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로인협회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조기천 및 부동한 문학주장 /허동식
2015년 04월 03일 22시 30분  조회:4661  추천:0  작성자: 죽림
조기천의 시 그리고 부동한 문학주장에 대한 생각
                                                                                     허동식
 

       연길행에서 만난 동창생 하나가 조기천의 시 <<싸우는 조선>>이던지를 왕왕 암송하여 주었다.그 장소에서 나는 조금은 까맣게 잊어버린 조기천시인의 시를 생각해보고싶었다. 
    고중을 다닐 때에는 조기천의 시를 조선문으로 된 시의 최상으로 생각하였다. 그것이 개인적인 편애였다면 도한 사회문화분위기가 만들어준 결과였으리라. 그래서 뒤에도 조기천의 시집도 마련하고 북경류리장에서 일본어로 된 시를 중국어로 번역한 <<백두산>>을 한권 구입하고 무척이나 좋아하였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다나니 많은 사람들이 이제는 조기천과 조기천의 시를 까마아득하게 잊어버리고있다는 생각에 슬프지도 기쁘지도 않는 그럴사한 기분에 사로잡힌다.
    현재 우리의 마음에 과거의 일원정치에 대한 부정심들이 우뚝 솟아있다고 한다면 조기천시인의 시작들 배후에 다소는 작간하여온 사회정치공리성 때문에 그의 시작들을 전혀 무시할수는 있겠다. 그러나 조기천의 시작들에 내재하는 아름다움들에 대하여 아주 내버린다는것은 좋은 일이 아니다. 조기천 시작들에 피여난 호방미와 격정미를 무시한다면 그것은 불공평으로도 되겠다.
 
    세상에는 부동한 문학주장들이 우거져있다. 그러나 매 하나의 문학주장마다가 사회적인 문학적인 개인적인 배경이 있다. 때문에 어떠한 문학주장을 해독하든지 그러한 문학주장뒤에 숨겨진 요인들을 읽어낼줄을 아는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구미와는 다른 문학주장을 접하였을 때에는 한마디노! 보다도 리지적인 분석과 판단이 필요하다. 물론 부동한 문학주장을 펴는 사람도 펴내보이는 문학주장을 보다 <<깨끗하게>>, 말하자면 명확하고 남들이 알아듣기 쉽게 표현하는것도 중요한 일이다.
 
   고금중외에 있었던 문학주장들을 많고도 많다. 그러나 그 문학주장들을 분류해본다면 대부분은 문학의 내용, 문학의 방법 그리고 문학내용과 문학방법의 관계에 대한것들이다.
1 문학의 내용, 문학의 내용면에 있어서는 조금 과거에는 사회정치공리성의 영향을 엄청 받아왔다.그러나 어떠한 가치관과 사조의 영향을 받아왔던지 문학의 내용은 진실성이 최상의 규준이라고 생각된다. 인간과 인간사회가 아름답던지 추악하던지를 불문하고 문학의 내용이 진실하지못하다면 문학작품은생명성이 없다.
2 문학의 방법, 부동한 문학방법은 주로는 심미적인 취향이 가져오는 결과이다. 누구는 나무를 즐기고 누구는 꽃을 즐기듯이 부동한 시대에 부동한 문학인들은 자기의 심미취향을 선택할 자유가 있다. 그러므로 꽃을 즐기는 작자가 나무를 즐기는 작자를 삿대질하거나 진달래를 즐기는 작자가 국화를 즐기는작자를 삿대질하는 일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3 문학내용과 문학방법의 관계면에서는 어느 문학인도 그것을 아주 조화롭게 균형되게 처리한다는것은 너무나도 힘든 일이다. 그렇게 요구할수는 있지만 필경은 무한대의 접근에 불과하다. 문학내용과문학방법의 천평이 기울이지거나 흔들리는것은 정상적인 일로서 그것으로만 문학인과 문학작품을 평한다는것은 난쟁이 문학평론가들의 일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2083 중국 당나라 문사 - 류우석 2017-04-21 0 3757
2082 중국 당나라 시인 - 맹호연 2017-04-20 0 5258
2081 세계를 매혹시킨 불멸의 시인들 2017-04-20 0 3784
2080 아프리카 세네갈 시인 - 디오프 2017-04-20 0 4058
2079 독일 랑만주의 서정시인 - 아이헨도르프 2017-04-20 0 4806
2078 프랑스 시인 - 폴 클로델 2017-04-19 0 5690
2077 "당나귀 시인"을 사랑했던 시인들 2017-04-19 0 3526
2076 프랑스 시인 - 프랑시스 잠 2017-04-19 0 4564
2075 독일 시인 - 횔덜린 2017-04-19 0 6643
2074 헝가리 시인 - 브로샤이 2017-04-18 0 4037
2073 프랑스 시인 - 자끄 프레베르 2017-04-18 0 4292
2072 프랑스 초현실주의 시인 - 루이 아라공 2017-04-18 0 5611
2071 프랑스 시인 - 레미 드 구르몽 2017-04-18 0 5539
2070 영국 계관시인 - 테니슨 2017-04-18 0 4438
2069 프랑스 시인 - 로베르 데스노스 2017-04-11 0 4725
2068 프랑스 시인 - 브로샤이 2017-04-11 0 4035
2067 프랑스 시인 - 자크 프레베르 2017-04-11 0 5667
2066 윤동주가 사랑했던 시인들 2017-04-10 0 4023
2065 "내 귀는 소라껍질/ 바다소리를 그리워하네"... 2017-04-10 0 5376
2064 프랑스 시인 - 장 콕토 2017-04-10 0 5940
2063 프랑스 시인 - 생 종(존) 페르스 2017-04-10 0 4384
2062 미국 시인 가수 밥 딜런는 누구인가... 2017-04-03 0 4917
2061 노벨문학상 타고 침묵으로 일관하다... 2017-04-03 0 3901
2060 스페인 시인 - 히메네스 2017-04-02 0 4046
2059 스페인 시인 - 미겔 에르난데스 2017-04-02 0 4452
2058 동요 "반달"의 작곡가와 그리고 룡정 2017-04-02 0 3817
2057 영국 계관시인 - 벤 존슨 2017-03-30 0 3545
2056 영국 형이상학파 시인 - 존.던 2017-03-30 0 5976
2055 80세, 공부와 시쓰기가 인생 끝자락의 제일 큰 행복이라고... 2017-03-23 0 3573
2054 77세에 등단, 80세에 詩集 출간... 2017-03-20 0 3892
2053 80세에 첫 詩集... 2017-03-20 0 3698
2052 윤동주의 시는 이 땅의 모든 사람들에게 용기를 주고있다... 2017-03-18 0 3689
2051 정병욱 큰 보람= "윤동주의 시를 간직했다가 세상에 알린 일" 2017-03-18 0 4737
2050 [고향문단소식]- 화룡 출신 최룡관시백 "하이퍼시창작론" 출간 2017-03-17 0 3404
2049 일본 민주주의 녀류시인 - 이바라키 노리코 2017-03-12 0 4992
2048 천재시인 李箱의 시작품 뮤지컬로 재탄생하다... 2017-03-04 0 3308
2047 프랑스 시인 - 페기 2017-03-01 0 4988
2046 일본 시인 - 혼다 히사시 2017-02-23 0 4145
2045 남아메리카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자 칠레 녀류시인 -미스트랄 2017-02-22 0 5809
2044 페루 시인 - 바예호 2017-02-22 0 4252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11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