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4월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심정호
2015년 03월 13일 21시 58분  조회:5369  추천:0  작성자: 죽림
이미지보기
 
 
이미지보기
출간모임은 연변작가협회 연변시인협회에서 주최하고 룡정시 
개산툰진 정부에서 협찬했습니다.
 
이미지보기
심정호 시인 (왼쪽> 개산툰진 정부에 작품집을 증정
 

심정호시집 <흙 묻은 이름 >출간모임이 오늘 연길에서  있었습니다. 
 
심정호 시인은 1963년 <산골에 전기 오니>를 <연변일보>에 발표하면서 등단했습니다. 그후 시인은 수십년간 농업로동에 종사하는 한편 개산툰진 통신협회 회장, 룡정시 보도중심 주임. 여러 신문 특약기자로 활약하면서 문학창작을 견지했습니니다. 2006년 시인은 연길로  이주해오면서 고향사람, 고향산천 의미를 되새길수 있는 기회를 가졌으며 이를 문학작품에  반영했습니다. 심정호시인은 어곡전을 비롯해 개산툰의 력사를 알리는데도 일정한 기여를 했습니다. 시집 <흙묻은 이름>은 <고향집>,<어곡전>,<핸들을 잡고 시를 쓰노라>,<하늘아>,<고사리>,<조각달>등 6개 부분으로 나눠 시 100여수를 수록했습니다. 그중 2천년에 들어서서 창작한 시가 반수이상을 차지합니다. 시집 <흙묻은 이름>은 2011년 출판된 지방지 <두만강은 흐른다>에 이어 심정호시인이 펴낸 두번째 작품집입니다.  

연변 문단의 부분적 작가, 시인들과 개산툰진 당위, 정부 책임자 그리고 심정호시인의 고향친구들이 출간모임에 참가했습니다.  

사진/글: 연변인터넷방송 리은파기자  

 

심정호시인 《두만강은 흐른다》 출간

 

 

2011년 03월 21일 11:04

 

심정호시인이 4년 남짓한 시간을 들여 수집, 정리한 개산툰의 력사자료들로 묶어진 《두만강은 흐른다》가 연변인민출판사에 의해 출간되였다.

개산툰에서 나서 자란 심정호시인은 한손에 호미를 쥐고 한손에 붓대를 잡아온 향토시인, 농사일의 여가를 타서 문학작품창작에 전념해왔다. 

저자는 독자들로 하여금 개산툰이란 이 고장을 깊이있게 료해하도록 하고싶었고 그 와중에 애국주의교양면에서도 한권의 유용한 향토교재로 될수 있는 책을 펴내고싶었는바 그래서 묶어낸 책이 《두만강은 흐른다》이다.

원 연변일보사 오태호총편집은 서문에서 “혁명전통교양의 교재로서, 향토교양의 교재로서, 더 나아가 애국주의교양의 교재로서 모자람이 없는 책인바 지난날의 력사를 공부하고 오늘의 현실을 직시하며 미래에 대한 비전을 키우는데 밑거름으로 될수 있다”고 평가하고있다.

27만자에 달하는 이 책은 지역명칭의 유래로부터 시작하여 반일투쟁, 민족교육, 해방후의 개황, 어곡전 등 총 7장으로 구성되여있다. 그리고 개산툰에 깃든 전설들도 부분적으로 수록되여 읽는 재미를 더해주고있다.

 연변일보 (편집: 김성해)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03 詩는 시인의 눈에 비친 그림 2015-12-31 0 3990
802 詩의 징검다리는 어디?... 2015-12-31 0 4268
801 詩의 생명력 /// 난해시에 대하여 ///난해시 사랑 2015-12-31 0 4431
800 詩에서의 상징주의 2015-12-31 0 4824
799 극단적 미래파 詩는 사기... 2015-12-31 0 4776
798 난해함 대신 일상 파고드는 시쓰기... 2015-12-31 0 4314
797 삶속에서 게으름 피우며 詩라는 배에 타보라... 2015-12-31 0 4175
796 동시창작은 다양화되여야 한다 /// 창작은 모방인가? 2015-12-30 0 4128
795 윤동주는 우선 동시인 2015-12-30 1 4510
794 중국조선족아동문학의 선구자 - 채택룡 2015-12-30 0 4532
793 유일한 황제는 아이스크림 황제다 /// 경청 - "길 하나 보인다..." 2015-12-28 0 4494
792 <<현대시 100년 詩의 계보>>를 위하여... <<로시인, 詩를 고발하다>>를 추천하매... 2015-12-28 0 4247
791 <<다시 대표작으로 보는 현대시>>시리즈를 일단락 마치며 - <<절실한 한마디>>를 추천한다... 2015-12-27 0 4573
790 윌리엄 불레이크, /// 칼 크롤로브 시해설 2015-12-10 0 6757
789 詩를 <<쉽게>> 짖자... / 좋은 시를 쓰기 위한 자기 점검 2015-12-10 0 4441
788 로신과 한국 2015-12-05 0 5260
787 천재시인 - 李白의 음주시 연구 /// 술과 시인 2015-12-05 0 5611
786 남영전의 토템시 연구 2015-12-05 0 5764
785 민족시인 심련수 유작시의 정리와 출판을 두고 / 그의 대표작 시 해설 2015-12-05 0 5249
784 중국 조선족 문학의 흐름과 전개과정 2015-12-05 0 4618
783 중국 조선족 한글문학의 현황과 과제 2015-12-05 0 5082
782 중국 조선족의 文學地圖 다시 그려야 2015-12-05 0 4722
781 중국 력사상 가장 영향력이 컸던 詩 10首 / 초현실주의 대하여 2015-12-04 0 4534
780 한국 문단의 <<4대 비극>> /// <락서> 시모음 2015-12-03 1 4928
779 중국 조선족 시단의 奇花異石 - 한춘詩論 2015-11-21 0 5018
778 詩碑의 喜悲쌍곡선 2015-11-13 0 4866
777 詩人共和國, 碑共和國 2015-11-13 0 4678
776 詩碑가 是非로 되지 않기까지의 詩碑로 되기... / 詩를 고발하다... 2015-11-13 0 5046
775 詩碑 是非 ㅡ 세상보기 2015-11-13 1 4827
774 是非의 나라, 詩碑의 나라 2015-11-13 0 5536
773 詩碑의 是非 2015-11-13 0 4669
772 시를 지을 때 비법은? / 시와 련애하는 법 2015-11-11 0 5185
771 선생은 詩 읊기를 좋아하지 않습니까... 2015-11-11 0 5214
770 고로, 난 시인이 아니다! 2015-11-09 0 5540
769 하늘 저 켠을 공연스레 볼 뻔하였다... 시는 시적인것. 2015-11-06 0 4655
768 사랑 詩 10수 / 가슴으로 하는 詩 2015-11-06 0 4662
767 "온몸시론" 2015-11-06 0 4466
766 시는 언어를 통한 언어 파괴의 자화상이다...?! 2015-11-06 0 4838
765 참된 령혼이 시인을 만든다... 2015-11-06 0 4820
764 이미지즘과 한국詩 2015-11-06 0 4713
‹처음  이전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