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패러디시 쓰는 법
2015년 04월 04일 21시 39분  조회:7934  추천:1  작성자: 죽림

 

패러디시  쓰는 법

 

패러디 시쓰기는 기존의 시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방법으로 제2의 창작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 시의 골격이나 분위기만을 빌어와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것을 닮는 것으로 흥미를 유발하면서 시의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래서 패러디시는 원시와 함께 이중적으로 읽는 묘미와 패러디의 신선한 발상으로 유머와 재미를 발견하는 것이 특징이 된다. 따라서 재미있으면서 의미를 새롭게 해석할 수 있으니 가벼운 마음으로 발상의 전환을 시도해보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

 

패러디시의 원시가 많이 알려진 것을 선택하는 것은 독자가 원시에 대한 기존의 틀을 이해하고 있다는 것을 전재로 하기 때문에 패러디시의 묘미를 발견할 수 있게 하지요. 이럴 경우는 원시를 제시하지 않아도 되지만 그렇지 않는 경우는 원시를 제시해야 패러디시를 이해할 수 있지요.

 

그러나 원시가 많이 알려진 경우가 아니라면 기존 원시에 대한 이해와 패러디에 대한 이해를 동시에 해야하는 부담이 독자에게 주어지게 때문에 패러디시의 발랄함을 발견하는데 무리를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가능한 기존에 많이 알려진 시를 가지고 하는 것이 좋습니다.

 

김소월의 <진달래꽃>이나 김춘수의 <꽃>을 가장 많이 한다고 해도 패러디시에서 전하고자 하는 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에 모두가 새롭게 읽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되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香氣)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꽃>을 패러디한 시 모음 

꽃의 패러디

                          오규원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왜곡될 순간을 기다리는 기다림
그것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렀을 때

그는 곧 나에게로 와서

내가 부른 이름대로 모습을 바꾸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렀을 때

그는 곧 내게로 와서

풀, 꽃, 시멘트, 길, 담배꽁초, 아스피린, 아달린이 아닌

금잔화, 작약, 포인세치아, 개밥풀, 인동, 황국 등등의

보통명사나 수명사가 아닌

의미의 틀을 만들었다.

 

우리들은 모두

명명하고 싶어 했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그리고 그는 그대로 의미의 틀이 완성되면

다시 다른 모습이 될 그 순간

그리고 기다림 그것이 되었다. 

  

<작품 정리>

 

주제 : 존재를 왜곡시키는 인식행위
특징 : ① 김춘수의 ‘꽃’을 패러디하여 유사한 형식과 구절을 반복하고 있다. 
         ② 사물을 인식하는 행위를 통해 존재의 본질에 대한 독특한 의식을 보이고 있다.
 
 
<작품 해설>

 

  이 시는 김춘수의 '꽃'을 패러디한 작품으로, 이름을 붙이는 순간 존재는 왜곡된 모습을 보임을 노래하고 있다. 무의미한 존재였던 대상이 명명과 인식의 과정을 통해 의미 있는 존재로 변화하고, 이어 '나'와 '너'의 상호 인식을 통해 관계가 '우리'로 확산되고 있음을 잘 보여 준다. 김춘수의 ‘꽃’은 명명행위를 통해 대상이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 서로 그러한 관계를 맺기를 바라지만, 이 시에서 화자는 명명 행위가 곧 대상의 본질을 왜곡시키는 것(존재의 본질은 인간의 부여에 의해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그렇게 해서 형성되는 것이다)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이는 존재의 본질은 파악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이다.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김춘수의 꽃을 변주하여 / 장정일

 

내가 단추를 눌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라디오에 지나지 않았다.

내가 그의 단추를 눌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전파가 되었다.

내가 그의 단추를 눌러 준 것처럼
누가 와서 나의
굳어 버린 핏줄기와 황량한 가슴 속 버튼을 눌러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전파가 되고 싶다.

우리들은 모두
사랑이 되고 싶다.
끄고 싶을 때 끄고 켜고 싶을 때 켤 수 있는
라디오가 되고 싶다.


