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동시인 -고 최문섭
2015년 03월 13일 20시 41분  조회:5621  추천:0  작성자: 죽림

                        (우측 최문섭 동시인)


동시집 물노래 돌노래” 출간
 

 
 
최문섭의 동시집 “물노래 돌노래”를 일전 연변인민출판사에 의해 출간되였다.
 
시집은”물노래 돌노래”, “꽃바람 꽃이슬” 등 여섯개 장절로 나뉘여 87수의 동시를 수록, 다양한 수법, 생동한 필치로 톡톡 튀는 동심의 세계를 보는듯이 구사하고있다.
 
시인은 “인생의 칠십고개를 올라서면서 일곱번째 동시집을 묶어보았다. 동시에 대한 애착은 사람을 젊어지게 할수 있다. 겉은 늙어도 속이 파랗게 젊으면 영원한 아이로 살수 있다. 나는 영원히 아이들속에서 사는것이 소원이다.”고 동시집에 자신의 창작관을 밝혔다.
 
최문섭시인은1942년 조선 함경북도 경원군에서 출생하여 다년간 출판계에서 사업, 일찍 연변인민출판사 아동문예부 주임, 아동문학총서”별나라” 주필, 편심 등을 력임했다.
“구름기차”, “물수제비”, “새싹은 햇병아리”, “불에 타버린 인생” 등 시집, 동시집을 펴냈으며 연변주정부 문학상,길림성소수민족문학상, 전국소수민족문학상, 한국 방정환아동문학상 등 문학상을 수상했다.
 
“물노래 돌노래”는 시인의 7번째 동시집이다.
 
김혁 기자
 
연변일보 “종합신문” 2011년 9월 19일

 






(우측 최문섭 동시인)

 

 

고 최문섭의 문학인생을 기리는 행사 펼쳐져
 


 
 
고 최문섭 동시인의 타계 1주기를 맞아 "최문섭의 문학과 삶"기념행사이 지난 4월 19일 연길시 삼꽃빌딩에서 있었다.
연변작가협회아동문학창작위원회, 연변청소년문화진흥회, 연변조선문독서사협회, 연변아동문학연구회, 연변조선족아동문학학회가 공동주최한 기념행사에서는 고 최문섭선생의 문학세계에 대한 특별조명을 통하여 동시창작, 동시조 개척과 청소년문화사업 그리고 민족출판사업에서 이룩한 성과와 새 세기 조선족아동문학의 번영과 발전에 기여한 영향에 대하여 긍정하고 조선족아동문학 특히 개혁개방이후 30년래 조선족아동문학사에서 차지하는 최문섭선생의 위치에 대해 탐구하고 평가했다.
연변작가협회아동문학창작위원회와 연변조선문독서사, 연변청소년문화진흥회에서 는 4월 20일부터 1개월간 연길공원 동시동네에서 “고 최문섭 동시회전”을 펼치게 되며 연길공원 동시동네에 최문섭선생의 동시 “콩나물”시비를 세우게 된다.
 
고 최문섭 동시인은 1942년 10월 27일 조선 함경북도 경원군에서 출생, 연변인민출판사 소년아동문예편집실 주임, “별나라’총서 주필등을 력임했다. 저서로는 동시집 “구름기차”, “물노래 돌노래”등 12권이 있으며 “20세기 중국조선족아동문학선집”, “황구연전집”등 수백권을 편집했다. 중국소수민족문학상, 진달래문예상, 한국방정환문학상, 전국 “3가지 100개” 도서풀판공정상, 전국 백종우수민족도서상 등 상을 수상했다.
 
김혁 기자
 
연변일보 종합신문” 2013 4 29
 

최문섭“콩나물동시비”를 말한다
                                                                                              
 강 길

 
 
언젠가 나는 “이런저런 동시를 보고 한마디”란 글을 써서 조글로 사이트에 올렸다. 네트즌의 반영은 한 사람인가 시원하게 잘 썼다고 호응하고 반대하거나 부동한 의견은 오르지 않았다.

