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보물 + 뒷간

갑골문 / 곽말약
2015년 04월 02일 22시 19분  조회:5434  추천:0  작성자: 죽림

 

 

  

1. 甲骨文(殷商)

은상시기의 선조들은 특별히 귀신을 숭상했다. 

크고 작은 모든 일, 즉 전쟁수렵경작을 비롯하여 자연의 풍우와

번개 등은 일종의 신의 역량으로 좌우된다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일을 하기 전에 먼저 신령의 암시를 얻기 위해 신에게 점을 물었다. 

점을 묻는 방법으로 처음에는 소나 말의 견갑골을 불에 태워 파열된 문양의

조짐을 보고 길흉을 정했다.  이후 수골(獸骨)과 갑골(甲骨)을 겸용했다. 

그리고 점괘와 이와 관계된 일을 갑골에 새겼으니 이것이 바로 ‘갑골문’이다.

 

갑골문의 하남성 안양 소둔촌의 은허에서 최초로 출토되었다. 

당시는 이것이 중요한 고물(古物)인지 모르고 혹 잘게 부수어 ‘도첨약(刀尖藥)’을 만들거나

혹은 대부분 약재로 쓰이는 ‘용골(龍骨)’로 사용했다. 

이는 광서 25년(1890년에 왕의영(王懿榮)과 유악(劉鶚) 등이 발견했으며

1904년 손이양(孫詒讓)이 『계문거례(契文擧例)』를 편찬하여 처음 고증하고 풀었다. 

이후 계속하여 발굴해서 약 10만 편 이상이 되었으며 현재 알고 있는

단독자는 약 5000자이며 이중에서 1500자 정도만 해독이 가능하다. 

문자의 결구는 이미 단독자에서 합체자로 향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약 20% 정도의 형성문자가 나타나고 있다.  이것들은 상당히 성숙한 것으로

현재 볼 수 있는 가장 오래된 문자이다. 

 

장기간의 연구를 걸쳐 동작빈(董作賓, 1895-1963)은 새겨진 글씨의 서로 다른 풍격에 따라

은나라 후기 약 300년간의 갑골문을 5시기로 나누고 또한 신구 양파로 분리했다. 

 제1시기는 반경(盤庚)에서 무정(武丁)에 이르는 기간으로(二世四王) 서풍은 웅장하고

위대하며 기세는 드높다.  제2시기는 조경(祖庚)과 조갑(祖甲)에 이르는 기간으로(一世二王)

서풍은 근엄하고 온유하면서 조용하다.  제3시기는 늠신(廩辛)과 강정(康丁)에

이르는 기간으로(一世二王) 서풍은 무너져 거칠고 구차하며 때로는 전도되어 틀리기도 한다. 

제4시기는 무을(武乙)과 문정(文丁)에 이르는 기간으로(二世二王) 서풍은 혹 거칠고 성글며

고졸하면서 굳세거나, 혹 기울고 생동하면서 골력이 펼쳐지기도 하며,

혹 가늘고 작으면서 수려하다.  제5시기는 제을(帝乙)과 제신(帝辛)에 이르는 기간으로(二世二王)

서풍은 엄정하고 큰 글자는 비교적 적으며 작은 글자는 엄숙하고 공정하며

수려하면서 자태가 다양하다. 
  곽말약(郭沫若)은 『계수편ㆍ자서(契粹篇ㆍ自序)』에서 이렇게 말했다.

 

복사는 귀골에 새긴 것으로 그 새김이 정갈하고 글씨가 아름다워 수천 년 뒤인

우리들에게 정신을 전해준다.  문자의 작풍 또한 사람과 세상에 따라 다르다.……

세상에 새김 문자가 존재함은 실로 일대의 법서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글씨를 새긴 사람은 은나라의 종요왕희지안진경유공권이다.

卜辭契于龜骨, 其契之精而字之美, 每令吾輩數千載後人神往. 文字作風且因人因世而異……

足知存世契文, 實爲一代法書. 而書之契之者, 乃殷世之鍾王顔柳也.

