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zoglo.net/blog/kim631217sjz 블로그홈 | 로그인
시지기-죽림
<< 2월 2025 >>
      1
2345678
9101112131415
16171819202122
232425262728 

방문자

조글로카테고리 : 블로그문서카테고리 -> 문학

나의카테고리 : 文人 지구촌

시인 - 고 설인
2015년 03월 11일 22시 31분  조회:4566  추천:0  작성자: 죽림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우측 설인 시인)

04.jpg

시인이 2009년에 펴낸 시집 《들국화》, 《고향사람들》.

05.jpg

답사를 하는 설인선생.

06.jpg

참가자들과 함께.

07.jpg

후배시인들과 담소를 나누는 원로시인 설인(가운데)선생.

 

설인선생의 창작은 조선족시가사의 변천사 의미

 

8월 8일 오전, 중국조선족의 대표적인 시인이며 해방전으로부터 시작하여 해방후 그리고 개혁개방이후에 이르기까지 줄곧 문학창작을 견지해온 원로시인 설인(본명 리성휘)선생의 탄생 90주년 기념 학술토론회가 연변작가협회와 연변대학조선문학연구소의 주최로 50여명 문인과 선생의 제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연길시 라경호텔에서 개최되였다.

시인 설인은 1921년에 연길에서 출생하여 1943년 일본 와세다대학문과를 수료하고 선후로 소학교 교원, 잡지사 편집, 대학교 교원으로 근무하면서 수많은 우수한 시작품을 창작하였다. 그는 현재 중국작가협회 회원, 연변시조시사, 연변시인협회 고문을 맡고 있으며 《봄은 어디에》, 《먼동이 튼다》, 《설인시선》, 《들국화》, 《고향사람들》 등 문학저서와 《문학개론》, 《문학론고》 등 리론저서외 《시인 김조규의 재만시초》 등 평론 십여편을 발표하였다.

이번 기념학술회에서는 연변대학조선문학연구소 김경훈교수의 《해방전 설인 시세계 연구》와 절강성 월수외대 류은종교수의 《시인 설인의 들국화 사랑》이 기조론문으로 발표되였고 김운일, 김응준, 장정일, 김철학, 김동진, 리상각 등 평론가와 시인들이 자유발언의 형식으로 시인의 생애와 문학창작에서 거둔 성과를 재조명하였다.

설인선생은 자신의 70여년의 창작활동을 재조명해주는 이런 뜻깊은 모임을 조직해준 후배문인들과 제자들에게 감사를 드리면서 놀라운 기억력과 입담으로 필명 설인(雪人)에 깃든 이야기와 일부 시를 창작할때의 경과를 감명깊게 이야기하여 참가자들의 마음을 훈훈하게 하였다.
[길림신문 2011-8-8 김태국]

 



[필수입력]  닉네임

[필수입력]  인증코드  왼쪽 박스안에 표시된 수자를 정확히 입력하세요.

Total : 2283
번호 제목 날자 추천 조회
723 김혁 / 김룡운 2015-09-17 0 4290
722 詩碑에 是非를 걸다... 2015-09-17 0 4623
721 조선족문학의 개념에 대하여 2015-09-17 0 4836
720 김철 / 장춘식 2015-09-17 0 5162
719 김창영 / 장춘식 2015-09-17 0 4688
718 리옥금 / 장춘식 2015-09-17 0 5097
717 고 송정환 / 장춘식 2015-09-17 0 4774
716 연변지역 시문학 뿌리 및 그 현황 2015-09-17 0 4752
715 한영남 / 장춘식 2015-09-17 0 4370
714 전춘매 / 장춘식 2015-09-17 0 4390
713 ...끝 2015-09-17 0 5808
712 ...이어서 2015-09-17 0 4683
711 ...계속 2015-09-17 0 4899
710 ...이어서 2015-09-17 0 4522
709 ...계속 2015-09-17 0 4973
708 일제 강점기 조선족 시문학 2015-09-17 0 4429
707 리육사의 <<로신추도문>> 2015-09-16 0 6002
706 당신도 디카시 시인 2015-09-12 0 4793
705 <사진> 시모음 2015-09-12 0 4963
704 디카시 모음 2015-09-12 0 4333
703 디카시란? 2015-09-10 0 4940
702 하이퍼시 - 역설의 시 2015-09-10 0 4316
701 하이퍼시 창작기법 2015-09-09 1 4652
700 하이퍼시의 목표 - 고정틀 벗어나기 2015-09-09 0 4666
699 하이퍼시 - 새롭게 디자인한 시 2015-09-09 0 4579
698 하이퍼시란? 2015-09-09 1 4311
697 글쓰기 0도 2015-09-09 0 3931
696 패러디(모방, 표절, 도작...)문학을 인정하느냐 마느냐가 "문제"면 "문제"로다... 2015-09-07 0 4442
695 ...계속 2015-09-07 0 4181
694 남영전 / 최룡관 2015-09-07 0 4203
693 한춘시평 2015-09-07 0 4154
692 토템시에 한마디 2015-09-07 0 4525
691 토템시 - 민족문화브랜드 2015-09-07 0 5422
690 감자 캐는 즐거운 농부 - 남영전시인 2015-09-07 0 4102
689 ...계속 2015-09-07 0 5887
688 남영전 / 김관웅 2015-09-07 1 4577
687 민족문화의 뿌리를 찾아서 2015-09-07 0 4077
686 중국 조선족 시문학의 위상(자료) 2015-09-07 0 5088
685 중국 조선족시문학 정초자 - 리욱 2015-09-07 0 4965
684 시의 가치란? 2015-09-06 0 4853
‹처음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다음  맨뒤›
조글로홈 | 미디어 | 포럼 | CEO비즈 | 쉼터 | 문학 | 사이버박물관 | 광고문의
[조글로•潮歌网]조선족네트워크교류협회•조선족사이버박물관• 深圳潮歌网信息技术有限公司
网站:www.zoglo.net 电子邮件:zoglo718@sohu.com 公众号: zoglo_net
[粤ICP备2023080415号]
Copyright C 2005-2023 All Rights Reserved.