<작품 정리>

 

성격 : 패러디, 해체적
어조 : 풍자적, 반어적
특징 : 김춘수의 시 '꽃'을 패러디한 작품으로 표현과 구성에 있어서 원작의 틀을 따르고 있음.
구성 : 1연 - 접근이 허락되지 않은 존재
         2연 - 접근이 허락된 존재
         3연 - 타인에게 접근의 허락을 받고 싶은 화자의 소망
         4연 - 편리한 사랑을 원하는 '우리'의 소망
제재 : 라디오(김춘수의 시 '꽃'), 현대 도시 문명
주제 : 현대인들의 가볍고 경박한 세태에 대한 풍자

 

<작품 해설> 

  이 시는 김춘수의 시 '꽃'을 패러디(parody)하여 재창작함으로써 원작과는 다른, 작가의 독특한 관점을 표현한 작품이다. 작가는 원작인 '꽃'의 의미를 뒤집어 현대 사회의 인스턴트 식(式) 사랑을 나타내고 있고, 김춘수의 '꽃'을 패러디한 다른 작품으로 오규원의 '꽃의 패러디'가 있다. 이 시는 대중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작품인 '꽃'의 의미를 작가 특유의 방법으로 뒤집어 현대 사회의 풍속도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타인과의 지속적이고 친밀한 관계를 원하지 않는 메마른 태도로 나타나며, 또한 자신이 내킬 때는 애정을 나누다가도 마음이 바뀌면 상대가 곧 사라져 주기를 바라는 이기적인 태도로 그려져 있다. 김춘수의 시 '꽃'을 패러디함으로써 작가는, '꽃'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진지하고 친밀한 인간 관계가 오늘날에도 감동과 갈망을 불러일으킬 수 있겠느냐는 반문을 던지고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403 <새> 시모음 2015-04-17 0 4306
402 <개나리> 시모음 2015-04-17 0 4517
401 <봄맞이> 시모음 2015-04-16 0 4618
400 <풀꽃> 시모음 2015-04-16 0 4042
399 <아버지> 시모음 2015-04-16 2 4892
398 <채송화> 시모음 2015-04-16 0 4803
397 <나이테> 시모음 2015-04-16 0 4269
396 반칠환시인 시모음 2015-04-16 1 5657
395 <소나무> 시모음 2015-04-16 0 5210
394 시 낯설게 하기와 조향시인 2015-04-14 1 4652
393 조향시인을 그리며... 2015-04-14 0 4321
392 사랑의 계관시인 - 김남조 2015-04-14 0 5103
391 영국 잉글랜드 시인 - 엔드류 마블 2015-04-14 0 4710
390 왕당파 시인 / 형이상파 시인 2015-04-14 0 6360
389 형이상시의 고찰 2015-04-14 1 4892
388 사랑의 형이상적 시인 - 존던 2015-04-14 0 5415
387 영국 형이상학파 시인 - 존단 2015-04-14 0 5520
386 無韻詩 2015-04-14 0 4827
385 詩의 飜譯 2015-04-14 0 4885
384 <장미꽃> 시모음 2015-04-14 0 5150
383 멕시코 시인 - 옥타비오 파스 2015-04-13 1 5318
382 아르헨티나 시인 - 후안 헬만 2015-04-13 0 4618
381 혼다 히사시 시모음 2015-04-13 0 5338
380 詩의 病 2015-04-13 0 4271
379 <축구> 시모음 2015-04-13 0 6089
378 100세 할매 일본 시인 - 시바타 도요 2015-04-13 0 4845
377 로동자시인 - 박노해 2015-04-12 0 5127
376 박용래 시모음 2015-04-12 0 6208
375 <민들레> 시모음 2015-04-12 1 4616
374 <매화> 시모음 2015-04-12 0 6463
373 러시아 농민시인 - 이사코프스키 2015-04-12 0 5107
372 명시인 - 백석 2015-04-12 1 6957
371 <그릇> 시모음 2015-04-12 0 4628
370 <봉숭아> 시모음 2015-04-12 0 4794
369 <숟가락> 시모음 2015-04-12 0 4385
368 시인의 明과 暗 2015-04-12 0 4391
367 <진달래> 시모음 2015-04-12 1 4430
366 <국화> 시모음 2015-04-12 4 4834
365 <목련> 시모음 2015-04-12 0 5488
364 김지하 / 五賊 2015-04-10 0 4828
‹처음  이전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