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고 설인
2015년 03월 11일 22시 31분  조회:4493  추천:0  작성자: 죽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우측 설인 시인)

04.jpg

시인이 2009년에 펴낸 시집 《들국화》, 《고향사람들》.

05.jpg

답사를 하는 설인선생.

06.jpg

참가자들과 함께.

07.jpg

후배시인들과 담소를 나누는 원로시인 설인(가운데)선생.

 

설인선생의 창작은 조선족시가사의 변천사 의미

 

8월 8일 오전, 중국조선족의 대표적인 시인이며 해방전으로부터 시작하여 해방후 그리고 개혁개방이후에 이르기까지 줄곧 문학창작을 견지해온 원로시인 설인(본명 리성휘)선생의 탄생 90주년 기념 학술토론회가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대학조선문학연구소의 주최로 50여명 문인과 선생의 제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연길시 라경호텔에서 개최되였다.

시인 설인은 1921년에 연길에서 출생하여 1943년 일본 와세다대학문과를 수료하고 선후로 소학교 교원, 잡지사 편집, 대학교 교원으로 근무하면서 수많은 우수한 시작품을 창작하였다. 그는 현재 중국작가협회 회원, 연변시조시사, 연변시인협회 고문을 맡고 있으며 《봄은 어디에》, 《먼동이 튼다》, 《설인시선》, 《들국화》, 《고향사람들》 등 문학저서와 《문학개론》, 《문학론고》 등 리론저서외 《시인 김조규의 재만시초》 등 평론 십여편을 발표하였다.

이번 기념학술회에서는 연변대학조선문학연구소 김경훈교수의 《해방전 설인 시세계 연구》와 절강성 월수외대 류은종교수의 《시인 설인의 들국화 사랑》이 기조론문으로 발표되였고 김운일, 김응준, 장정일, 김철학, 김동진, 리상각 등 평론가와 시인들이 자유발언의 형식으로 시인의 생애와 문학창작에서 거둔 성과를 재조명하였다.

설인선생은 자신의 70여년의 창작활동을 재조명해주는 이런 뜻깊은 모임을 조직해준 후배문인들과 제자들에게 감사를 드리면서 놀라운 기억력과 입담으로 필명 설인(雪人)에 깃든 이야기와 일부 시를 창작할때의 경과를 감명깊게 이야기하여 참가자들의 마음을 훈훈하게 하였다.
[길림신문 2011-8-8 김태국]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83 시인의 문학관 2015-02-19 0 4357
82 김수영 론, 박치원 론 2015-02-19 0 4763
81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5033
80 포스트 구조주의 리론 2015-02-19 0 4541
79 현대시의 리해 2015-02-19 1 4495
78 하이퍼시에 관한 고견 2015-02-19 0 4664
77 하이퍼시의 리해 2015-02-19 0 4353
76 의식, 무의식의 징검다리 2015-02-19 0 4579
75 김기림 시론 ( - 한국 현대시의 최초 시론) 2015-02-19 0 4386
74 조향 시론 2015-02-19 0 4481
73 김춘수 시론 2015-02-19 0 4593
72 시와 아이러니 2015-02-19 0 4469
71 디지털시대 시 전망 2015-02-19 0 4407
70 하이퍼와 잡종(?) 2015-02-19 0 4220
69 하이퍼시에서 내면세계 미학 2015-02-19 0 4462
68 하이퍼시에서 사물적, 상상적 가능성 2015-02-19 0 4857
67 하이퍼시의 구조 2015-02-19 0 4627
66 시에서 인식의 혁명 2015-02-19 0 4738
65 언어와 사물, 그리고 시 2015-02-19 0 4837
64 시와 독자와 난해성 문제 2015-02-19 0 4627
63 3.0 2015-02-19 0 3998
62 퍼포먼스 시집 평설 2015-02-18 0 4715
61 하이퍼시와 퍼포먼스시 2015-02-18 0 4307
60 하이퍼시 도무미 4 2015-02-18 0 4755
59 하이퍼모더니즘의 시대는 오는가 2015-02-18 0 4945
58 하이퍼시 도우미 3 2015-02-18 0 4580
57 하이퍼시의 도우미 2 2015-02-18 0 4338
56 탈관념의 꿈꾸기 2015-02-18 0 4547
55 현대시의 길 열기 2015-02-18 0 4952
54 하이퍼시의 도우미 2015-02-18 0 4466
53 하이퍼시의 전환기법 관찰 2015-02-18 0 4744
52 하이퍼시의 리해와 창작 2015-02-18 0 4663
51 하이퍼시와 디카시 2015-02-18 0 4457
50 ...계속 6 2015-02-18 0 4167
49 ...계속 5 2015-02-18 0 4587
48 ...계속 4 2015-02-18 0 4474
47 ...계속 3 2015-02-18 0 4306
46 ...계속 2 2015-02-18 0 4359
45 李箱시의 디지털적 해석 2015-02-18 0 4637
44 탈관념 시의 리해 2015-02-18 0 4379
‹처음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