 

도판은 제1시기의 대표적인 갑골문으로 가장 완전하며, 전체는 6단락으로 나누어졌으나

읽는 방향에 다름이 있다.  서풍으로 보면 필의가 상당히 웅장하고 호방하면서

통쾌하고 시원하며 필법이 정갈하고 능숙하면서 교묘하다. 

필획마다 굵고 가늠이 다르며 한 필획에서도 암암리 경중이 있고

내리긋는 획은 더욱 입체감이 있다.  특히 왼쪽부분(제5단락) 선의 변화는 더욱 풍부하고

기세는 분방하며 골력은 굳세어 큰 기세를 이룬다. 

가장 주의할 점은 각종 전절에 방절(方折)과 원전(圓轉)이 있다는 것이다. 

방절은 비록 직선으로 서로 접하나 매우 교묘함과 동시에 경중과 음양으로 나누어

더욱 의미가 있으니 ‘日’‘貞’이 그러하다. 

원전은 도법이 유창하고 경중과 굵고 가늠이 뜻에 다라 변해 마치 쓴 것과 같은

의취가 있으니 ‘旬’이 그러하다.  이러한 것은 서예뿐만 아니라 전각에 대해서도

매우 계발적인 의의가 있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3117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17 볼가 보지 말가... 2015-02-24 0 6083
116 잊혀진 어원찾기 11 2015-02-24 0 6852
115 잊혀진 어원찾기 10 2015-02-24 0 6429
114 잊혀진 어원찾기 9 2015-02-24 0 5790
113 잊혀진 어원찾기 8 2015-02-24 0 5507
112 잊혀진 어원찾기 7 2015-02-24 0 5035
111 잊혀진 어원찾기 6 2015-02-24 0 7217
110 잊혀진 어원찾기 5 2015-02-24 0 5345
109 잊어진 어원찾기 4 2015-02-24 0 5501
108 잊혀진 어원찾기 3 2015-02-24 0 4791
107 잊어진 어원찾기 2 2015-02-24 0 6063
106 잊혀진 어원찾기 1 2015-02-24 0 4930
105 호곡령을 넘으며... 2015-02-21 0 5400
104 전통 절하는 방법 2015-02-19 0 5270
103 책 경매 !!! 2015-02-18 0 5581
102 연변 방언 2 2015-02-17 0 5359
101 연변 사투리 모음 2015-02-17 0 9305
100 격언;- 시간에 관하여 2015-02-17 0 4991
99 조선시대 정경 2015-02-17 0 5694
98 묘비명 2015-02-17 0 5103
97 고리끼 명언 2015-02-17 0 6636
96 명언 모음 2015-02-16 0 6882
95 결혼 축시 모음 2015-02-16 0 7512
94 세상에서 제일 2015-02-16 0 7092
93 제일 짧은 시와 제일 긴 시 2015-02-16 0 9037
92 영화의 제일 2015-02-16 0 4742
91 안중근 저술 2015-02-16 0 4726
90 안중근 유묵 18점 2015-02-16 2 5098
89 안중근 어머님 편지 2015-02-16 0 5198
88 안중근 좌우명 2015-02-16 0 5877
87 번자체와 간자체 2015-02-15 0 7403
86 닮은 꼴 비슷한 국기들 2015-02-15 0 6403
85 살림 지혜 모음 2015-02-15 0 6686
84 생활상식 180가지 2015-02-15 0 5518
83 삶과 6가지 진실 2015-02-15 0 5422
82 남자를 파는 가게 2015-02-15 0 6272
81 마음속에 새겨두라... 77가지 2015-02-15 0 6111
80 세계속 지페에 오른 녀성들 2015-02-15 1 5776
79 짧은 자서전 2015-02-15 0 6378
78 황금단어 51개 2015-02-15 0 5700
‹처음  이전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