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네개의 이름을 가진 시인
2015년 04월 05일 14시 58분  조회:4377  추천:0  작성자: 죽림
(서울) 김정선 기자 = 1910년 함경남도 북청군에서 태어난 시인 이찬은 1974년 사망해 조선의 애국렬사릉에 묻힌 것으로 알려져있다.

16년 간 이찬의 삶과 문학을 연구해온 시인이자 문학평론가 김응교(45) 와세다대 문학부 객원교수가 이찬의 문학세계를 시대 순으로 비평한 '이찬과 한국 근대문학'을 펴냈다.

책에서 이찬은 "네 개의 이름을 가진 시인"으로 소개됐다.

1930년대 이찬은 자신의 글에 이름을 한자인 '李燦'으로 표기했고 그동안 그와 관련된 연구 결과를 살펴봤을때 1940년대 '아오바 가오리'(靑葉薰)라는 이름으로 친일문학 활동을 했으며 1950년대에는 '리찬'이라는 이름으로 조선의 혁명 시인이 됐다는 것이다.

이어 1987년 한국에서 조선문학이 해금되면서 그와 관련된 논문이 발표되기 시작했는데, 그때부터 '이찬'이라는 이름으로 연구되고 있다는 설명이다.

책에 따르면 1928년 시를 발표하기 시작한 이찬은 초기에 현실 인식을 나타낸 작품세계를 보여주다 시간이 지나면서 비관적 랑만주의를 엿볼 수 있는 시를 발표한다.

김 교수는 이찬이 "좌절된 프롤레타리아 운동에 절망하고 먹고 살아야 할 생계 문제에 봉착해 절망과 도피를 경험했다"며 "1940년대 이후에는 친일시 '송출진학도'(送出陳學徒) 등 친일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다"고 주장했다.

해방이 되자 함경도로 돌아간 것을 두고 김 교수는 "그는 월북 시인이 아니라 고향으로 돌아간 시인이었다"며 "그의 시에는 늘 조선의 어촌 마을, 국경 마을이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이찬은 '김일성 장군의 노래'를 지은 조선의 혁명시인이며 조선에서는 그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영화 '민족과 운명'도 만들어졌다고 한다.

김 교수는 "이찬 시인은 근대문학의 안테나 같은 존재로 경향시, 옥중시, 낭만적이고 모더니즘적인 시, 친일시, 조선 혁명시 등 우리 문학의 첨예한 변화를 모두 보여준다"고 말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643 이승훈 시모음 2015-07-18 0 4733
642 <자본주의> 시모음 2015-07-18 0 4548
641 알기 쉬운 현대시 작법 2015-07-18 0 4804
640 김소월과 에이츠 2015-07-17 0 4953
639 좋은 시를 쓰는 王道 // 령혼을 노크해주는 글 2015-07-15 0 4860
638 표절과 령혼 2015-07-15 0 4832
637 표절은 작가자신의 령혼을 죽이는 자살행위... 표절은 독자들의 령혼을 죽이는 타살행위... 2015-07-15 0 4669
636 김억과 김소월 2015-07-14 0 5607
635 윤동주와 일본 시인 // 시문학의 흐름 2015-07-12 0 5498
634 한국 최초의 자유시 2015-07-12 0 4204
633 新體詩 시인 - 최남선 / 자유시 선구자 - 주요한 2015-07-12 0 5162
632 하이퍼텍스트 詩 들여다보기/현대시의 흐름/바이런시인 시모음 2015-07-09 0 5545
631 <<死愛>> 2015-07-09 0 5424
630 어둠의 아이들과 햇빛의 아이들이... 2015-07-09 0 5698
629 그 누구나 시의 전파자가 되는 날을 위하여... 2015-07-08 0 4648
628 우리 민족 문단 최초의 시인 2015-07-06 0 4734
627 우리 민족 문단 최초의 시선집 2015-07-06 0 4477
626 <<풀보다 먼저 눕고 먼저 울고 먼저 일어서는>> -"국민시인" 2015-07-05 0 5089
625 윤동주와 정지용, 리륙사와 로신 // <<향수>>와 <<추억>> 2015-07-04 0 6440
624 두 시인의 마음속 "고향"은...? 2015-07-04 0 4474
623 다시 알아보는 시인 백석 2015-07-04 0 4759
622 <소주> 시모음 / 김소월시인과 담배, 술, 진달래꽃 2015-07-04 0 5569
621 포스트/모더니즘시론의 력사 2015-07-04 0 4645
620 2015년 7월 4일자 한국 중앙일보 윤동주 시한편 등고해설 2015-07-04 0 4689
619 다시 알아보는 시인 조기천 2015-07-03 0 5218
618 전쟁과 화폐살포작전 / 짧은 시 모음 2015-07-03 0 5499
617 항상 취해 있으라... 2015-07-03 0 4778
616 <지렁이> 시모음 2015-07-01 0 4873
615 미친 시문학도와 싸구려 커피 2015-06-30 0 4613
614 체 게바라 시모음 2015-06-28 0 4758
613 파블로 네루다 시모음 2015-06-28 0 4683
612 <시인들이 이야기하는> 시모음 2015-06-27 0 5154
611 <夏至> 시모음 2015-06-22 0 4530
610 시를 설사하듯 쓰기와 시를 느린보로 쓰기와 좋은 시 다섯편 남기기 2015-06-22 0 5050
609 연변 작가계렬 취재 1 2015-06-22 0 4769
608 다시 읽는 우리 문학 2 2015-06-22 0 5028
607 다시 읽는 우리 문학 1 2015-06-22 0 4555
606 리임원 시집 출간 2015-06-21 0 4420
605 李仁老 漢詩 2015-06-20 0 6800
604 녀성詩 어디까지 왔나ㅠ... 2015-06-19 0 4098
‹처음  이전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