최문섭의 동시 “콩나물”은 내가 비평한 동시중의 한수이다.
노란/음표들이/ 실눈을 뜨고 /줄지어 서있다// 하얀 /동요가 /시루안에  빼곡이 /차고 넘친다

보다싶이 2련 8행으로 된 동시다.
우리가 작곡가를 보고 콩나물대가리를 그린다고 하기도 하는데 그것은 음표가 콩나물대가리를 닮았기때문이다. 그러니 콩나물을 보고 음표를 련상할수도 있겠다.

그런데 콩나물이 줄지어 서있다? 마치도 소학생들이 운동장에 줄지어 서있는듯이? 최문섭이 무슨 콩나물시루를 보고 이 동시를 지었는지는 모르겠으나 나는 물을 먹고 무더기로 자라올라오는 콩나물은 보았지만 줄지어선 콩나물은 보지 못했다.
그리고 시루안에 금도 아니고 은도 아니고 돈도 아니고  똥도 아닌 동요가 빼곡이 차고 넘친다니 무슨 소리인지 모르겠다.
콩나물대가리=음표  음표=동요 고로 콩나물=동요   이는 최문섭의 사유방식이다.

콩나물대가리가 음표를 닮았다 해서 콩나물=동요라고 한것은  억지가 아닐수 없다. 최문섭의 론리가 성립된다면 시루안에 동요뿐만 아니라 한국노래, 조선노래,중국노래,일본노래도 가득 차있다고 해도 무방할것이다. 그렇다면 동요가 차있다는 주장이 독특한 시적발견으로도 될수 없을것이다.

동요는 아이들이 부르는 노래다.
최문섭이  시루속의 콩나물을 보면서 노래소리도 들었다는것은 환각일뿐이다. 콩나물은 우리 민족만 키워먹는것이 아니고  한족 등 다른 민족들도  키워먹는다.  하얀 동요든 노란 동요든 검은 동요든 시루안에 동요가 차고 넘친다는것은  얼토당토 않는 소리밖에 되지 않는다.

전성호는  "아동문학연구문집" (202쪽)에서 최문섭의 "콩나물"에 대해 "이 동시에서 콩나물의 하얀 줄기를 시각적인 감수로부터 청각적인 감수로 전이시켜 동요라고 명명한 시인의 이 비약은 콩나물자체를 음표에 비기는 세속적인 관습과 이어지고있는데 독자들에게 생동감을 안겨주면서 역시 신묘한 착상이고 자연스러운 전개이며 발견이라 인정된다." 하고 김만석은 "중국조선족동시발전과정과 2000년대중국조선족동시"란 글에서 최문섭의 "콩나물"에 대해 "여기서 원관념 '콩나물'을 보조관념 '음표'로 둔갑시키고  그 다음 회화적인 시루안에 빼곡한 콩나물의 정적인 형상을 '하얀 동요가 차고 넘친다'고 청각적인 형상으로 엉뚱한 승화를 시킨 여기에서 이 동시의 매력적 형상이 한결 돋보인다"고 하였는데 전성호의 "이 비약"이나 김만석의 "엉뚱한 승화"는 모두 생활론리를 떠난데서 비롯된것이다

연변작가협회아동문학창작위원회,연변조선문독서사, 연변청소년문화진흥회는 최문섭 별세 1주기를 맞아 4월 20일부터 1개월간 연길공원 동시동네에서 “콩나물”을 비롯한 14수의 동시로  “고 최문섭 동시화전”을 열었다고 한다. “콩나물”은 최문섭의 대표작이 될수 없다.

      또한 연변작가협회의 위탁을 받고 지난해 연길공원 동시동네에 최문섭의 “콩나물”동시비를 세우게 된다고 했었는데 올해 최문섭 별세 2주기로 밀어놓았다고 한다.

      동시 “콩나물”은 2003년에 출판된 최문섭동시집 “물수제비”에 수록된 작품이다. 최문섭이 그 “콩나물”을  책의 뒤표지에까지  박아놓은것을 보면 스스로 인정한 최문섭의 대표작인것만은 분명하다.

그런 “콩나물”을  강길- 나는 작품이 아니라고 호된 비평을 한것이다.그러나  아직까지 누구도 내가  볼수 있도록 나의 관점을 반박한 글을 어디에도 올린 사람은 없다. 하지만 조직적으로 “콩나물” 동시화전을 펼쳤거나 “콩나물”동시비를 세우고있다.

