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료타르 / 포스트모더니즘
2015년 04월 06일 20시 34분  조회:4705  추천:0  작성자: 죽림
 

장 푸랑수아 료타르
혹은, 
포스트모더니즘의
죽음

 

 

1998년 4월 23일 조간 신문은 포스트모더니즘이란 말을 전 세계적으로 유행시켰던 만큼 그 말과 거의 동일시되던 장 프랑수아 료타르의 죽음을 우리에게 전해주었다. 유행의 물결을 따라 포스트모더니즘 또한 흘러가 버린 지금어서일까? 료타르의 죽음은 마치 포스트모더니즘 자체의 죽음을 알리는 부고처럼 들린다.

1924년 베르사이유에서 태어난 그는 소르본 대학에서 철학과 문학을 공부했는데, 그의 많은 동년배들이 그렇듯이 후설의 현상학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실존주의가 풍미하던 1950년대의 프랑스는 헤겔(Hegel), 후설(Husserl), 하이데거(Heideggar)라는 이른바 3H가 지배하던 시기였다. 그래서 그가 쓴 첫 번째 저작은 현상학에 대한 것이었다. 1959년까지 10년 간 고등학교 철학 교사를 했는데, 그 중 일부는 알제리에서 보냈으며, 알제리 해방운동의 열렬한 지지자였고, 알제리 문제에 대해 프랑스 정부의 정책에 저항하는 전투적 활동가였다. 1956년부터 1966년까지 그는 카스토리아스나 르포르 등과 함께 극좌적인 사회주의 잡지 (사회주의인가 야만인가)와 사회주의 신문 (노동자 권력)의 편집위원으로서 활동하였다. 이 그룹은 흔히 트로츠키주의적이라고 분류되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프랑스 공산당이 이끌던 주류 좌익에 대한 좌익적 비판 조직들 가운데 하나였다고 하는 게 더 적절해 보인다. 그런 만큼, 1968년 혁명의 진원지였던 낭테르 대학(현재 파리 10 대학)의 강사였다는 사실을 접어 둔다고 해도, 그가 ‘쁘띠 부르주아들의 관념적 급진성’의 소산이라고 공산당과 노동조합이 비난하던 68년 혁명에 적극 개입했던 것은 차라리 자연스러운 일이었던 셈이다. 68년 혁명은 그 성과의 하나로 뱅센(Vincenne) 실험대학을 탄생시켰는데, 나중에 생 드니(Saint Denis)의 파리 8대학과 통합된 이 대학에서 료타르는 1989년 은퇴할 때까지 철학을 가르쳤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83 김파 / 최룡관 2015-03-27 1 4435
282 아방가르드/ 시론 2015-03-27 0 4281
281 심상운 시와 기호 2015-03-23 0 4323
280 문덕수 현대시론 2015-03-23 0 4984
279 강경애 문학비 2015-03-23 0 4259
278 김창걸 문학비 2015-03-23 0 4716
276 초현실주의 혁명 2015-03-21 0 4269
275 초현실주의 요약자료 2015-03-21 0 4653
274 첫수확 노래비 2015-03-18 0 4334
273 류연산 문학비 2015-03-18 0 5158
272 최룡관 시비 2015-03-18 0 4226
270 심련수 시비 2015-03-18 0 4341
269 김파 시비 2015-03-18 0 5012
268 정몽호 시비 2015-03-18 0 4373
267 김학철, 김사량 문학비 2015-03-18 0 5484
265 조룡남 시비 2015-03-18 0 4715
264 최문섭 시비 2015-03-18 0 4404
263 김례삼 시비 2015-03-18 0 4876
262 채택룡 시비 2015-03-18 0 4241
261 윤정석 시비 2015-03-18 0 4948
260 동시인 - 강려 2015-03-18 0 4534
259 정판룡 문학비 2015-03-18 0 4854
258 연변 문학비 순례 2015-03-18 0 4435
256 선구자의 노래은? 2015-03-17 0 4614
255 윤동주 시비 ㄴ 2015-03-17 0 4194
253 윤동주 시비 2015-03-17 0 4302
252 김성휘 시비 2015-03-17 0 4593
251 詩碑의 是非 2015-03-17 0 4231
250 리욱 시비 2015-03-17 0 4818
249 시평 절록/ 김관웅 2015-03-15 1 5315
247 시인 - 최룡국 2015-03-15 0 4666
246 시인 - 리련화 2015-03-15 0 4821
245 시조시인 - 최혜숙 2015-03-15 0 4755
244 시인 - 박룡철 2015-03-15 0 4398
‹처음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