로뻐스 정류장마다에도 <<詩香이 풍기는 延吉>>이라는 테마가 있었으면... 2015-08-25 0 4389
666 라틴아메리카 시문학 2015-08-22 0 5644
665 칠월칠석 시모음 2015-08-20 0 5714
664 단편 시모음 2015-08-16 0 4903
663 <국수> 시모음 2015-08-15 0 4504
662 나는 시를 너무 함부로 쓴다... 2015-08-15 0 5198
661 <어머니>시모음 3 2015-08-15 0 4863
660 그리고 또 李箱 2015-08-15 1 5158
659 다시 보는 李箱 2015-08-15 0 5879
658 詩는 農村을 對相하라... 2015-08-07 0 4813
657 詩作을 위한 10가지 방법 2015-08-03 0 5077
656 詩人을 만드는 9가지 2015-08-03 0 4917
655 池龍과 芝溶 2015-08-03 0 4077
654 마음 열기 2015-07-30 0 4367
653 백자 항아리 2015-07-28 0 5041
652 <달력> 시모음 2015-07-26 0 5073
651 서정주와 보들레르 2015-07-21 0 4959
650 어머니의 꽃무늬 팬티 2015-07-20 0 4878
649 우리 詩의 문제점 2015-07-20 0 4393
648 추천하고싶은 詩論書 2015-07-20 0 6199
647 기침 2015-07-20 0 4346
646 한석윤 동시인 = 동시화집 2015-07-20 0 4923
645 되돌아오는 세월... 2015-07-18 0 5541
644 <아내> 시모음 2015-07-18 0 5004
‹처음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