이런 조직적행동이 옳바르게 진행된 행사인지 세번 다시 생각해보기 바란다.

돌에 새겨놓것은 마사버릴수는 있어도 지워버릴수는 없다.

어느 학교의 “반디불”동요비에는 “살금살금 뛰여라“ 쯤으로 되여야 할것을 “살금살금 기여라”로 새겨놓았을것이다. 연변사전이나 조선사전이나 한국사전이나 어느 사전을  뒤져보아도 “기다”의 뜻풀이는 “배를 바닥에 붙이고 움직여 나아가다”로 되여있다.

그러니 기여서 어떻게 공중에 날아다니는 반디불을 잡을수 있겠는가?

 우리는 어린이들에게 옳바른 단어사용 교육도 책임져야 한다. 하나의 단어도 이럴진대 전반 시적착상이 엉망인 동시를 돌에 새겨 “콩나물”동시비를 버젓이 세운다는것은 바람직한 일이 못된다.

연길공원 동시동네에는  김례삼,채택룡, 윤동주,윤정석  네분의 동시비가 세워진걸로 나는 알고있다. “고개길”, “병아리”, “앵코타기”는  모두 연변에서 세월과  더불어 생명력을 이어온  명동요이다. 그속에 최문섭의 “콩나물”동시비가 세워진다면 연길공원 동시동네가 잡동사니동네로 되고말것이다.
 
동시비는 돈만 있으면 세워지는것이 아니다. 그것은 그 동시에 대한 긍정일뿐만 아니라 그의 인격에 대한 긍정이기도 하다. 또한 그것은 우리 문단의 력사적기념비로 살아 남아야  할것이다.

 

 

고 최문섭 동시화전 연길에서
                                                                                                     2013년 04월 20일  
 
이미지보기
 
 
이미지보기
 
 
이미지보기
 
 
이미지보기
 
 

최문섭시인의 별세 1주기를 맞아 어제 <최문섭 문학과 삶 특별조명> 기념모임에 이어 오늘 또 <고 최문섭 동시화전>이 연길공원 동시동네에서 펼쳐졌습니다. 

연변작가협회아동문학창작위원회와 연변조선문독서사협회, 연변청소년문화진흥회에서는 최문섭시인의 수많은 주옥같은 동시가운데서 <콩나물>, <물수제비>, <해살>, <이슬>, <물노래 돌노래>, <아기와 그림자>, <줄뛰기>, <구름기차>, <양떼와 흰구름>, <잠자리비행기>, <아기와 호박꽃>, <아기의 장난감>, <새싹은 햇병아리>, <아기와 그림자> 등 10여수를 선정해 동시화전를 펼쳤습니다. 

 

최문섭 시비 연길공원에 낙성  

2014/05/01 20:08

 

 

 

 

 

최문섭 시비가 4월19일 타계 2주기를 맞으면서 연변청소년문화진흥회(회장 한석윤)의 주최로 4월19일,연길공원에 낙성되었다.

1942년 10월 27일 조선 함경북도 경원군에서 출생한 고 최문섭 동시인은 연변인민출판사 소년아동문예편집실 주임, “별나라"총서 주필 등으로,동시집 “구름기차”, “물노래 돌노래”등 12권을 펴냈으며 “20세기 중국조선족아동문학선집”, “황구연전집”등 수백권을 편집했다.

고 최문섭 동시인은 생전에 중국소수민족문학상, 진달래문예상, 한국방정환문학상, 전국 백종우수민족도서상 등 상을 수상한 화려한 경력의 문학인이다.

최문섭 시비에는 그의 동시 “콩나물”이 새겨져 있다.

한석윤 회장은 “고 최문섭 동시인은 지난 세기 80년대에 구호식,설교식에 빠져있던 우리의 동요,동시를 시로 만들겠다는 일념으로 ‘동시는 우선 시여야 한다’는 구호를 내걸고 동시혁명에 뛰어들었던 시인이었다”고 평가하고 나서 “이번 시비에 새겨넣은 동시 ‘콩나물’과 같은 예술적인 향기가 물씬 풍기는 참신한 동시로,조선족동시단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으면서 자기만의 독특한 동시 봉우리를 이루어 놓았고 자기의 창작실천과 편집사업 그리고 아동문학의 발전과 번영에 지울 수 없는 기여를 했다”고 역설했다.

최문섭시비는 연길공원 동시동네에 세워진 다섯번째 시비이다.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1883 미국 시인 - 빌리 콜린스 2016-11-28 0 4686
1882 詩는 언어로 남과 더불어 사는 정서를 절규하는것... 2016-11-28 0 3992
1881 시인, 시, 그리고 미술... 2016-11-27 0 4191
1880 시인, 시, 그리고 경제... 2016-11-27 0 3606
1879 시인의 미국 시인 - 에즈라 파운드 2016-11-27 1 5399
1878 현대시를 이끈 시대의 대변인 영국시인 - T.S. 엘리엇 2016-11-27 0 5267
1877 "부부 시인"의 비극과 또 하나의 그림자 2016-11-26 1 5595
1876 미국 시인 - 실비아 플라스 2016-11-26 0 5150
1875 독일 시인 - 롤프 디터 브링크만 2016-11-26 0 4132
1874 권총으로 자살한 구쏘련 시인 - 마야꼬프스끼 2016-11-26 0 4361
1873 20세기 러시아 최대 서정시인 - 안나 아흐마또바 2016-11-26 0 3627
1872 20세기 러시아 최대의 시인 - 오시쁘 만젤쉬땀 2016-11-26 1 3856
1871 상상하라, 당신의 심원한 일부와 함께 비상하라... 2016-11-26 0 3288
1870 세계문학상에서 가장 짧은 형태의 시 - "하이쿠" 2016-11-26 0 4130
1869 詩의 탄생 = 人의 출생 2016-11-26 0 3481
1868 실험적 詩는 아직도 어둠의 아방궁전에서 자라고 있다... 2016-11-26 0 4036
1867 詩가 무엇이길래 예전에도 지금도 실험에 또 실험이냐... 2016-11-26 0 4517
1866 詩는 독자들에게 읽는 즐거움을 주어야... 2016-11-26 0 3385
1865 詩를 더불어 사는 삶쪽에 력점을 두고 써라... 2016-11-26 0 3649
1864 詩人은 명확하고 힘있게 말하는 사람... 2016-11-26 0 3609
1863 詩를 발랄한 유머와 역설의 언어로 재미있게 읽히는 시로 써라... 2016-11-26 0 3923
1862 캐나다계 미국 시인 - 마크 스트랜드 2016-11-22 0 5195
1861 미국 시인 - 시어도어 로스케 2016-11-22 1 6382
1860 러시아계 미국 시인 - 조지프 브로드스키 2016-11-22 0 4554
1859 詩란 마음 비우기로 언어 세우기이다... 2016-11-22 0 3875
1858 자연속의 삶을 노래한 미국 시인 - 로버트 프로스트 2016-11-21 0 6531
1857 풍자시란 삶의 그라프를 조각하여 통쾌함을 나타내는 시... 2016-11-21 0 3778
1856 미국 재즈 시의 초기 혁신자 中 시인 - 랭스턴 휴스 2016-11-20 0 5080
1855 락서는 詩作의 始初에도 못미치는 망동... 2016-11-19 0 3580
1854 인기나 명성에 연연해하지 않고 자신의 색갈을 고집한 예술가 2016-11-18 0 5125
1853 카나다 음유시인 - 레너드 노먼 코언 2016-11-18 0 5149
1852 령혼 + 동료 = ...삶의 그라프 2016-11-18 0 3474
1851 김영건 / 박춘월 2016-11-18 0 3344
1850 詩作의 첫번째 비결은 껄끄러움을 느끼지 않게 쓰는것... 2016-11-18 0 3888
1849 詩作할때 "수사법" 자알 잘 리용할줄 알아야... 2016-11-16 1 4664
1848 詩人은 "꽃말"의 상징성을 발견할줄 알아야... 2016-11-15 0 3558
1847 진정한 "시혁명"은 거대한 사조의 동력이 안받침되여야... 2016-11-15 0 3502
1846 고 김정호 / 허동식 2016-11-15 0 3561
1845 윤청남 / 허동식 2016-11-15 0 3613
1844 詩를 제발 오독(誤讀)하지 말자... 2016-11-15 0 3791
‹처음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